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3580

정선황기 Astragalus koraiensis 강원도 정선에서 발견되어 정선황기라는 이름이 생겼다. 한국 특산식물로 산지의 냇가나 노지 등에서 자라는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석회암과 점질 토양, 고랭지 기후에서 잘 자라는데, 예로부터 체력을 증강시키고 빈혈을 없애며 근육을 튼튼히 해준다 하여 약용식물로 유명하다.     2012. 07. 18.  태백 검룡소 입구               ● 정선황기 Astragalus koraiensis  ↘  콩목 콩과 황기속의 여러해살이풀줄기의 높이는 약 30cm이다. 잎은 작은 잎은 7~10쌍이 달리는 깃꼴겹잎이며, 작은잎은 타원형으로 끝이 침처럼 뾰족하며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에는 솜털이 있다. 7~8월에 황색의 꽃이 핀다. 꽃은 두상인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꽃대는 2.5~3cm이다. 가운데 꽃잎은 달걀.. 2012. 8. 6.
조령으아리 Clematis brachyura var. hexasepala 한반도지형 방문 길에 만난 으아리. 그곳의 으아리는 대개가 꽃잎(엄밀히 말하면 꽃받침 조각)이 여섯 개였다. 그럼 이게 조령으아리인가.  안타깝게도 조령으아리에 대한 국생정의 기재문은 다음처럼 허술하기 짝이 없다.  길이 약 2m 정도이다. 꽃은 8~9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6개이고 길이 1.2~2cm로서 꽃잎처럼 생긴다.    2012. 07. 18.  영월         조령으아리로 올라온 사진들은 꽃잎이 여섯 개라는 공통점 외에는 잎 모양도 다양하다. 작은 잎이 길쭉하고 끝이 뾰족한 것도 있고 잎이 뭉툭한 것도 있으며 외대으아리와 같은 꽃차례도 있고 으아리와 같은 꽃차례인 것도 있다.  어느 쪽이 조령으아리일까?  조령으아리(Clematis b.. 2012. 8. 6.
민둥갈퀴 Galium Kinuta 민둥갈퀴는 전국의 산지의 숲 속이나 계곡에서 자라는 꼭두서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열매에 갈고리털이 없고 전체가 밋밋해서 민둥갈퀴라 불린다.  잎끝이 둔하고 꽃이 풍성하게 달리는 긴잎갈퀴(Galium boreale)에 비해 잎은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끝이 점차 좁아지며, 꽃은 성글게 달린다.    ↓ 2012. 07. 18.  영월             ● 민둥갈퀴 Galium Kinuta | smooth bedstraw  ↘  꼭두서니목 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60cm이다. 줄기는 외대로 자라서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네모지고 밋밋하고 다소 자주색이다. 뿌리는 황적색이고 옆으로 뻗고 잔뿌리가 많이 나는 편이다. 잎은 줄기에 4장이 윤생하며 그 가운데 2장은 정상엽이고 .. 2012. 8. 6.
고추나물 Hypericum erectum 고추나물이 노란 꽃잎을 열었다.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었다는 신호... 고추나물은 물레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의 산지나 주변 습하거나 반그늘 땅에서 만날 수 있다. 고추나물이라는 이름은 꽃이 진 후 성숙하는 열매의 모습이 고추가 하늘을 보고 있는 듯한 모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 남한산성 ● 고추나물 Hypericum erectum | erect-St. John’s-wort ↘ 물레나물목 물레나물과 물레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60cm이다. 줄기는 둥글고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밑부분이 서로 접근하여 원줄기를 감싸고 검은 점이 흩어져 있다.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바소꼴 또는 긴 달걀 모양으로 길이 7∼30cm, 나비 2∼6mm이다. 7∼8월에 노란 꽃이.. 2012. 8. 4.
청닭의난초 Epipactis papillosa 황갈색의 꽃을 피우는 닭의난초와 달리 청닭의난초는 녹색의 꽃을 피운다. 국생정에는 강원도 삼척, 영월, 홍천 등 일부 지역에 분포하며 자생지 및 개체수가 매우 적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는 멸종 위기 식물이다.  북부지방에서 동시베리아까지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로 남쪽으로는 경북 문경과 안동, 충북 단양과 제천, 강원 태백과 영월, 경기 남한산성 등에서 두루 발견되고 있다.     2011. 07. 14.  남한산성             ● 청닭의난초 Epipactis papillosa  ↘  난초목 난초과 닭의난초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높이 30-70cm이고 꼬불꼬불한 갈색 털이 있으며 5-7개의 잎이 달린다. 근경이 짧고 온몸에 갈색의 짧은 털이 있다. 줄기 밑부분에 달린 1-2개의 잎은 초상이고 그 위의 .. 2012. 8. 4.
