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용 버섯339

하늘색깔때기버섯 Clitocybe odora, 노균 갓과 주름살이 다소 갈색끼를 띠는 노균으로 만난 하늘색깔때기버섯이다. 어린 버섯의 갓 표면은 회록색이이며 주름살은 백색, 연한 황색, 또는 연한 녹색이다. 송편버섯처럼 아니스(aniseed) 향이 나는 버섯으로 갓을 말려서 조미료나 향료로 사용할 수 있다. 흰색의 변종(var. alba)도 있다.  북한에서는 '하늘빛깔때기버섯'이라고 부른다. 늦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활엽수림 흙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자란다. 한국, 일본, 북미, 유럽, 러시아, 오세아니아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3. 10. 26.  서울         ● 하늘색깔때기버섯 Clitocybe odora | blue green anise mushroom, aniseed toadstool, aniseed funnel  ↘  주름.. 2024. 12. 11.
'밤버섯',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갓 표면은 다갈색~적갈색으로 주변부는 연한 색이며, 흰 섬유상 비늘조각이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고 황백색에서 황갈색을 거쳐 자갈색이 된다. 갓 모양이나 색깔이 밤톨 같아 북한에서는 '밤버섯'이라고 하며 영어 이름도 같은 뜻을 가진 'chestnut mushroom'이다. 조덕현은 노란다발과 함께 '다발버섯속'으로 분류하여 '개암다발버섯'으로 기록하고 있다. 가을에 활엽수의 고목 그루터기 또는 땅에 묻힌 나무 등에 무리지어 난다. 북반구 난·온대 이북에 분포한다. 일본,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간주되나 치명적인 독버섯으로 비슷한 노란개암버섯과 혼동할 위험이 있다.    2023. 10. 24.  경기 구리       ●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 br.. 2024. 12. 8.
큰비단그물버섯 Suillus grevillei 낙엽송(일본잎갈나무)가 늘어서 있는 산허릿길에서 큰비단그물버섯을 만난다. 황적갈색의 큼직하고 화사한 갓이 아름다운 버섯이다. 버섯 흉년, 올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대면하는 큰비단그물버섯일 듯하다.  북한명은 '꽃그물버섯'이다. 여름~가을 잎갈나무 숲 땅에 흩어져 난다. 전 세계 북반구 온대-냉대 지역과 호주 동부, 뉴질랜드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나 맛은 없다.    2023. 10. 17.  서울         ● 큰비단그물버섯 Suillus grevillei | Greville's bolete, tamarack jack, larch bolete  ↘  주름버섯강 그물버섯목 비단그물버섯과 비단그물버섯속균모는 육질로 두껍고 지름 4~10cm, 둥근 산 모양이다. 중앙부는 약간 돌출하거나 오목하다. .. 2024. 12. 2.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갓 표면은 다갈색~적갈색으로 주변부는 연한 색이며, 흰 섬유상 비늘조각이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고 황백색에서 황갈색을 거쳐 자갈색이 된다. 북한에서는 '밤버섯'이라고 하며 영어 이름도 같은 뜻의 'chestnut mushroom'이다. 조덕현은 노란다발과 함께 '다발버섯속'으로 분류하여 '개암다발버섯'으로 기록하고 있다. 가을에 활엽수의 고목 그루터기 또는 땅에 묻힌 나무 등에 무리지어 난다. 북반구 난·온대 이북에 분포한다. 일본,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간주되나 치명적인 독버섯으로 비슷한 노란개암버섯과 혼동할 위험이 있다.    2023. 10. 16.  서울       ●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 brick cap, chestnut mushr.. 2024. 12. 2.
흰주름비단깔때기버섯(흰주름만가닥버섯) Leucocybe connata '흰주름만가닥버섯'으로 불리던 버섯, 만가닥버섯과에서 송이버섯과 비단깔때기버섯속으로 자리바꿈되었다. 갓은 매끈하고 흰색으로 가운데는 부분적으로 황갈색이며, 가장자리는 아래로 말리고 가끔 물결모양이다. 주름살은 바른주름살 또는 내린주름살로 촘촘하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또는 혼효림 땅, 또는 교란된 땅에 홀로 또는 다발로 무리지어 난다. 우리나라를 비롯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3. 10. 16.  서울      ● 흰주름비단깔때기버섯 Leucocybe connata | White domecap ↘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비단깔때기버섯속균모는 지름 3~7cm, 넓은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해지며, 가장자리는 백색, 흔히 물결형이고 작은 담황색 인편 조.. 2024. 12. 1.
