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멍장이버섯과112 도장버섯 Daedaleopsis confragosa 갓은 반원형 또는 조개껍질형으로 지름 7~10cm이며 표면은 담황색에서 밝은 갈색으로 겹둥근무늬가 있고 매우 뻣뻣한 긴 강모로 덮여 있다. 자실층은 관공형으로 밝은 담황색에서 암갈색으로 관공은 원형, 긴타원형, 미로형, 침형 등으로 다양하다. 북한명은 '빛살갓주름조개버섯'이다. 일 년 내내 버드나무, 오리나무 등 활엽수의 죽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23. 11. 17. 서오릉 ● 도장버섯 Daedaleopsis confragosa | thin walled maze polypore, blushing bracket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도장버섯속자실체는 반원형~부채꼴로 보통 편평하거나 약간 말발굽형이 되기도 한다. 때로는 갓이 .. 2024. 12. 25. 삼색도장버섯 Daedaleopsis tricolor 가죽질의 자실체는 부채꼴로 편평하며 기왓장 모양으로 겹쳐서 난다. 갓 표면은 짙은 자줏빛 갈색 무늬로 동심원 고리무늬를 이루고 갓 밑면 자실층은 흰색-잿빛 갈색으로 주름골을 이루고 있다. 북한 이름은 '밤색주름조개버섯'이다. 활엽수 죽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라는 백색 부후균으로 북반구 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식용으로 부적합하다. 2023. 11. 17. 서오릉 ● 삼색도장버섯 Daedaleopsis tricolor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도장버섯속 균모는 2~8×1~4cm, 두께 0.5~0.8cm, 반원형 또는 편평한 조개껍질 모양이다. 표면에는 다갈색, 흑갈색 또는 자갈색 등의 좁은 고리 무늬와 방사상의 미세한 주름이 있다. 살의 두께는 0.1~0.3cm이고.. 2024. 12. 25. 도장버섯 Daedaleopsis confragosa 갓은 반원형 또는 조개껍질형으로 지름 7~10cm이며 표면은 담황색에서 밝은 갈색으로 겹둥근무늬가 있고 매우 뻣뻣한 긴 강모로 덮여 있다. 자실층은 관공형으로 밝은 담황색에서 암갈색으로 관공은 원형, 긴타원형, 미로형, 침형 등으로 다양하다. 북한명은 '빛살갓주름조개버섯'이다. 일 년 내내 버드나무, 오리나무 등 활엽수의 죽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23. 11. 03. 서울 ● 도장버섯 Daedaleopsis confragosa | thin walled maze polypore, blushing bracket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도장버섯속자실체는 반원형~부채꼴로 보통 편평하거나 약간 말발굽형이 되기도 한다. 때로는 갓이 겹쳐 .. 2024. 12. 18. 도장버섯 Daedaleopsis confragosa 갓은 반원형 또는 조개껍질형으로 지름 7~10cm이며 표면은 담황색에서 밝은 갈색으로 겹둥근무늬가 있고 매우 뻣뻣한 긴 강모로 덮여 있다. 자실층은 관공형으로 밝은 담황색에서 암갈색으로 관공은 원형, 긴타원형, 미로형, 침형 등으로 다양하다. 북한명은 '빛살갓주름조개버섯'이다. 일 년 내내 버드나무, 오리나무 등 활엽수의 죽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23. 10. 30. 철원 복주산 ● 도장버섯 Daedaleopsis confragosa | thin walled maze polypore, blushing bracket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도장버섯속자실체는 반원형~부채꼴로 보통 편평하거나 약간 말발굽형이 되기도 한다. 때로는 갓이.. 2024. 12. 15. 간송편버섯 Trametes coccinea = (진홍색)간버섯 Pycnoporus coccineus '간버섯' 또는 '진홍색간버섯'으로 불리던 버섯으로 간버섯속(Pycnoporus coccineus)에서 송편버섯속으로 재배치되면서 '간송편버섯'이라 불리게 되었다. 관공이 작아서 육안으로 잘 안 보이지만 비슷한 주걱간버섯(Trametes cinnabarina)은 관공이 몇 배로 커서 육안으로 보인다. 죽은 나무에서 자란 균사는 진한 담홍색을 띤다. 침엽수와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가지에 무리지어 발생하며 목재를 썩힌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북미남동부, 라틴아메리카, 오세아니아, 하와이, 아프리카 남부 등에 분포한다. 2023. 10. 28. 서울 ● 간송편버섯 Trametes coccinea | southern cinnabar polypore, scarlet Bracket ↘.. 