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나무1192

해당화 Rosa rugosa "해당화 피고 지는 섬마을에" 라는 가요로 환기되는, 해변에서 매혹적인 색감의 꽃을 피우는 장미속의 가시 있는 관목이다. 꽃이 지고 난 뒤에 달리는 열매가 둥글고 굵어서 방울 토마토를 연상시키는 탓인지 'beach tomato' 'sea tomato'라는 영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중국 이름은 '玫瑰'(매괴). 우리나라 전역 바닷가 모래땅이나 산기슭에 자생한다. 원산지는 동북아시아(러시아 사할린, 우수리, 캄차카, 북미, 일본, 중국 만주 등)이지만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등에도 널리 퍼져 있다. 2025. 06. 12. 삼척 ● 해당화 Rosa rugosa | rugosa rose, beach rose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 관목 줄기는 모여나며, 겉에 바늘 모양의 가시,.. 2025. 7. 13.
정금나무 Vaccinium oldhamii, 꽃 새 가지 끝에 10개 안팎의 붉은빛이 도는 종 모양의 꽃이 5~15개씩 총상으로 달리는 모습이 아름답고, 가을에 검붉은색으로 익는 열매는 시면서도 달콤한 맛이 난다.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의 관목으로 중국 이름은 '腺齿越桔'(선치월귤) (중국어에서 '桔'은 '橘'의 속자로도 쓰인다.) 서해안 및 남부 지역에 나며 일본, 중국 동부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 2018. 06. 10. 안면도 ● 정금나무 Vaccinium oldhamii | Oldham’s blueberry ↘ 목련강 진달래목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 키는 2~3m 정도이다. 묵은 가지는 짙은 갈색이며 햇가지는 회갈색이고 샘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이고 길이 3~8cm, 너비 2~4cm로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다. .. 2025. 7. 12.
새머루 Vitis flexuosa, 수나무 수꽃 하필이면 새머루 수나무를 만나 수꽃만을 담아야 했다. 새머루는 수꽃만 피는 수나무와 양성화가 피는 나무가 따로 있다. 잎이 깊게 갈라지는 까마귀머루와 달리 잎은 갈라지지 않고 둥근 편이다. 중국 이름은 '칡덩굴과 같은 포도'라는 뜻의 '葛藟葡萄'(갈류포도). 중부 이남에 나며 아시아 열대, 온대 지역(네팔, 라오스, 베트남, 인도, 일본, 중국, 타이완, 태국,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2018. 06. 10. 안면도 ● 새머루 Vitis flexuosa | Creeping grapevine ↘ 목련강 장미아강 갈매나무목 포도과 포도속 덩굴나무 줄기는 길이 2~5m다. 가지는 가늘며, 능선이 있다. 잎은 홑잎, 덩굴손과 마주나고, 난상 원형 또는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 4~9cm.. 2025. 7. 12.
민주엽나무 Gleditsia japonica f. inarmata 거림산성(성흥산성) 사랑나무 아래서 휴식을 취하고 내려오는 길에 거목의 줄기에 보이는 녹색의 긴 꽃차례가 눈에 들어와 올려다 본 나무의 잎이 작은잎이 많이 달린 깃꼴겹잎으로 얼핏 중국굴피나무인가 보다 생각하고 대충 몇 장면 찍고 바쁘게 일행을 좇아 내려왔다. 나중에 생각해 보니 중국굴피나무 개화기는 4월인데 초여름에 꽃이 필 리가 없다. 수피와 잎, 꽃차례를 살펴 보니 가시가 없는 민주엽나무! 우리나라 전역 마을 주변, 논밭 경계나 낮은 지대 계곡 및 하천 가장자리에 드물게 자란다.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2025. 06. 07. 부여 ● 민주엽나무 Gleditsia japonica f. inarmata | Spineless Korean honey locust ↘ 목.. 2025. 7. 10.
들쭉나무 Vaccinium uliginosum 다행스럽게 피기 시작한 들쭉나무 꽃을 만난다. 꽃은 정금나무와 닮았으며, 산앵도나무에 비해 꽃의 화통이 좀 더 둥글고 열매는 검푸른 색으로 익는다. 고산지 잎갈나무숲, 사스래나무숲 양지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영어 이름은 '늪블루베리'라는 뜻의 'Bog bilberry'로 불린다. 남한 내에서는 설악산, 한라산과 북부지방에 자생하며, 북반구 온대 및 냉대지역에 분포한다. 2025. 05. 31. 황송포습지 ● 들쭉나무 Vaccinium uliginosum | Bog bilberry, Bog blueberry ↘ 목련강 진달래목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 관목 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가지는 갈색이며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있거나 없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난상 원형, 타원형 또는 거꿀달.. 2025. 6. 22.
