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나무1143

오리나무 Alnus japonica, 새싹과 수피 20리마다 심었다 하여 시무나무, 5리마다 심었다 하여 오리나무라 부른다는 속설이 있다. 중부 이북의 계곡이나 냇가에 자라며 중국 동북부, 대만,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유리목(楡理木)', '오리목'이라고도 부른다.  나무껍질은 대개 회갈색 또는 자갈색을 띠고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작은 가지는 갈색 또는 자갈색을 띠며 털이 있거나 없고 껍질눈이 뚜렷하다. 겨울눈은 거꿀달걀꼴을 닮은 긴 타원형으로서 3개의 능선과 더불어 자루가 있다.     2025. 04. 03.  서울    어린 나무 줄기의 수피   다 자란 나무 줄기 수피     ● 오리나무 Alnus japonica | Japanese alder  ↘  목련강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교목 줄기는 높이 20m에 이른다. 어린 가지.. 2025. 4. 3.
팥배나무 Aria alnifolia(Sorbus alnifolia), 새싹과 수피 팥배나무 겨울눈이 싹터 새잎으로 자라나고 있다. 겨울눈이 달린 짧은 회갈색 가지에는 고리무늬들이 있고 겨울눈은 여러 겹의 홍색 아린(芽鱗, 싹비늘)을 벗고 접부채처럼 접은 푸른 잎을 펼치고 있다.  배꽃처럼 하얀 꽃이 피고 팥처럼 작은 붉은 열매를 달므로 팥배나무라 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라며, 러시아 사할린, 연해주, 우수리,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2025. 04. 03.  서울    수피     ●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 Korean mountain ash, alder-leafed whitebeam, Korean whitebeam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마가목속 교목 줄기는 높이 10~20m이고, 줄기껍질은 붉은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홑잎이고 난형.. 2025. 4. 3.
목련 Magnolia kobus, 백목련 Magnolia denudata 가까운 아파트 단지에 나무 연꽃, 하얀 목련꽃이 피었다. 꽃잎이 벌어지고 갈래져서 핀 모습이 흔치 않은 토종 목련이다. 보니 한 그루만 토종 목련인데 그 주변에는 중국 원산의 조경수인 백목련 꽃이 꽃잎을 단정히 모은 채 환하게 피었다.   한국에는 목련, 함박꽃나무, 초령목 등 3종의 목련속 나무가 자생한다. 정원수로 널리 심어져 우리가 '목련'이라고 부르는 나무는 대부분 중국 원산의 백목련이나 자주목련이며 자생종인 목련은 생활 주변에서 만나 보기 쉽지 않다. 토종 목련은 한라산 해발 400~1000m 낙엽활엽수림대와 추자도에서 200여 그루 자생하고 있으며 산림청에서 2012년 희귀식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자생지 최대목의 크기는 가슴높이 둘레가 약 2.9m, 높이 15m로 수령은 약 300년으로.. 2025. 3. 29.
물오리나무 Alnus hirsuta 암꽃, 수꽃, 열매 어린 시절 '오리붕나무'라 불렀던 나무이다. 소나무만 귀하게 여기던 시절, 울퉁불퉁하고 결이 그다지 좋지도 않아 잡목으로 취급되고 땔깜으로 썼지만 화력이 떨어지는 나무이다. 비교적 북방계 나무로 시베리아, 극동러시아, 중국, 일본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백두대간에 분포하였지만 사방오리나무와 함께 사방조림용으로 널리 심어서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 잎이 비교적 크고 둥근 점으로 유사종과 쉽게 구별된다. 질소고정박테리아와 공생한다.  지렁이 같은 수꽃차례는 가지 끝에 몇 개씩 늘어져 달리며, 암꽃차례는 수꽃 바로 아래 몇 개씩 모여 위를 향해 달린다.     2025. 03. 28.  서울    지난해 열매     ● 물오리나무 Alnus hirsuta | Manchurian alder  ↘  목련강.. 2025. 3. 29.
회잎나무 Euonymus alatus f. ciliatodentatus, 열매 가지에 날개가 있는 화살나무와 달리 날개가 없는 화살나무의 품종이다. 산기슭이나 산 중턱의 바위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한국, 일본, 사할린,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2023. 10. 15.  합천 가회   ☞ 회잎나무 꽃 => https://kheenn.tistory.com/15856946      ● 회잎나무 Euonymus alatus f. ciliatodentatus  ↘  목련강 노박덩굴목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 관목 어린줄기는 녹색이고, 날개가 없다. 많은 뿌리가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모양이고 길이 3~5cm로 첨두, 예저이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고, 뒷면은 회록색이다. 꽃은 5월에 개화하며 취산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꽃 지름이 10mm로 황록색이며 .. 2024. 11. 28.
