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미과411

병아리꽃나무 열매 <비교> 황매화 열매 장미과 병아리꽃나무속의 관목으로 수형이나 잎 모양, 열매 달린 모양 등이 황매화와 유사하나, 황매화는 꽃이 노랗고 꽃앞이 5개인 데 비해 병아리꽃나무는 꽃잎이 희고꽃잎이 4개이다. 황해도, 경기도, 강원도, 경상북도 등 중부 지역 이남 바닷가 근처 낮은 산지나 섬에 나며 일본 혼슈, 중국 동부~중북부 등에 분포한다. 2025. 06. 18. 남양주 꽃받침은 4갈래로 잎처럼 넓게 펼쳐진 모양이며 그 안에 열매는 4개씩 달리며 1-3개가 탈락하기도 한다. ● 병아리꽃나무 Rhodotypos scandens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병아리꽃나무속 관목 줄기는 모여나며, 높이 1.5~2.0m이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긴 난형, 4~10cm이다. 잎끝은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고, 밑은.. 2025. 7. 18.
황매화 Kerria japonica, 열매 황매화 꽃은 잘 알아도 열매를 제대로 살펴본 적이 없었는데 뜻밖에 병아리꽃나무 열매와 아주 유사하면서도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된다. 사실 두 나무는 수형과 잎 모양이 아주 비슷하여 어린 나무는 구별이 어렵다. 줄기나 가지가 가늘고 녹색이며 잎은 측맥과 톱니가 뚜렷한데 다만 병아리꽃나무의 잎이 조금 원만한 편이다. 그러나 꽃은 다르다. 병아리꽃나무는 꽃잎 4개인 흰 꽃을 성기게 피우는 데 비해 황매화는 꽃잎 5개인 노란 꽃을 줄지어 피운다. 꽃의 형태에 따라 병아리꽃나무 열매는 잎 모양으로 넓은 꽃받침에 4개씩 달리는 데 비하여, 황매화 열매는 별 모양의 작은 꽃받침에 5개씩 달리지만 미성숙으로 탈락이 발생하여 1-5개로 다르게 달린다. ☞ 병아리꽃나무, 황매화 열매 비교 => https://kheenn... 2025. 7. 18.
해당화 Rosa rugosa "해당화 피고 지는 섬마을에" 라는 가요로 환기되는, 해변에서 매혹적인 색감의 꽃을 피우는 장미속의 가시 있는 관목이다. 꽃이 지고 난 뒤에 달리는 열매가 둥글고 굵어서 방울 토마토를 연상시키는 탓인지 'beach tomato' 'sea tomato'라는 영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중국 이름은 '玫瑰'(매괴). 우리나라 전역 바닷가 모래땅이나 산기슭에 자생한다. 원산지는 동북아시아(러시아 사할린, 우수리, 캄차카, 북미, 일본, 중국 만주 등)이지만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등에도 널리 퍼져 있다. 2025. 06. 12. 삼척 ● 해당화 Rosa rugosa | rugosa rose, beach rose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 관목 줄기는 모여나며, 겉에 바늘 모양의 가시,.. 2025. 7. 13.
물싸리 Potentilla fruticosa => Dasiphora fruticosa 음식점 옆 빈터, 계곡 입구 빈터에 관상용으로 심어진 것이지만 백두산 등 함경도 고산 습지나 바위 틈에 자생하기도 하는 양지꽃속 관목이다. 북부지방에 자생하는 물싸리풀과 아주 비슷하지만 물싸리풀은 여러해살이풀이다. 북반구 서늘한 온대 지역, 특히 고산지에 널리 분포한다. 2025. 06. 11-12. 태백, 삼척 무릉계곡 ● 물싸리 Dasiphora fruticosa | shrubby cinquefoil, Bush Cinquefoil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물싸리속 관목 수형은 반구형이다. 잔근성의 뿌리가 있다. 줄기는 높이가 1.5m에 달하고 밑에서 많은 줄기를 내어 큰 포기를 만든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세로로 잘게 갈라지고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로 홀.. 2025. 7. 12.
<연변 용정> 시베리아살구 Prunus sibirica 일송정에서 만난 시베리아살구, 열매가 조랑조랑 달려있다. 다소 좁아 보이는 잎과 고르게 발달한 잔 톱니, 납작해 보이는 열매 정도에서 특징이 나타난다. 시베리아살구는 나무껍질에 코르크층이 발달한 개살구와 달리 나무껍질에 코르크층이 발달하지 않는다. 개살구나무에 비해 잎이 보다 좁고 잎 가장자리 잔 톱니가 비교적 규칙적이며, 열매가 약간 납작한 편구형이고 핵의 한쪽 가장자리에 날개가 뚜렷하게 발달한다. 우리나라 충북 이북 석회암지대와 북부지방에서 자생하며 일본, 중국 동북부, 몽골, 시베리아와 연해주 등에 분포한다. 2025. 06. 02. 용정 일송정 ● 시베리아살구 Prunus sibirica | Siberian apricot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 교목 석회암지대에서.. 2025. 7. 7.