월귤(越橘) Vaccinium vitis-idaea 기대했던 꽃은 피지 않고 꽃봉오리 상태여서 매우 아쉽다.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의 상록관목으로 '땃들쭉' '땅들쭉'이라고도 한다. 흰색 또는 분홍색의 꽃은 종 모양으로 끝이 4갈래로 갈라지며 둥근 장과는 붉게 익는다. 북방계 식물로 설악산과 홍천 풍혈지 등 남한 내 자생지는 극히 제한적이며 북부지방 고산지역에 자생한다. 북반구 온대 고산, 냉한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2025. 05. 31. 황송포습지 ● 월귤 Vaccinium vitis-idaea | lingonberry, foxberry, mountain cranberry,cowberry ↘ 목련강 진달래목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 상록 활엽 소관목 줄기는 높이 20~30㎝이며 가지는 회갈색이고 가늘며 풋가지는 푸르고 잔털이 있다.. 2025. 6. 21.
당마가목 Sorbus pohuashanensis 덕유산 이북에 자생하며 겨울눈에 털이 있는 것을 당마가목으로 취급하였으나, 마가목과 달리 부채꼴의 탁엽이 있고 열매 시기까지 숙존하는 특징이 있으며, 동아와 잎 뒷면 등에 전체적으로 흰 털이 밀생하고 열매의 씨방이 융합되어 있지 않다. 한반도에서는 백두산 지역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보며 나머지는 모두 마가목으로 취급한다. 중국 이름은 '花楸树'(화추수)이며, 중국 하북성 이북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2025. 05. 30. 미인송공원 ● 당마가목 Sorbus pohuashanensis | Amur mountain ash ↘ 목련강 장미목 정미과 마가목속 관목-소교목 높이는 8 m까지 자란다. 줄기는 짙은 회갈색을 띠며, 가로진 피목이 발달했으며 수피는 거칠게 벗겨지기도 한다. 일년생.. 2025. 6. 20.
좁은잎사위질빵 Clematis hexapetala 아쉽게도 아직 꽃이 피기 전, 솜털 보송보송한 꽃맹아리가 만들어지고 있는 참이다. 예년에 비해 일주일 이상 개화가 늦은 탓이다. 줄기 끝부분 잎겨드랑이에서 여섯 갈래의 흰 꽃이 피는 장면이 아쉽기만 하다. 으아리에 비해 원줄기가 1m 미만으로 곧게 자라고 작은 잎은 선상 피침형이며 꽃받침 갈래조각의 뒷면에 흰 털이 밀생하는 점으로 구분된다. 경기도 이북에서 자란다. 한국, 중국, 몽고, 러시아 극동부 지방에 분포한다. 2025. 05. 30. 연변 화룡 ● 좁은잎사위질빵 Clematis hexapetala | Six-petal clematis, Narrow three-leaf clematis ↘ 목련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50-100cm이고.. 2025. 6. 17.
꼬리진달래(참꽃나무겨우살이) Rhododendron micranthum 강원도와 경북, 충북의 백두대간, 주로 석회암 지대 양지바른 산지에서 자생하는 반상록성 관목으로 중국에도 분포하는 수종이다. 예전에는 '참꽃나무겨우살이'라고 불리었는데, 꽃다발처럼 피는 흰 꽃이 이름다워 관상용으로 심는다. 2025. 05. 25. 서울 ● 꼬리진달래 Rhododendron micranthum | Spike rosebay ↘ 목련강 딜레니아아강 진달래목 진달래과 진달래속 반상록 관목 높이 1 ~ 2m. 줄기는 잔털 또는 비늘조각이 있고 이년지는 갈색이 돌며 털이 있고 재부는 황록색이며 속은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도란상 타원형 또는 거꿀피침형이며 첨두 예형이고 길이 2 ~ 3.5cm로, 표면은 녹색이고 흰색 점이 있으며, 뒷면은 갈색 비늘조각이 밀생하고 잎자루 길이는.. 2025. 6. 15.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지리산 둘레길에 오동나무 꽃이 활짝 피었다. 서울에셔 보는 꽃에 비해 훨씬 푸른 빛이 뚜렷해서 색감이 아름답다. 서울에서는 이미 꽃이 지고 있는데 이곳은 열흘이 더 지난 시기에 만개하고 있다. 오동나무는 현삼과 오동나무속의 교목으로 울릉도가 원산인 참오동나무(P. tomentosa)가 원종이다.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평안남도, 경기도 이남 남한지역에 분포하지만 자생지가 분명하지 않고 심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2025. 05. 18. 구례 ● 오동나무 Paulownia coreana | Korean paulownia ↘ 목련강 국화아강 현삼목 현삼과 오동나무속 교목 높이는 15m에 달한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모양의 원형 또는 아원형이나 흔히 5각형으로 되고 길이 15~23cm, 너.. 2025. 6. 10.
