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정보 자료48 메꽃과 메꽃속(Calystegia) 검색표 ※ 메꽃과 메꽃속 자생종큰메꽃 Calystegia sepium (L.) R.Br. for. sepium : 잎끝이 뾰족하다. 잎자루, 꽃자루가 길다.꽃이 흰 색에 가깝다.흰큰메꽃 Calystegia sepium f. album Y.N.Lee메꽃 Calystegia sepium var. japonicum (Choisy) Makino흰메꽃 Calystegia sepium var. japonica f. albiflora (Makino) Yamazaki선메꽃(털메꽃) Calystegia dahuricus (Herb.) Choisy : 즐기에 털이 있다.애기메꽃 Calystegia hederacea Wall. : 꽃자루에 날개가 있다.갯메꽃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 2020. 1. 6. 나리난초속(Liparis) 자생 12종, 종 검색표 ● 국가표준식물목록 나리난초속(Liparis) 12종 (2024) 나나벌이난초 Liparis krameri Franch. & Sav.나리난초 Liparis makinoana Schlech.옥잠난초 Liparis kumokiri F.Maek.유명난초 Liparis fujisanensis F.Maek.참나리난초 Liparis koreana (Nakai) Nakai키다리난초 Liparis japonica (Miq.) Maxim.한라옥잠난초 Liparis auriculata Blume ex Miq.흑난초 Liparis nervosa (Thunb.) Lindl.큰꽃옥잠난초 Liparis koreojaponica Tsutsui, T.Yukawa, N.S.Lee, C.S.Lee & M.Kato 계우옥잠난초 Lipa.. 2020. 1. 6. 노린재나무속(Symplocos) 자생종 ※ 노린재나무속(Symplocos) 자생종• 흰노린재나무Symplocos chinensis var. leucocarpa (Nakai) Ohwi • 섬노린재나무 Symplocos coreana (H.Lév.) Ohwi • 검노린재나무 Symplocos tanakana Nakai • 검은재나무 Symplocos prunifolia Siebold & Zucc. • 사철검은재나무 Symplocos lucida (Thunb.) Siebold & Zucc. • 노린재나무 : 전국적 분포. 열매는 벽색(碧色)이다. • 흰노린재 : 열매가 희다. 강원도 통천에서 자란다.• 섬노린재나무 : 제주도. 가지 회갈색. 수피는 엷은 조각으로 떨어진다. 잎끝이 꼬리처럼 길다. 노란 꽃밥. 검은 보랏빛 열매 • 검노린재.. 2020. 1. 3. 산앵도나무속(Vaccinium) 자생종, 검색표 ※ 산앵도나무속 Vaccinium 자생종산앵도나무 Vaccinium hirtumvar. koreanum (Nakai) Kitam. 색산앵도나무(비합법명) Vaccinium hirtum var. variegatum Nakai 월귤 Vaccinium vitis-idaea L. 넌출월귤 Vaccinium oxycoccus L.애기월귤 Vaccinium oxycoccus subsp. microcarpus (Turcz.) Kitam.정금나무 Vaccinium oldhamii Miq. 들쭉나무 Vaccinium uliginosum L.산들쭉나무 Vaccinium uliginosum var. alpinum Bigelow굵은들쭉나무 Vaccinium uliginosum f. depressum Nakai ex Uyeki.. 2019. 12. 29. 참나무속 Quercus 검색표 ※ 참나무속(Quercus) 자생종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Murray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깃참나무 Quercus mongolica var. liaotungensis (Koidz.) Nakai 물참나무 Quercus mongolica var. crispula (Blume) H.Ohashi 갈참나무 Quercus aliena Blume 졸갈참나무 Quercus aliena var. acuteserrata Maxim. ex Wenz. 청졸갈참나무 Quercus aliena var. acuteserrata f. calvescens Rehder & Wilson 청갈참나무 Quercus aliena var. pellucida Bl.. 2019. 12. 29. 싸리속(Lespedeza) 자생종, 검색표 ※ 싸리속 Lespedeza 자생종 싸리 Lespedeza bicolor Turcz. 흰싸리 Lespedeza bicolor f. alba (Bean) Ohwi 털싸리 Lespedeza bicolor var. sericea Nakai 좀풀싸리 Lespedeza bicolor var. typica Maxim. 풀싸리 Lespedeza thunbergii subsp. formosa (Vogel) H.Ohashi : 전국 도로변 숲가장자리 흰풀싸리(비합법명) Lespedeza thunbergii var. intermedia f. alba T.B.Lee 부채싸리(비합법명) Lespedeza thunbergii var. retusa T.B.Lee 참싸리 Lespedeza cyrtobotrya Miq. 흰참싸리 L.. 2019. 12. 29. 한국산 댕강나무속(Abellia) 분류 ※ 댕강나무속 자생 7종(+2종) • 댕강나무 Abelia mosanensis T.H.Chung ex Nakai • 줄댕강나무 Abelia tyaihyoni Nakai • 털댕강나무 Abelia biflora Turcz. (이명 : Abelia coreana Nakai) • 섬댕강나무 Abelia coreana var. insularis (Nakai) W.T.Lee & W.K.Paik • 바위댕강나무 Abelia integrifolia Koidz. *계방댕강나무 Abelia gyebangensis : 국표식 등재 안 됨 *긴털댕강나무 Zabelia densipila> M.-P. Hong, Y.-C. Kim & B.Y. Lee : 국표식 등재 안 됨 • 좀댕강나무 Abelia serrata Siebold .. 2019. 12. 17. 