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276 호밀풀 Lolium perenne '가는보리풀'이라고도 하며,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벼과 호밀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같은 속의 쥐보리나 독보리는 호영 끝에 긴 까락이 돋는 반면, 호밀풀은 까락이 없거나 극히 짧아서 구별된다. 호밀풀은 소수에 소화가 6-11개 달리고, 쥐보리는 소수에 소화가 10-20개 달린다. 경작지 주변,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식물 전체를 이뇨제로 사용한다. 2023. 04. 26. 제주도 ● 호밀풀 Lolium perenne | perennial ryegrass, English ryegrass, winter ryegrass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호밀풀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모여나기하고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게 서서 높이가 30-60cm에 달하며 전체에 털이 없.. 2025. 5. 21. 털뚝새풀 Alopecurus japonicus 서귀포의 어느 섬 갯바위지대에서 만난 털뚝새풀. 벼과 뚝새풀속의 한해살이풀로 까락이 긴 특징을 표현하여 털뚝새풀이라 한다. 뚝새풀에 비해 작은이삭이 길고 까락이 길며, 다른 뚝새풀속 종들의 꽃밥이 황갈색인 데 비해 꽃밥이 흰 특징이 있다. 경남 하동군 고전면 신월리와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 보리밭에서 처음 채집되었고 경기, 경남, 전남, 제주도 등에 자란다. 원산지는 일본 남부와 중국 남부이며 한국, 프랑스에도 분포한다. 2023. 04. 26. 제주도 ● 털뚝새풀 Alopecurus japonicus | Japanese foxtail ↘ 닭의장풀강 사초목 벼과 뚝새풀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곧추 서며 뭉쳐서 나고 높이 20-60㎝이며 3개의 마디가 있다. (마디는 3~4개가 있고 잎집.. 2025. 5. 20. 좀보리풀 Hordeum pusillum 보리와 같은 겉보리속 한해살이풀로 보리풀보다 작아서 좀보리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영명도 '꼬마보리'라는 뜻의 'little barley'. 긴까락보리풀에 비해서는 까락이 훨씬 짧은 것으로 구분되고, 보리풀과는 포영의 가장자리에 털이 없는 것이 다르다. 북미 원산으로 제주도 중문 관광 단지와 중문 사이의 다리밑 해변에서 처음 채집되었다. 일본, 유럽에 귀화하여 분포한다. 2023. 04. 26. 제주도 ● 좀보리풀 Hordeum pusillum | little barley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겉보리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여러개가 모여 나고, 높이 20-40㎝로 곧게 자라며 3개 내외의 마디가 있고 털이 없다. 엽초는 줄기의 마디 사이 길이보다 짧고 털이 없고 등이 둥글.. 2025. 5. 20. 구내풀 Poa hisauchii 벼과 포아풀속으로 중부 이남 낮은 지대의 반음지에서 자라는 한두해살이풀이다. 실포아풀(Poa acroleuca)과 같으나 꽃이 필 때 꽃차례의 가지가 2~3개로 짧고 위를 향하며 호영과 내영에서 맥을 제외한 곳에 털이 없는 점으로 구별된다. 실포아풀은 구내풀에 비해 꽃차례의 가지가 펴지고 가지가 2개로 길며 호영과 내영에 연한 털이 있다. 일본, 중국 등에도 분포한다. 2025. 04. 29. 서울 ● 구내풀 Poa hisauchii | Ditch bluegrass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포아풀속 한두해살이풀 줄기는 연약하고 곧게 선다. 높이는 24~72cm이고, 4개의 마디가 있다. 잎집은 매끄럽고 입구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잎혀는 0.5~1.4mm로 막질이고 끝은.. 2025. 5. 1. 새포아풀 Poa annua 전국의 평지 길가나 경작지 주변에 흔하게 자라는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한두해살이풀로 가을에 싹터 자라나 다음해 봄에 꽃이 핀다. 잔디밭 주변에서 풍성하게 낮게 자라 잔디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하는 풀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라고 아시아, 유럽, 온대 아메리카 등 거의 전 세계에 분포하고 남극 주변 섬들에 침입종으로 발견되기도 하였다. 2025. 04. 24. 서울 ● 새포아풀 Poa annua | Annual bluegrass, annual meadow grass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포아풀속 한두해살이풀 뿌리는 수염뿌리다. 