감태나무 Lindera glauca, 열매 녹나무과 생강나무속의 관목으로 열매가 검은색으로 익는 점이 다른 종과 구별되는 특징이다. 남부지방의 야산에 흔히 자라며 '백동백나무, 간자목'이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한겨울에도 마른 갈색 잎을 그대로 달고 있어 겨울산에 유난히 눈에 잘 띄는 나무이다.  전남, 경남, 제주도, 황해도 등에 자생하며,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2023. 10. 14.  합천 가회      ● 감태나무 Lindera glauca | Gray-blue spicebush  ↘  목련강 녹나무목 녹나무과 생강나무속 관목 높이 5m에 이른다. 줄기껍질은 회백색으로 밋밋하다. 잔털이 많으며 겨울에도 마른 잎이 잘 떨어지지 않는다. 잎은 어긋나며 부드러운 가죽질이고, 타원형으로 길이 5~10cm다. 잎몸은 양 끝이 뾰족하고,.. 2024. 11. 28.
순백의 수피, 자작나무 Betula pendula 인공적으로 조성한 원대리 자작나무숲, 자작나무는 아름다운 순백의 수피로도 금방 알아볼 수 있는 수종이다. 박달나무와 개박달나무 수피는 암회색이고, 거제수나무 수피는 연한 갈색이고, 물박달나무 수피는 회갈색 얇은 조각들이 무수히 일어나 있어 지저분하게 보인다. 자작나무 열매는 날개가 열매보다 2배 정도 넓은 점으로 속 내 다른 종들과 구별된다.  북방계 대표 수종으로 핀란드의 국목이기도 하다. 한반도 북부지방에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2024. 11. 16.  인제      ● 자작나무 Betula pendula | Jajaknamu, East Asian white birch, silver birch    ↘  목련강 조록나무아강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 2024. 11. 24.
겨우살이 Viscum coloratum 아름드리 참나무의 줄기, 까막득한 거리에 까치집처럼 자라는 겨우살이가 보여 카메라를 겨누어 본다. 내심 꼬리겨우살이이기를 기대했는데, 확인하니 열매가 포도송이처럼 꼬리를 이룬 형태가 아니다. 아쉽게도 그냥 겨우살이!  가지는 Y자 모양으로 갈라지고 잎은 상록성으로 마주나며 밋밋한 피침형으로 잎자루는 없다. 꽃은 2~3월에 암수딴그루로 피는데 가지 끝에 보통 3개씩 달리고 꽃자루가 없으며 노란색이다. 꽃부리는 종 모양이고 4갈래로 갈라지며 수술대와 암술대가 없고 열매는 장과로 연한 노란색으로 익는다.  겨울에 푸른 모습으로 살아서 겨우살이, 그래서 '동청(冬靑)'이라고도 한다. 참나무류나 팽나무, 오리나무류, 밤나무, 자작나무 등의 줄기와 가지에 기생하며 자란다. 새들이 열매를 먹고 배설물이 줄기에 안착하.. 2024. 11. 22.
토종 무화과, 천선과나무 Ficus erecta 뽕나무과 무화과속의 관목으로 토종 무화과나무라 할 수 있다. '하늘의 신선들이 먹는 과일'이라는 뜻을 담은 천선과(天仙果)나무는 열매 모양이 젖꼭지 같아서 '젖꼭지나무'라 불리기도 한다.  암수딴그루이며, 5∼6월 새가지 잎겨드랑이에서 꽃줄기 끝에 3개의 포가 받치고 있는 열매 모양의 화낭(花囊)이 달리는데, 안에는 많은 꽃이 들어 있다. 수꽃은 5∼6개의 화피갈래조각과 3개 정도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3∼5개의 화피갈래조각과 1개의 암술이 있다. 화낭이 자라서 열매로 되며 지름 15∼17mm로 되고 8~9월에 흑자색으로 익으면 먹을 수 있는데, 맛은 무화과에 비해서는 떨어진다고 한다.  남해안 및 제주도에 자생하며 일본 혼슈 이남, 타이완, 베트남, 중국 남부 등에 분포한다. 조경수로 심으며, 어린잎과.. 2024. 11. 21.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 가시나무 6종 구별법 나무껍질은 녹색 또는 흑회색으로 밋밋하며, 어린 가지는 흑갈색으로 연한 황색 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상록성 참나무인 가시나무아속 중에서 가시나무와 비슷하나, 잎이 장타원형-거꿀달걀형으로 톱니가 잎 위쪽에만 나타나며 도토리 깍정이에 5~6개의 고리 모양이 있는 점으로 구분된다.  전라남도 남쪽 해안가와 제주도에 자생하며, 중국, 베트남, 미얀마, 일본, 히말라야 등에 분포한다. 도토리는 식용한다.     2024. 11. 06.  진주      ●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 ring-cupped oak  ↘  목련강 조록나무아강 참나무목 참나무과 참나무속 교목 높이가 15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자라 둥근 수형을 이룬다. 나무껍질은 녹색이 도는 회색이며 터지지 않고 가지는 털이 없으며 일년생.. 2024. 11. 20.