<백두산> 귀룽나무 Prunus padus 개벚지나무와 거의 비슷한 시기에 흰 꽃이 피고 총상꽃차례와 수형 등도 매우 닮은 모습이다. 그러나 개벚지나무 꽃이 수술이 꽃잎보다 길어 꽃잎이 가려지는 개벚지나무에 비해 귀룽나무는 수술이 짧아서 흰 꽃잎이 크게 돋보이는 아름다움이 있다. 장미과 벚나무속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몽골,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유럽 등 북반구 중고위도 지역에 분포한다. 2025. 06. 02. 백두산 안도현 선봉령 ● 귀룽나무 Prunus padus | Bird cherry, hackberry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 교목 원뿌리와 곁뿌리가 있다. 수고는 15m 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일년생가지를 꺾으면 냄새 나고 나무껍질은 흑갈색으로 세로로 벌어진다. 가지의 신장은 분산형으로 수형은.. 2025. 7. 5.
<백두산> 개벚지나무 Prunus maackii 높이는 10m까지 자라는 큰 키 나무로 나무껍질은 황갈색으로 광택이 있고 옆으로 갈라진다. 꽃은 묵은 가지에서 곧게 선 총상꽃차례에 10~30개가 달려 꽃차례가 풍성하고 수술이 암술과 같이 길다. 중부 이북 높은 산지(계방산, 가리왕산, 설악산, 소백산, 오대산, 함백산)나 평안도나 함경도 등 북부지방에 자생하며 중국 만주, 시베리아에 분포하며 러시아 유럽 지역에 도입되었다. 2025. 05. 31. 백두산, 황송포 습지 ● 개벚지나무 Prunus maackii | Amur cherry, Manchurian cherry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 교목 높이 15m. 나무껍질은 황갈색으로 윤기가 있고 옆으로 벗겨지며 일년생가지는 털이 점차 없어지고 갈색으로 된다. 가지가 정자형.. 2025. 6. 27.
당마가목 Sorbus pohuashanensis 덕유산 이북에 자생하며 겨울눈에 털이 있는 것을 당마가목으로 취급하였으나, 마가목과 달리 부채꼴의 탁엽이 있고 열매 시기까지 숙존하는 특징이 있으며, 동아와 잎 뒷면 등에 전체적으로 흰 털이 밀생하고 열매의 씨방이 융합되어 있지 않다. 한반도에서는 백두산 지역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보며 나머지는 모두 마가목으로 취급한다. 중국 이름은 '花楸树'(화추수)이며, 중국 하북성 이북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2025. 05. 30. 미인송공원 ● 당마가목 Sorbus pohuashanensis | Amur mountain ash ↘ 목련강 장미목 정미과 마가목속 관목-소교목 높이는 8 m까지 자란다. 줄기는 짙은 회갈색을 띠며, 가로진 피목이 발달했으며 수피는 거칠게 벗겨지기도 한다. 일년생.. 2025. 6. 20.
땃딸기 Fragaria orientalis(F. mandshurica) 흰땃딸기(F. nipponica)와 비슷하지만 꽃자루의 털이 옆으로 퍼지고 가지가 지면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는 것이 다르다. 강원 이북의 산지 양지바른 풀밭, 관목림에서 자란다.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한다. 2025. 05. 30. 이도백하 미인송공원 ● 땃딸기 Fragaria mandshurica | Northeast Asian wild strawberry, Oriental Strawberry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딸기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가지가 지면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꽃대 높이는 15㎝ 정도로 자란다. 근생엽은 모여나기하며 3출복엽이고 길이 5~18㎝로서 엽병이 있다. 정소엽은 사각상 거꿀달걀 모양이며 원두 쐐기모양이고 길이 2.. 2025. 6. 20.
물싸리풀 Sibbaldianthe semiglabra(Potentilla bifurca var. glabrata) '풀매화' '풀물싸리'라고도 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양지꽃속(Potentilla)으로 분류되어오다 물싸리풀속(Sibbaldianthe)으로 이속되었다. 물싸리는 관목인 반면 이 종은 초본인 점으로 뚜렷이 구분된다. 백두산 지역 길가, 도랑둑, 밭머리 등의 풀밭에서 자란다. 중국, 몽골, 카르키즈스탄, 카자흐스탄, 러시아 극동부 등에 분포한다. 2025. 05. 30. 연변 화룡 ● 물싸리풀 Sibbaldianthe semiglabra | Glabrous forked-leaf cinquefoil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물싸리풀속 여러해살이풀높이가 5~25㎝ 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라고 밑부분은 털이 없으나 윗부분은 다소 많다. 근경은 갈색으로 가닥가닥나며 옆으로 .. 2025. 6. 17.