줄기는 높이 10~30cm, 한군데 모여나고, 곧추서며, 마디는 3개쯤, 밑부분은 마디에서 구부러져 다소 비스듬히 나온다. 잎집은 연하고.. 2025. 4. 28. 자주강아지풀 Setaria viridis var. purpurascens 동심의 강아지풀, 갯바위에 자주강아지풀이 꽃보다 더 아름답게 피었다. 꽃이삭에 달린 털이 자줏빛인 강아지풀(Setaria viridis)의 변종(var. purpurascens)이다. 국어사전에도 등록되어 있는 명사이지만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강아지풀의 이명으로 등록되어 있고, 국립생물자원관에는 아예 제외되어 있다. 특징이 아주 뚜렷한데도 형평성이 부족한 듯한 이런 푸대접이 다소 아쉽다. 2024. 11. 06. 사천 ● 강아지풀 Setaria viridis | green foxtail, green bristlegrass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강아지풀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가늘고 곧추서며 높이는 20~70cm 정도이다. 밑으로부터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마디가.. 2024. 11. 20. 실새풀 Calamagrostis arundinacea | 산새풀속 자생종 흰빛을 띠는 꽃차례 이삭들이 바람에 일렁이며 가을 분위기를 자아낸다. 머릿단처럼 가지런하게 자란 풍성한 잎들도 아름다운 벼과 산새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산새풀속 다른 종들에 비해 꽃차례가 가늘고 호영의 까락이 길게 나오며 꽃 아래에 달리는 털이 호영의 절반 길이인 점으로 구별된다. '새풀'이라고도 하며, 중부 이남 산지 숲속이나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란다. 유라시아 온대지역에 널리 자생하며 북미에도 분포한다. 2024. 11. 06. 진주 2024. 10. 19. 영흥도 ● 실새풀 Calamagrostis arundinacea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산새풀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여러 대가 모여나고, 높이 60~150cm이며, 마디는 2~3개 있다. 잎집은 .. 2024. 11. 19. 쥐꼬리새풀 Sporobolus fertilis 원추꽃차례가 응축형 선형으로 작은이삭이 빽빽하게 달리는데, 이 모습이 쥐꼬리처럼 길기 때문에 쥐꼬리새풀이라고 한다. 성숙해도 열매는 빠져나가지 않고 노출되어 호영에 달려 있다. 중부 이남 볕이 잘 드는 길가나 풀밭에서 흔히 자란다. 일본, 중국, 인도, 호주 등에 분포한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일대에 널리 분포한다. 2024. 11. 06. 진주 ● 쥐꼬리새풀 Sporobolus fertilis | giant parramatta grass, sacaton grasses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쥐꼬리새풀속 여러해살이풀 모여나기하며 높이 30-80cm이고 곧추 또는 비스듬히 서며 털이 없다. 억센 뿌리로 땅속 깊이 들어간다. 잎은 굳고 길이 20-60cm, 폭.. 2024. 11. 19. 털새 Arundinella hirta var. ciliata 새(A. hirta)에 비해 식물체에 털이 적고 전체 꽃차례의 작은가지는 가지에 밀착한다. 산지 햇빛이 잘 드는 건조한 땅에 자란다.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 지역 등에 분포한다. 2024. 11. 06. 진주 ● 털새 Arundinella hirta var. ciliata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새속 여러해살이풀 비늘잎으로 싸인 땅속줄기가 옆으로 짧게 벋고, 줄기는 곧게 선다. 줄기 높이는 50~120cm이며, 4~6개의 마디가 있다. 잎집 입구에 털이 많다. 가장 아래의 잎들은 비늘모양이고 그 위쪽에 긴 잎몸을 가진 잎들이 달린다. 전체 꽃차례에는 원뿔모양으로 많은 가지가 달리며, 가지는 다시 갈라진다. 다시 갈라진 작은가지는 축에 밀착한다. 작은이삭은 쌍으.. 2024. 11. 19. 드렁새 Leptochloa chinensis 남쪽 지방의 논가 수로에서 드렁새를 만난다. 멀리서 보면 새나 털새와 형태적으로 많이 닮은 벼과의 풀이다. 늦은 가을이라 이삭이 많이 떨어져 나간 상태가 다소 아쉽다. 갯드렁새(Leptochloa fusca)에 비하여 내륙에 주로 자라며 화서에 붉은색이 있고, 소화가 작고 섬세하다. 남부지방의 축축한 강변, 경작지 수로, 논 등에 자생한다.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파푸아뉴기니, 아프리카 중남부 등에 분포한다. 2024. 11. 06. 진주 집현 ● 드렁새 Leptochloa chinensis | red sprangletop, Asian sprangletop ↘ 사초목 벼과 드렁새속 여러해살이풀 줄기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편평하며 높이 30-70cm이고 털이 없다.