땅송이 Tricholoma terreum 가문비나무속, 소나무속 식물에 난다고 하는 송이과 송이속의 버섯이다. 최근 많이 조림된 스트로브잣나무 숲에서 흔히 발견된다.  주로 늦가을에 발생하고 분포지가 남한의 가야산, 지리산, 한라산 등 고산대와 북부지방인 걸로 보아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북방계 버섯이 아닐까 싶다.  북한에서는 '검은무리버섯'이라고 부른다. 맛이 순한 식용 버섯이다. 전 세계 북반구, 호주 남동부, 뉴질랜드에 널리 분포한다.    2023. 10. 16.  서울      2023. 10. 28.  서울          ● 땅송이 Tricholoma terreum | grey knight, dirty tricholoma  ↘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송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5~8cm로 반구형에서 둥근 산 모양-종 모양을 거쳐 차.. 2024. 11. 29.
붉은비단그물버섯 Suillus spraguei(Suillus pictus) 모양이나 색감이 아름다운 버섯이다. 갓 표면은 점성이 없고 붉은색 섬유질의 비늘조각으로 덮여 있으며 갈색으로 변한다. 살은 두껍고 크림색으로 흠집이 생기면 연한 홍색으로 변한다. '좀황금비단그물버섯'이라 불리기도 한다.  여름~가을 잣나무나 스트로브잣나무 숲에 무리지어 자라며 때로는 균륜을 형성한다. 균근을 만들어 잣나무에 공생한다. 하국, 일본, 유럽 중부, 러시아, 히말라야 동부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3. 10. 12.  경기 구리           ● 붉은비단그물버섯 Suillus pictus | painted slipperycap, painted suillus, red and yellow suillus  ↘  그물버섯목 비단그물버섯과 비단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5~10cm, 처.. 2024. 11. 27.
베타글루칸이 풍부한, 끈적비단그물버섯 Suillus americanus 갓 표면은 끈적하고 황색 바탕에 주변부로 갈색 인편이 촘촘히 붙어 있다. 내린 관공은 황색을 띠고 비교적 크며, 황색 자루에는 입자 모양의 담갈색 반점이 흩어져 있다.  가을철 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등의 침엽수림에서 발생한다. 동아시아, 유럽, 러시아, 북미, 히말라야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3. 10. 12.  경기 구리                ● 끈적비단그물버섯 Suillus americanus | chicken fat mushroom, American suillus, American slipperycap  ↘  그물버섯목 비단그물버섯과 비단그물버섯속균모는 지름 2.5~10cm로 처음에는 다소 원추형이다가 후에 편평형이 된다. 표면은 황색 또는 담회갈색으로 점성이 있고.. 2024. 11. 27.
황소비단그물버섯 Suillus bovinus 아름드리 소나무들이 서 있는 땅 위에 발생하고, 공생관계에 있는 큰마개버섯들도 가까운 곳에 함께 발생하고 있다. 갓은 적갈색에서 황갈색이며 자실층은 녹황색이다. 북한에서는 '그물버섯'으로 부르고 있다.  식용 버섯으로 여름에서 가을까지 소나무 숲속의 땅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소나무, 전나무, 참나무 등에 외생균근을 만든다. 유럽과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서 흔히 자라며 북미와 호주, 남아프리카에서는 외래종이다.      2023. 10. 12.  경기 구리        ● 황소비단그물버섯 Suillus bovinus | Jersey cow mushroom, bovine bolete  ↘  그물버섯목 비단그물버섯과 비단그물버섯속 균모는 육질이 두껍고 지름 3~10cm로 둥근 산 모양이다가 차차 편평하게 .. 2024. 11. 26.
큰마개버섯 Gomphidius roseus 겉보기에는 주름버섯목의 버섯일 듯한데 그물버섯목에 속하는 못버섯과의 버섯이다. 황소비단그물버섯과 공생 관계에 있는 버섯이다.  갓 표면은 연한 홍색~붉은 장미색이나 오래되면 검은 얼룩이 생기며 주름살은 흰색에서 암회갈색으로 변한다. 버섯대 표면은 윗부분이 흰색이고 솜털처럼 생긴 턱받이가 불완전하게 나 있으며 아랫부분은 연한 홍갈색이다. ''하며 북한 이름은 '나사못버섯'이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소나무숲 속의 땅에서 그물버섯과 함께 섞여서 무리를 지어 자라거나 한 개씩 자란다. 유럽, 러시아, 북미  서부에 분포한다. 식용 가능하나 맛은 저평가된다.     2023. 10. 12.  경기 구리         ● 큰마개버섯 Gomphidius roseus | rosy spike, rosy spike-cap.. 2024. 11. 26.