백운산원추리 Hemerocallis hakuunensis 1934년 백운산에서 발견하여 일본인 식물학자 나까이가 북여놓은 학명에 따라 우리 민족이 가장 흔하게 만나오던 원추리 이름이 '백운산원추리'가 되었다. 게다가 그 '백운산'이라는 이름조차 일본식 발음을 따 'hakuunensis'라는 희한한 종소명으로 붙게 되었다. 백운산원추리의 형태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다년생 초본으로 포복하는 지하경은 없으며 뿌리 끝부분이 많이 부풀어 있다. 화서는 1~3회 분지한다. 꽃 색은 주황색이고 6월 중순에서 7월 말까지 꽃이 피며 개화 시간은 아침부터 오후 늦게까지이다. 열매는 삭과이다.      2012. 07. 14.  남한산성          ● 백운산원추리 Hemerocallis hakuunensis  ↘  백합목 백합과 원추리속 여러해살이풀 땅속으로 뻗는 뿌리.. 2012. 8. 4.
어수리 Heracleum moellendorffii 어수리는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은 산의 습한 곳에 분포한다. 전국에서 다 자라지만 제주도와 일부 섬 지역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흰 꽃이 겹산형꽃차례에 달리며, 가장자리의 꽃이 가장 크고 가운데로 갈수록 작아지며 꽃잎의 크기가 각각 다른 점에서 미나리과의 다른 종들과 구별된다. 남한산성 지방에 따라서 어수리를 '여느리', 또는 '어느리'로 부르기도 한다. 어수리의 학명은 Heracleum moellendorffii. 속명은 그리스신화의 영웅 헤라클레스로부터 유래된 것이며, 종명 moellendorffii는 '꿀'을 뜻하는 'moel'과 '주다'라는 뜻을 지닌 'endor'의 합성어라 하니 '꿀을 주는 꽃'이라는 의미를 가진 이름이다. 옛날 임금 수랏상에 올라 어수리라는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을 정.. 2012. 8. 4.
곰딸기(붉은가시딸기) Rubus phoenicolasius, 열매 줄기가 붉고 가시가 많아서 '붉은가시딸기'라고도 불리기도 하는 한다. 영명도 이런 특성을 담아 Wine raspberry라 하는데, '와인 나무딸기'라는 뜻이다. (울릉도의 곰딸기는 줄기 색깔이 붉지 않은 것이 관찰되었다.)    2012. 07. 14.  남한산성       ● 곰딸기(붉은가시딸기)  Rubus phoenicolasius | Wine raspberry  ↘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 낙엽 활엽 관목 길이 3m 정도 자란다. 윗부분이 밑으로 처지며 길이가 3m에 달하고 줄기는 적자색이며 가시가 드문드문 있으며 적색 샘털이 밀생한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3-5개의 소엽으로 된 우상 복엽이고, 중앙의 잎이 훨씬 크며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소엽은 넓은 달걀모양이며 점첨두, 예저 또는 원저이며.. 2012. 8. 4.
물레나물 Hypericum ascyron 물레나물이란 이름은 꽃잎이 바람개비 모양을 하고 있는 데서 생긴 것이다. 유난히 긴 수술들이 금실처럼 빛나고 노란색 꽃잎이 노랑나비 같아 '금사호접(金絲蝴蝶)'이라 부르기도 한다.  꽃은 햇볕이 직접 닿아야만 피는 습성이 있으며, 유독 벌과 나비가 많이 찾는다. 바람개비 모양의 노란 꽃잎 속 붉은 꽃밥을 단 노란 수술이 가득하고 그 속에 꽃잎과 같은 수의 5갈래의 암술머리가 자리잡고 있는 모습이 강렬하다.     2012. 07. 14.  남한산성           ● 물레나물 Hypericum ascyron | Great St. Johnswort  ↘  물레나물목 물레나물과 물레나물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네모지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가 0.5∼1m이며 윗부분은 녹색이고 밑 부분은 연한 갈색이.. 2012. 8. 4.
어수리 Heracleum moellendorffii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거칠거칠하고 미나리과 중에서 꽃이 가장 큰 종에 속한다. 꽃차례 가장자리에 달리는 꽃이 뚜렷하게 크고 꽃잎 또한 가장자리쪽의 2장이 더욱 큰 점으로 미나리과의 다른 종들과 구별된다.     2012. 07. 14.  남한산성             지방에 따라서 어수리를 '여느리', 또는 '어느리'로 부르기도 한다. 어수리의 속명 Heracleum은 그리스 신화의 영웅 헤라클레스로부터 유래된 것이며, 종명 moellendorffii는 '꿀'을 뜻하는 moel과 '주다'라는 뜻을 지닌 endor의 합성어라 하니 '꿀을 주는' 꽃이라는 의미를 가진 이름이다. 옛날 임금 수랏상에 올라 어수리라는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을 정도로 향과 맛이 좋은 고급 산나물이다. 생채, 나물, .. 2012. 8. 4.