참느릅나무 Ulmus parvifolia, 열매 느릅나무 종류 가운데 유일하게 늦여름에서 초가을에 걸쳐 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며, 가장 온난한 지역에 분포한다. 느릅나무 종류 중에서 잎은 가장 작으며 가장자리는 겹톱니가 아닌 외톱니 모양이고 잎 양면에 털이 없다. 생명력이 강해 뿌리를 깊게 내리며 수형이 아름다운 나무이다.  중부 이남 숲 가장자리, 산기슭, 하천변 및 암석지대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산둥반도 이남, 타이완, 베트남 등에 분포한다.     2024. 11. 06.  진주 집현      ● 참느릅나무 Ulmus parvifolia | Chinese elm, lacebark elm  ↘  목련강 조록나무아강 쐐기풀목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속  높이 10~15m, 지름 60cm에 달한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으로 두껍고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조각.. 2024. 11. 19.
소사나무 Carpinus turczaninowii, 수형과 줄기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의 떨기나무-소교목이다. 전체적으로 서어나무에 비해 작고 줄기가 많으며 잎이 작고 끝이 뾰족하지 않다. 개서어나무에 비해 열매이삭과 열매싸개가 작다. 종자 번식도 하지만 뿌리를 내리는 힘이 강해 꺾꽂이 번식을 많이 한다. 서해안과 남해안 및 강원도 일부 내륙 지역에 자생한다. 중국, 일본 혼슈 이남에 분포한다. 공원 등에 조경수로 이용하며 목재는 농기구재로 쓴다.    2024. 10. 19.  영흥도 십리포       ● 소사나무 Carpinus turczaninowii | Korean hornbeam  ↘  목련강 조록나무아강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 관목-소교목 높이 3~10m 정도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 또는 작은큰키나무이다. 어린가지는 적갈색을 띤다. 어긋나게 달리.. 2024. 11. 8.
까마귀밥나무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영흥도 바닷가 언덕에 붉은 열매가 보석처럼 달렸다. 봄에 피는 연한 노란색의 작은 꽃에 비해 가을의 열매는 이처럼 훨씬 화려하다. 열매는 쓴맛이 나며, 10여 개의 종자가 들어 있는데 겉이 끈적끈적하고 연노란색이다. 같은 속의 다른 종들과는 달리 암수딴그루이며 줄기에 가시가 없고 수꽃과 암꽃이 짧은 가지에 몇 개가 모여서 핀다.  예전엔 '까마귀밥여름나무'로 불렸는데 어느 새 '여름'이 빠진 까마귀밥나무로 국명이 간단해졌다. 범의귀과로 분류되던 것이 까치밥나무과로 분리 재배치된 것도 달라진 점이다.  우리나라 전역 산기슭 또는 골짜기에 자라며,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2024. 10. 19.  영흥도      ● 까마귀밥나무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  목련.. 2024. 11. 8.
산딸나무 Cornus kousa, 열매 황매평전 푸른 하늘 흰구름 아래 산딸나무 붉은 열매가 탐스럽게 달렸다. 봄날의 하얀 꽃잎도 아름답지만 가을날의 붉은 열매는 더욱 아름답다. 열매는 딸기처럼 생겼고 단 맛도 있어서 자연스레 산딸나무라 부르게 된 듯하다. 열매는 새들의 좋은 먹잇감이 된다.  층층나무속 소교목으로 꽃과 열매가 아름다워 정원의 조경수로 널리 이용한다. 경기도 이남 지역에 자생하며 중국, 일본, 유럽, 북미, 호주 동부, 뉴질랜드 등에 분포한다.    2024. 10. 12.  합천 가회      ● 산딸나무 Cornus kousa | kousa dogwood, Korean dogwood  ↘  목련강 장미아강 층층나무목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  산지의 숲속에 자라는 낙엽활엽 큰키나무로 키는 10m에 달한다. 어린 가지는 갈색이다.. 2024. 10. 31.
보리수나무 Elaeagnus umbellata, 열매 봄에 피는 꽃 향기가 아주 아름답고 가을에 붉게 익는 작은 열매는 참 달다. 꽃말은 '부부의 사랑, 결혼'이라고 한다. 보리장나무 등 보리수나무속 다른 나무들이 가을에 꽃을 피우고 봄에 열매가 익는 데 비해 꽃이 봄에 피며 열매는 가을에 붉게 익고 둥근 모양인 점으로 구분된다.  황해도 이남 숲 가장자리, 계곡 주변, 풀밭 등에 자라는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의 낙엽 관목이다. 영남지역에서는 '보리똥나무' '뽈똥나무', 제주에서는 볼레나무'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2024. 10. 12.  합천 가회       ● 보리수나무 Elaeagnus umbellata | silverberry  ↘  목련강 프로티아목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의 낙엽관목줄기는 높이 3~5m이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2024.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