중산국수나무 Physocarpus opulifolius var. intermedius 국립생물자원관이나 국립수목원 기재문에는 중국 원산으로 기록되고 있으나 여러 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북미 원산으로 보인다.내한성이나 내건성, 내공해성 등 적응력이 뛰어나 우리나라에는 정원이나 공원의 조경수로 비교적 널리 심고 있다. 조팝나무와 비슷해 보이나 산국수나무속으로 분류된다. 2025. 05. 25. 서울 ● 중산국수나무 Physocarpus opulifolius var. intermedius | Atlantic ninebark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산국수나무속 줄기는 높이가 2m에 달하고 나무껍질은 황갈색인데 오래 되면 벗겨지며 일년생가지에는 종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나무껍질은 황갈색으로 오래 되면 벗겨지며 일년생가지에는 종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길이 2.. 2025. 6. 15.
산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 산 가장자리 가까운 풀밭에 노란 꽃을 피운 이 뱀딸기속 식물은 부꽃받침잎이 꽃에 가려서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런 모습이라면 산뱀딸기로 볼 수 있을 듯하다. 뱀딸기(D. indica)가 부꽃받침잎이 꽃과 꽃받침에 비해 매우 큰 데 비해 산뱀딸기(D. chrysantha)는 꽃받침 아래에 있는 부꽃받침잎이 꽃과 열매에 거의 가려질 정도로 크지 않은 점으로 구별된다. 뱀딸기속(Duchesnea) 종들은 딸기속(Fragaria)에 비해 꽃이 노란색이고 부꽃받침잎이 꽃받침잎보다 크므로 구분된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2025. 05. 25. 서울 ● 산뱀딸기 Duchesnea chrysantha | false strawberry ↘ 목련강 장미아강 장미목 장미과 뱀딸기속 여러해살.. 2025. 6. 14.
붉은 찔레꽃(찔레나무) Rosa multiflora 지리산 둘레길을 걷고 있는데 흔치 않은 연한 붉은빛 꽃이 핀 찔레꽃을 만난다. 찔레꽃은 전래 동요 "엄마 일 가는 길에 하얀 찔레꽃, 찔레꽃 하얀 잎은 맛도 좋지."라는 가사처럼 보통 흰 꽃이 피지만, 일제 말기 백난아가 부른 트로트 가요 "찔레꽃 붉게 피는 남쪽나라 내고향"이란 노랫말에서처럼 붉은 꽃이 드물게 피기도 한다. 찔레나무는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야장미(野蔷薇)'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2025. 05. 17. 구례 흰 찔레꽃 ● 찔레꽃(찔레나무) Rosa multiflora | multiflora rose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 관목높이 2m. 가지는 2~7mm의 가시가 발달한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깃모양겹잎.. 2025. 6. 9.
윤노리나무 Pourthiaea villosa 윷놀이의 윷을 만들기에 알맞은 나무라 하여 불리게 된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5월에 흰 꽃이 피고 가을에 붉은 열매가 익는다. 꽃받침통이 육질화하는 열매를 갖는 사과아과의 관목으로 씨방 실당 1개 이상의 종자가 발달하고 열매가 달리는 자루에 사마귀 같은 돌기가 뚜렷하게 발달하는 특징으로 장미과 내에서 구분된다. 경남, 전남, 제주, 울릉도, 경기, 강원 등에 자라고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2025. 05. 14. 남양주 ● 윤노리나무 Pourthiaea villosa | Christmas berry, oriental photinia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윤노리나무속 관목 높이 5m. 줄기는 밑에서 옆으로 자라며 몇 개의 수간이 올라온다. 일년생가지에는 백색털과 타원형의 껍질눈이.. 2025. 5. 27.
홍가시나무 Photinia glabra 잎 모양이 참나무과의 가시나무(Querucus myrsinifolia)와 비슷하고 새잎이 자라날 때와 단풍이 들 때 붉은색을 띠므로 홍가시나무라고 한다. '붉은순나무'라고도 하며 중국 이름은 '광엽석남(光叶石楠)'이다. 장미과 윤노리나무속(홍가시나무속)의 소교목으로 남부지방에 관상용이나 울타리용으로 심는다. 태국, 미얀마,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2023. 04. 26. 제주도 ●홍가시나무 Photinia glabra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홍가시나무속(윤노리나무속) 상록 활엽 소교목 높이 3 ~ 10m. 가지는 흑회색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가죽질이며 거꿀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점첨두 예저이며 길이 5 ~ 12cm, 폭 2.5 ~ 4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평활하며 윤채가.. 2025.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