2024. 12. 14. 세포 증식 촉진하는 송편버섯 Trametes suaveolens 현사시나무 재목 단면에 발생한 버섯이다. 자루 없이 두꺼운 선반 모양으로 자라며, 표면은 벨벳처럼 부드럽고 순백색~황갈색을 띠고, 살은 코르크질이며 자실층은 둥근 구멍이 촘촘하다. 종명 suaveolens는 '달콤한 냄새가 나는(sweet-smelling)'이라는 뜻으로 아니스 향이 나는 이 버섯의 특징을 반영한 이름이다. 그래서 북한 이름은 '흰색향조개버섯', 영어 이름은 'fragrant bracket(향기로운 버섯)'이다. 봄~가을 버드나무나 사시나무 등 죽은 활엽수에 무리로 또는 하나씩 자라며 나무를 흰색으로 부패시키는 백색 부후균이다. 향기는 좋으나 식용은 부적합하며 약용 버섯으로서의 가능성이 크다. 자주색 천연 염료로 활용된다. 2023. 10. 27. 서울 2023. 1.. 2024. 12. 13. 조개껍질버섯 Trametes betulina(Lenzites betulina) 패각형 또는 반원형의 갓을 형성하며 갓은 윗면은 회색 또는 크림색으로 동심원상으로 섬모가 있다. 자실층은 얇은 방사상 주름살로 크림색에서 회색이다. 연중 활엽수, 침엽수의 고목이나 그루터기의 측면에 발생한다.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2023. 10. 23. 고양 서오릉 2024. 10. 14. 고양 서오릉 ● 조개껍질버섯 Lenzites betulina | gilled polypore, birch mazegill, multicolor gill polypore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조개껍질버섯속 갓은 조개껍데기 모양으로 지름 2~10cm, 두께는 5~20mm 정도이다. 자실체의 윗면은 강모가 있고 회갈색의 환문이 있다. 육질은 코르크질로 매우 질기다. 자실층은 주름.. 2024. 12. 4. 벌집구멍장이버섯(붉은색새벌집버섯) Neofavolus alveolaris 벌집구멍장이버섯으로 보이나 자루가 비교적 뚜렷하고 자루 밑부분이 흑색인 점은 일반적인 형태가 아니다. '벌집버섯'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국가표준버섯목록에서는 '벌집구멍장이버섯',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붉은색새벌집버섯', 조덕현은 '구멍새벌집버섯'으로 각각 명명하고 있다. 봄~가을에 활엽수 죽은 가지에 난다. 동북아시아, 유럽, 북미, 호주 동부 등에 분포한다. 어린 버섯은 식용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거칠어서 식용 부적합으로 본다. 2023. 10. 21. 대전 계족산 ● 붉은색새벌집버섯 Neofavolus alveolaris | hexagonal-pored polypore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새벌집버섯속 썩은 나무에 나는 버섯류로 자실체는 지름은 7cm, 두께는 5m.. 2024. 12. 3. 갓 가운데 자루가 달린, 불로초(영지) Ganoderma lucidum 고향 뒷산에서 다소 한쪽으로 비끼긴 했지만 갓 가운데에 자루가 달린 특이한 형태의 불로초를 만난다. 이런 형태는 처음 보는데, 불로초는 갓 한쪽으로 이어지며 달리는 게 일반적이다. 2023. 10. 14. 합천 가회 ● 불로초(영지) Ganoderma lucidum | reishi, varnished conk, ling chih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불로초속 자실체가 옻칠을 한 것처럼 광택이 나는 버섯으로 균모는 콩팥형 또는 원형이고 지름 5~15cm, 두께 1~1.5cm로 자루는 중심생 또는 측생이다. 표면은 각피로 덮이고 적자갈색, 동심원상의 얕은 고리 홈이 있다. 살은 코르크질로 상하 2층이 되고 상층은 백색, 구멍에 가까운 부분은 계피색이다. 하면의 관공은 황백색... 2024. 11. 28. 토끼털송편버섯 Trametes trogii 은사시나무 재목 지면 가까운 부분에 배착성으로 넓은 자실체가 발생하고 위쪽으로 거센털로 덮인 좁고 긴 크림색-회갈색 갓이 형성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전에 보았던 토끼털송편버섯에 비해 배착성이 훨씬 강하고 갓의 회갈색 털이 부드러운 느낌이 들지만 토끼털송편버섯의 특징을 잘 갖춘 것으로 보인다. 이런 특징을 가진 이미지는 유럽 쪽에서 확인된다 (gbif.org/4881885615 gbif.org/4974561115). 국내 기재문에서 배착성에 대한 기록은 없고 '내린주름살형으로 부착'한다 정도로만 기록하고 있다. 봄~겨울 대부분 사시나무속 나무에서 발생되며, 버드나무, 단풍나무, 자작나무, 참나무 등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유라시아, 북미, 남미의 온대~냉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2024. 