붉은 찔레꽃(찔레나무) Rosa multiflora 지리산 둘레길을 걷고 있는데 흔치 않은 연한 붉은빛 꽃이 핀 찔레꽃을 만난다. 찔레꽃은 전래 동요 "엄마 일 가는 길에 하얀 찔레꽃, 찔레꽃 하얀 잎은 맛도 좋지."라는 가사처럼 보통 흰 꽃이 피지만, 일제 말기 백난아가 부른 트로트 가요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나라 내고향"이란 노랫말에서처럼 붉은 꽃이 드물게 피기도 한다. 찔레나무는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야장미(野蔷薇)'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2025. 05. 17. 구례 흰 찔레꽃 ● 찔레꽃(찔레나무) Rosa multiflora | multiflora rose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 관목높이 2m. 가지는 2~7mm의 가시가 발달한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깃모양겹잎.. 2025. 6. 9.
감나무 Diospyros kaki, 감꽃 둘레길에서 지나는 마을 감나무에 감꽃이 피었다. 어린 시절 떠어진 감꽃을 '감똘개'라 부르며 벼 이삭줄기에 꿰어서 간식 삼아 먹기도 했던 추억의 꽃이기도 하다. 자웅잡성(雌雄雜性)이며 6월에 담황색 꽃이 피며 꽃잎은 네 갈래로 갈라진다. 원산지는 한국 · 일본 · 중국 등으로 과일나무로 여러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고욤나무(D. lotus)와 함께 감나무과 감나무속의 유이한 종이다. 씨를 뿌려 기르면 어미나무 열매의 우량형질을 이어받지 못하고 퇴화하기 때문에 다른 감나무니 고욤나무를 대목으로 하여 접붙이기를 통해 번식한다. 2025. 05. 17. 구례 ● 감나무 Diospyros kaki | persimmon tree, Oriental persimmon ↘ 목련강 딜레니아아강 감.. 2025. 6. 8.
이나무 Idesia polycarpa 정자가 있는 쉼터에서 이나무를 만난다. 아쉽게도 아직도 두꺼운 꽃받침에 둘러싸인 꽃맹아리 상태로 꽃이 피려면 일주일은 기다려야 할 듯싶다. 가을에 긴 자루에 붉은 열매가 포도송이처럼 드리워지며 낙엽이 진 뒤 겨울 하늘에도 이름답게 달려 있다. 전라도 및 제주도에 자생하며, 일본 혼슈 이남, 중국 중남부, 타이완 등에 분포한다. 2025. 05. 17. 구례 ● 이나무 Idesia polycarpa ↘ 목련강 제비꽃목 산유자나무과 이나무속 교목 줄기 높이가 15m에 달하고 굵은 가지가 층층이 나서 사방으로 퍼지며 나무껍질은 황백색이고 껍질눈이 있다. 나무껍질은 황백색이고 껍질눈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삼각상 심장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10 ~ 25cm × 8 ~ 20cm로, 둔.. 2025. 6. 6.
산검양옻나무 Toxicodendron sylvestre, 암꽃과 수꽃 옻나무에 비해 남부지방에 자라며, 작은잎은 길이 7~12cm, 폭 2~4cm로 작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측맥 간격이 5mm 이하로 좁다. 남부지방(경남, 전남·북, 제주도 등)에 나며, 타이완, 일본, 중국 중남부 등에 분포한다. 2025. 05. 17. 구례 산검양옻나무 암꽃 산검양옻나무 수꽃 ● 산검양옻나무 Toxicodendron sylvestre | Wood lacquer tree ↘ 목련강 장미아강 무환자나무목 옻나무과 옻나무속 소교목 줄기는 높이 5~8m이다. 나무껍질은 어두운 갈색으로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홀수깃꼴겹잎으로 길이 25~40cm이다. 작은잎은 7~15장, 넓은 피침형으로 길이 7~12cm, 폭 2~4cm, 끝은 길게 뾰족하며, 밑은 넓은 .. 2025. 6. 5.
마삭줄 Trachelospermum asiaticum 지리산 둘레길을 시작하는 방광마능 돌담에 흐드러지게 꽃을 피운 마삭줄. 프로펠러 모양의 흰 꽃이 아름답고 향기 또한 은은하다. '마삭(麻索)'이란 이름은 바위나 나무를 타고 오르는 줄기의 모습이 '삼(麻)으로 꼰 노끈(索) 같은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털마삭줄과 달리 꽃밥이 꽃부리 바깥으로 또렷이 나오며, 꽃받침은 꽃부리의 좁은 부분보다 훨씬 짧다. '겨우살이덩굴'이라고도 한다. 중부 이남의 바닷가에 자라며, 타이완, 일본, 동남아시아, 인도 등에 분포한다. 2025. 05. 17. 구례 방광마을, 지리산 둘레길 19코스 ● 마삭줄 Trachelospermum asiaticum | Asiatic jasmine ↘ 목련강 국화아강 용담목 협죽도과 마삭줄속 상록 덩굴나무 줄기는 길이 .. 2025. 6.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