으아리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하얀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이 4-6개로 납작한 꽃송이로 피어 원추화서를 이루고, 잎이 5-7개의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으로 으아리속의 다른 종과 구별된다. 기본종인 참으아리(C. terniflora)에 비해서 꽃자루에 털이 거의 없으며 꽃밥 끝은 뾰족하고 열매가 작은 점이 다르다. '선인초(仙人草)', '마음가리나물'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남한산성 ● 으아리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 Korean virgin`s bower ↘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덩굴성 다년초 줄기는 길이 2m 정도이며, 갈색이고,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 목질화되지 못하고 겨울에 말라죽는다. 수염뿌리는 굵다.잎은 마주나기하며 5~7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깃모양겹잎이며 달걀꼴로 첨.. 2012. 8. 4.
갈고리네잎갈퀴 Galium pseudo-asprellum 갈고리네잎갈퀴는 국생정 기록으로 보면 끝이 뾰족한 잎 모양이나 연한 녹색의 꽃 등 큰잎갈퀴와 다르지 않다. 다만 줄기가 1~2m로 길어 30~60cm라는 큰잎갈퀴에 비해 훨씬 길고 열매에 갈고리 같은 가시털이 있는 점이 다르다. 하지만 다른 기재문에는 큰잎갈퀴의 꽃이 희다고 되어 있다. .. 2012. 8. 2.
은판나비(Mimathyma schrenckii) 은판나비는 검은 날개의 은색 점이 아름답게 새겨진 네발나비과의 나비이다. 앞날개에는 띠를 두른 듯 은색 점이 배열되어 있고 뒷날개에는 커다란 은색 무늬가 시원스레 박힌 대형 나비이다. 수컷은 암컷보다 작고 날개 윗면 검정 바탕색이 훨씬 진하다. 뒷날개 중앙의 흰무늬는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내륙 산지를 중심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다. 제주도와 남해안 섬에서는 관찰 기록이 없으나, 대이작도 등 경기도의 섬에서 발견되고 있다. ↓ 검룡소 입구 주차장 ● 은판나비 Mimathyma schrenckii ↘ 나비목 네발나비과 네발나비아과 앞날개의 길이 38~54mm의 아름다운 나비이다. 날개의 윗면의 중앙에는 흑색 바탕에 4개의 흰색 점 무늬가 있고 뒷날개 중앙에는 흰색의 큰 무늬가 있다. 뒷날개 뒷면은 은색 바탕.. 2012. 8. 2.
청닭의난초 Epipactis papillosa 금대봉 트레킹에서 우연히 만난 청닭의난초, 하지만 아직 꽃이 피지 않은 모습이다.  청닭의난초는 닭의난초보다 크기가 작고 꽃색이 화려한 닭의난초와는 달리 꽃이 녹색이어서 수수하고 볼품이 없다. 강원 이북에 분포하며는 북방계 식물로 일본, 만주, 우수리강, 사할린섬, 캄차카반도 등지에도 분포한다.     2011. 07. 08.  태백             열흘 뒤 같은 장소를 찾게 되어 살펴본 청닭의난초 꽃. 날씨가 흐린데다 6시가 넘은 시간 어두운 숲에서 아쉽게도 꽃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 청닭의난초 Epipactis papillosa  ↘  난초목 난초과 닭의난초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높이 30-70cm이고 꼬불꼬불한 갈색 털이 있으며 5-7개의 잎이 달린다. 근경이 짧고 온몸에 갈색의 .. 2012. 8. 2.
석잠풀 Stachys japonica 이 석잠풀을 처음 보았을 때는 개곽향인가 싶었다. 줄기 끝에 꽃차례를 이루고 촘촘하게 꽃과 포엽이 달려 있는 모습이 여느 석잠풀의 듬성한 꽃차례와는 좀 달라 보였기 때문이다. 석잠풀은 산과 들의 습지에서 자라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양지바르고 물 빠짐이 좋은 곳에서 자란다.     2011. 07. 08.  검룡소 가는 길                ● 석잠풀 Stachys japonica | Korean hedge-nettle  ↘  꿀풀목 꿀풀과 석잠풀속의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는 희고, 길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80cm다. 잎은 마주나며, 피침형, 4~8cm, 폭 1.0~2.5cm,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은 위로 올라갈수록 작으며, 잎자루도 없다. 꽃은 6~.. 2012.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