투구꽃속 자생식물 ※ 투구꽃(Aconitum jaluense) 본 분류군은 다른 초오속 식물들과 마찬가지로 식물체 내에 아코니틴이라는 맹독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유독 식물이며 한방에서 약으로 쓴다. 우리나라의 제주를 제외한 전국의 산지에서 쉽게 볼 수 있으며 본 분류군은 분류군 내의 형태적 변이가 심하며, 2년생 뿌리를 지니는 줄기가 직립하고 잎이 3갈래로 깊게 갈리고, 꽃이 달리는 소화경에 긴 선형의 선모가 분포하는 특징으로 다른 초오속 분류군과 구별된다. 지리바꽃(Aconitum chiisanensis Nakai), 이삭바꽃(Aconitum kusnezoffii Rchb.), 한라돌쩌귀(A. napiforme H. Lév. et Vaniot)와 잡종을 이루는 현상과 지역이 보고되었다. 한라산에 분포하는 한라돌쩌귀에 .. 2017. 9. 4. 곡정초속(Eriocaulon) 자생종 검색표 ※ 닭의장풀목 곡정초과 곡정초속(Eriocaulon) 자생종 개수염 Eriocaulon miquelianum Korn. 큰개수염 Eriocaulon hondoense Satake 좀개수염 Eriocaulon decemflorum Maxim. 실개수염 Eriocaulon decemflorum var. nipponicum (Maxim.) Nakai 검은개수염 Eriocaulon parvum Korn. 흰개수염 Eriocaulon sikokianum Maxim. 가는개수염 Eriocaulon tenuissimum Nakai 넓은잎개수염 Eriocaulon robustius (Maxim.) Makino 넓은꽃잎개수염 Eriocaulon latipetalum Y.C.Oh & C.S.Heo 곡정초 Eriocaulo.. 2017. 9. 4. 한국산 골풀속(Juncus) 검색표 골풀과 식물로는 세계적으로 모두 7속 300-400종 가량이 알려져 있다. 대부분 초본이지만, 남아프리카에는 관목 모양인 속도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골풀속(Juncus)과 꿩의밥속(Luzula) 2속이 자생하고 있다. 줄기는 곧게 뻗으며 대부분 가지로 나누어지지 않는다. 잎은 대개 줄기 밑부분에 달리고, 꽃은 방사대칭이며 보통 6개의 작은 꽃덮이조각을 가지고 있다. 수술은 6개 또는 3개이며, 꽃덮이조각과 마주난다. 씨방은 상위로, 1-3개의 방을 가지며 암술머리는 3개가 있다. 열매는 삭과로 그 안에는 3개 또는 여러 개의 씨가 있다. ● 해부학적 형질에 근거한 한국산 골풀속의 검색표 1. 뚜렷한 경생엽이 있으며, 단면엽이다(Subgenus Juncus). 2. 삭과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아삼각형.. 2017. 8. 18. 통발속 Utricularia 자생종 ※ 통발속 Utricularia 자생종 통발 Utricularia vulgaris var. japonica (Makino) Tamura 참통발 Utricularia tenuicaulis (Makino) Tamura :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되어 있지 않음 들통발 Utricularia pilosa (Makino) Makino 북통발 Utricularia ochroleuca R.Hartm. 실통발 Utricularia multispinosa (Miki) Miki 개통발 Utricularia intermedia Hayn.. 2016. 10. 7. 털이슬속 자생종, 검색표 ● 털이슬속(Circaea) 자생종 털이슬 Circaea mollis Slebold & Zucc. 쥐털이슬 Circaea alpina L. 개털이슬 Circaea alpina f. pilosula (H. Hara) Kitag. 쇠털이슬 Circaea cordata Royle 말털이슬 Circaea quadrisulcata (Maxim.) Franch. & Sav. : 강원, 경북, 경남, 전남 푸른말털이슬 Circaea quadrisulcata f. viridicalyx (H. Hara) Kitag. 붉은털이.. 2016. 7. 31. 꿀풀과 들깨풀속(Mosla), 탑꽃속(Clinopodium) ※ 꿀풀과 들깨풀속(Mosla), 탑꽃속(Clinopodium) 자생식물 :국가표준식물목록 ● 들깨풀속(Mosla) 자생종 들깨풀 Mosla punctulata (J.F.Gmelin) Nakai 가는잎산들깨 Mosla chinensis Maxim. 산들깨 Mosla japonica (Benth.) Maxim. 푸른산들깨 Mosla japonica var. robusta Ohwi 섬쥐깨풀 Mosla japonica var. thymolifera (Makino) Kitam. 쥐깨풀 Mosla dianthera (Buch.-Ham. ex Roxb.) ex Maxim. 털쥐깨 Mosla dianthera var. nana (Hara) Ohwi ● 층층이꽃속(Clinopodium) 자생종 애기탑꽃 Clinopod.. 2016. 7. 29. 버드나무과 자생종, 검색표 ● 버드나무목 버드나무과 자생종 ◎ 버드나무속 Salix 45종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Andersson 키버들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붉은키버들 Salix koriyanagi f. rubra (Nakai) W.T.Lee 당키버들 Salix purpurea var. smithiana Trautv. 개키버들 Salix integra Thunb. 선버들 Salix subfragilis Andersson 능수버들 Salix pseudolasiogyne H.L.. 2016. 3. 5. 마속(Dioscorea) 자생종, 검색표 ● 국가표준식물목록 마속(Dioscorea) 자생종과 재배종 마 Dioscorea batatus Decne. 참마 Dioscorea japonica Thunb. 부채마 Dioscorea nipponica Makino 국화마 Dioscorea septemloba Thunb. 단풍마 Dioscorea quinqueloba Thunb. 각시마 Dioscorea tenuipes Franch. & Sav. 도꼬로마 Dioscorea tokoro Makino <재배종> 둥근마 Dioscorea bulbifera L. .. 2016. 2. 21.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