잎은 편평하며.. 2024. 11. 19. 진퍼리새 Molinia japonica 산지 습지에 나는 벼과의 아름다운 풀이다. 아랫부분에서 시원시원 늘씬하게 자라는 풍성한 잎도 매력적이고 긴 줄기 끝에 하늘하늘 늘어지는 꽃차례도 멋지다. 잎이 좁긴 하지만 산기장처럼 길고 풍성하고 층층이 여러 갈래로 벌어지는 원추꽃차례의 형태도 산기장과 닮았다. 하지만 열매는 산기장이 동글동글한 데 비해 진퍼리새는 가늘고 길다. 잎이 주로 줄기 아래쪽에서 많이 나고 곧게 서거나 뒤집어져 잎 아랫면의 중맥이 두드러져 보인다. 경기, 강원 이남 산속 습지에 자라며 일본, 중국, 러시아 극동 지역에 분포한다. '물이삭새'라고도 한다. 2024. 11. 03. 고양 서오릉 ● 진퍼리새 Molinia aponica | Korean moor grass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진.. 2024. 11. 17. 큰기름새 Spodipogon sibiricus, 열매 줄기가 굵고 작은꽃이삭이 위로 비스듬히 서며 잎은 뻣뻣하여 억새와 아주 닮은 모습을 띠지만 꽃차례오ㅔ서 다른 모습이다. 원추꽃차례가 조밀하고 곧추서는 점으로 기름새와 구별된다. 산지 풀숲이나 길가에 자라는 벼과 기름새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러시아 동시베리아, 일본, 중국, 몽골 등에 분포한다. 북부지방에서는 큰기름새를 '아들메기'라고 부른다. 2024. 10. 30. 남한산성 ● 큰기름새 Spodipogon sibiricus | frost grass, Siberian graybeard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기름새속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길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70~120cm, 7~9개의 마디가 있다. 잎혀는 길이 1~2mm, 막질, 갈색이다. 잎몸은 선형이고.. 2024. 11. 16. 그령 Eragrostis ferruginea | 그령속 종 검색표 길가, 빈터, 산지 주변의 풀밭에 자라는 벼과 그령속 여러해살이풀로 아주 질기고 생명력이 강한 풀이다. 이 종은 작은이삭의 자루에 노란색으로 부푼 샘조직이 있는 점에서 포영이나 호영의 맥에 샘점이 없는 한해살이풀인 참새그령이나 좀새그령과 구별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일본, 네팔 등에 분포한다. 2024. 10. 19. 영흥도 2024. 10. 30. 남한산성 ● 그령 Eragrostis ferruginea | Korean lovegrass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참새그령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여러 개가 모여나며, 높이 30~80cm이고, 2~3개의 마디가 있다. 잎집은 편평하고, 잎집 입구와 잎 아래쪽에 긴 털이 있다. 잎몸은 길이 20~40cm이고.. 2024. 11. 15. 수크령 Pennisetum alopecuroides 같은 수크령이지만 서식지에 따라 다른 느낌이 든다. 서울 주변에서 만나는 수크령은 꽃밥과 다발털이 갈색-자색으로 비교적 화사한 느낌이 드는데, 고향 마을에서 만나는 수크령은 검은자색으로 어둡게 느껴진다. 수크령은 강아지풀보다는 훨씬 크지만 형태적으로 유사하다. 이 종은 다발털의 수가 많고 잔이삭과 같이 떨어지는 점에서, 거센털의 수가 비교적 적고 잔이삭이 떨어진 후에도 꽃차례에 거센털이 붙어 있는 강아지풀속과 구별된다. 벼과의 수크령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볕 잘 드는 산길 주변이나 숲가장자리에서 잘 자라며 식물체가 억세고 질기다. 아시아 온대 및 열대지방에 분포한다. 2024. 10. 12. 합천 가회 ● 수크령 Pennisetum alopecuroides | dwarf founta.. 2024. 11. 1. 털새 Arundinella hirta var. ciliata 새(A. hirta)에 비해 식물체에 털이 적고 전체 꽃차례의 작은가지는 가지에 밀착한다. 산지 햇빛이 잘 드는 건조한 땅에 자란다.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 지역 등에 분포한다. 2024. 10. 12. 합천 가회 ● 털새 Arundinella hirta var. ciliata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새속 여러해살이풀 비늘잎으로 싸인 땅속줄기가 옆으로 짧게 벋고, 줄기는 곧게 선다. 줄기 높이는 50~120cm이며, 4~6개의 마디가 있다. 잎집 입구에 털이 많다. 가장 아래의 잎들은 비늘모양이고 그 위쪽에 긴 잎몸을 가진 잎들이 달린다. 전체 꽃차례에는 원뿔모양으로 많은 가지가 달리며, 가지는 다시 갈라진다. 다시 갈라진 작은가지는 축에 밀착한다. 작은이삭은.. 2024. 10. 31. 이전 1 2 3 4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