10... 2024. 11. 18. 푸른손등버섯 Cyanosporus caesius(Postia caesius) 쌓아놓은 재목의 단면에 발생한 버섯으로 갓 표면에 푸른색 변색이 보이는 점으로 푸른손등버섯으로 추정된다. 기주가 활엽수로 보이는데 침엽수가 일반적이지만 활엽수에도 발생한다고 한다. 조직은 부드러운데 건조하면 무른 코르크질로 변한다. 성숙 후 자실체가 청색을 띠는 것은 포자 색깔 때문이다. 보통 침엽수, 드물게 활엽수의 죽은 나무나 용재에 발생한다. 한국, 일본, 유럽, 북미, 러시아, 호주 등에 분포한다. 2024. 10. 26. 서울 ● 푸른손등버섯 Cyanosporus caesius | blue cheese polypore, conifer blueing bracket ↘ 구멍장이버섯과 손등버섯속 자실체는 폭 1~6cm 굵기 0.5~2cm, 두께 0.5~2cm로 반원형이면.. 2024. 11. 13. 옷솔버섯(소나무옷솔버섯) Trichaptum abietinum 적송 숲길에 떨어진 작은 가지에서 발생한 버섯이다. 일반적으로 반배착성 버섯이지만 이처럼 갓이 거의 보이지 않는 배착성인 경우도 있다. 자실체 조직은 아주 얇고 아교질을 띤 가죽질이며 옅은 보라색이나 곧 색이 바랜다. 갓은 부채형, 조개껍질형으로 윗면은 회백색에서 갈색이며 자실층은 관공형에서 치아형으로 자색이나 자갈색이다. 일 년 내내 소나무 등 침엽수 죽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배착하거나 반배착하여 자란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24. 10. 19. 영흥도 ● 옷솔버섯(소나무옷솔버섯) Trichaptum abietinum | purpleporebracket, violet-toothed polypore ↘ 주름버섯강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옷솔버섯속 균모는 반원형.. 2024. 11. 6. 너도송편버섯(갈색살송편버섯) Trametopsis cervina 내한성이 좋은 한해살이 반 배착성 버섯으로 반전하여 흰색-크림색-갈색의 갓을 형성한다. 갓 표면은 동심원상의 무늬가 있고 갓 가장자리는 털 모양이며 자실층 표면은 수많은 구멍과 찢어진 미로 모양의 그물 구멍이 촘촘하다. 연중 주로 활엽수, 드물게 낙엽송 등 침엽수 부후목에서 무리지어 난다. 식용으로 부적합하다. 2024. 09. 22. 경기 구리 ● 너도송편버섯(갈색살송편버섯) Trametopsis cervina | deer-colored trametes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너도송편버섯속자실체는 어릴 때 완전한 백색, 길이 4~5cm, 폭 1cm, 두께 0.2~0.5cm로 광택이 나고 섬유상이며, 황토갈색이다가 암갈색이 되고, 위로 뒤틀린다. 백색 털이 있으나 테는 없으.. 2024. 10. 14. 아까시흰구멍버섯 Perenniporia fraxinea 아까시흰구멍버섯은 유균과 성균의 모습이 많이 다르고, 성균도 다른 모습을 보인다. 남한산성 등산로변 나무에 발생한 울퉁불퉁하면서도 아름다운 성균의 모습이 눈길을 끌어 담아 보았다. 살아있는 아까시나무 줄기 밑동에 흔하게 착생하는 버섯으로 '아까시재목버섯'이라고도 한다. 아까시나무만이 아니라 참나무, 느티나무, 플라타너스 등 활엽수의 산나무 밑동에 1년 내내 무리지어 나는 목재부후균으로 거목을 쓰러뜨리기도 한다. 한국, 일본, 유럽, 코가서스, 북미 동부에 분포한다. 항암 성분인 렉틴 등이 있어 '장수버섯'이란 이름으로 약용하기도 한다. 2024. 09. 16. 남한산성 ● 아까시흰구멍버섯 Perenniporia fraxinea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흰구멍버섯속 자실체는.. 2024. 10. 8. 세포증식 촉진하는 송편버섯 Trametes suaveolens 현사시나무 재목 단면에 발생한 버섯이다. 자루 없이 두꺼운 선반 모양으로 자라며, 표면은 벨벳처럼 부드럽고 순백색~황갈색을 띠고, 살은 코르크질이며 자실층은 둥근 구멍이 촘촘하다. 종명 suaveolens는 '달콤한 냄새가 나는(sweet-smelling)'이라는 뜻으로 아니스 향이 나는 이 버섯의 특징을 반영한 이름이다. 그래서 북한 이름은 '흰색향조개버섯', 영어 이름은 'fragrant bracket(향기로운 버섯)'이다. 봄~가을 버드나무나 사시나무 등 죽은 활엽수에 무리로 또는 하나씩 자라며 나무를 흰색으로 부패시키는 백색 부후균이다. 향기는 좋으나 식용은 부적합하며 약용 버섯으로서의 가능성이 크다. 자주색 천연 염료로 활용된다. 2024. 09. 10. 서울 2024. 1.. 2024. 9. 29.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