아니스향, 하늘색깔때기버섯 Clitocybe odora 비단같은 털이 있는 갓 표면은 회록색이이며 주름살은 백색, 연한 황색, 또는 연한 녹색이다. 송편버섯처럼 아니스(aniseed) 향이 나는 버섯으로 갓을 말려서 조미료나 향료로 사용할 수 있다. 흰색의 변종(var. alba)도 있다.  북한에서는 '하늘빛깔때기버섯'이라고 부른다. 늦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활엽수림 흙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자란다. 한국, 일본, 북미, 유럽, 러시아, 오세아니아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3. 10. 12.  경기구리        ● 하늘색깔때기버섯 Clitocybe odora | blue green anise mushroom, aniseed toadstool, aniseed funnel  ↘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깔때기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6cm로 처음.. 2024. 11. 26.
민자주방망이버섯 Lepista nuda 갓 표면은 매끄러우며 보랏빛이 퇴색하여 희미한 보라색이나 연한 홍갈색으로 된다. 가장자리는 아래로 감기나 나중에 물결형으로 된다. 주름살은 바른 주름살 또는 내린 주름살로 촘촘하다.  북한 이름은 '보라빛무리버섯'으로 향기로우며 맛 좋은 식용 버섯이다. 가을에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효림 땅에 흩어져 나거니 무리지어 난다. 소나무, 개암나무 또는 사시나무 등과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유럽, 북미, 동아시아, 호주, 아르헨티나 등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2023. 10. 12.  경기구리       2023. 10. 24.  경기 구리     ● 민자주방망이버섯 Lepista nuda | blewit, wood blewit  ↘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자주방망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6.5cm로 구형에.. 2024. 11. 26.
참부채버섯 Sarcomyxa serotina(Panellus serotinus) 부채버섯과 같은 애주름버섯과 부채버섯속 버섯이지만 손톱만 한 부채버섯에 비해 훨씬 커서 갓 지름 10cm쯤이다. 반원형-콩팥 모양의 갓 표면은 탁한 황갈색-황록색이며 가는 털로 덮여 있고 표피 아래에 젤라틴층이 있어서 잘 벗겨진다. 자루는 갓 한쪽으로 붙으며 굵고 짧다.  봄이나 가을에 참나무류 등 활엽수의 고사목이나 그루터기에 무리지어 발생한다. 한국, 일본,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간주된다.    2024. 11. 03.  고양 서오릉       ● 참부채버섯 Sarcomyxa serotina | olive oysterling, late fall oyster, late oyster mushroom  ↘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애주름버섯과 부채버섯속 자실체의 갓은 반원형~콩팥형이며, 조.. 2024. 11. 17.
큰비단그물버섯 Suillus grevillei 낙엽송(일본잎갈나무)가 늘어서 있는 산허릿길에서 큰비단그물버섯을 만난다. 황적갈색의 큼직하고 화사한 갓이 아름다운 버섯이다. 버섯 흉년, 올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대면하는 큰비단그물버섯일 듯하다.  북한명은 '꽃그물버섯'이다. 여름~가을 잎갈나무 숲 땅에 흩어져 난다. 전 세계 북반구 온대-냉대 지역과 호주 동부, 뉴질랜드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나 맛은 없다.    2024. 10. 27.  서울       ● 큰비단그물버섯 Suillus grevillei | Greville's bolete, tamarack jack, larch bolete  ↘  주름버섯강 그물버섯목 비단그물버섯과 비단그물버섯속균모는 육질로 두껍고 지름 4~10cm, 둥근 산 모양이다. 중앙부는 약간 돌출하거나 오목하다. 표면.. 2024. 11. 14.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갓 표면은 다갈색~적갈색으로 주변부는 연한 색이며, 흰 섬유상 비늘조각이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고 황백색에서 황갈색을 거쳐 자갈색이 된다. 북한에서는 '밤버섯'이라고 하며 같은 뜻의 chestnut mushroom이란 영명도 있다. 조덕현은 노란다발과 함께 '다발버섯속'으로 분류하여 '개암다발버섯'으로 기록하고 있다. 가을에 활엽수의 고목 그루터기 또는 땅에 묻힌 나무 등에 무리지어 난다. 북반구 난·온대 이북에 분포한다. 일본,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간주되나 치명적인 독버섯으로 비슷한 노란개암버섯과 혼동할 위험이 있다.    2024. 10. 27.  서울        ●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 brick cap, chestnut mushro.. 2024. 1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