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3580 참조팝나무 Spiraea fritschiana, 씨방 참조팝나무는 우리 나라 특산종이라고 한다. 하지만 중국에 분포하는 유사종과의 동일성 여부 등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가 더 필요하다는 학계의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덤불조팝나무, 둥근잎조팝나무, 좀조팝나무 등 유사종과의 구별도 쉽지 않다. 보통 강원도 이북에 분포하는 덤불조팝나무(S. miyabei Koidz.)에 비해서 잎 뒷면과 열매에 털이 없는 점으로 구분한다고 한다. 소백산 ● 참조팝나무 Spiraea fritschiana ↘ 장미목 장미과 조팝나무속 관목 높이가 1.5m에 달하며 가지는 능각이 있고 털이 없으며 자갈색이나, 일년생가지에는 연한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타원형으로, 첨두, 예저이고, 길이와 폭은 각 3 ~ 8cm× 3 ~ 4cm로, 중앙 이하에 단거치 또는 겹톱니가 있으며, .. 2012. 9. 17. 말나리 Lilium distichum 말나리는 우리나라 각처의 높은 산지에서 자라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이 하늘을 향해 피는 하늘말나리와는 달리 말나리는 꽃이 옆으로 향해 피고 비늘줄기에 둥근 마디가 있다. 하늘말나리에 비해서는 비교적 고산지대에서 분포한다. 반그늘지고 비옥한 활엽수 아래에서 자란다. 한여름에 화려한 주황색으로 피는 꽃이 아름답다. ↓ 소백산 ● 말나리 Lilium distichum | Manchurian turk's-cap Lily ↘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의 구근식물 높이 약 80cm이다. 지름 2∼2.5cm의 둥근 비늘줄기에서 원줄기가 1개씩 나와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는 것과 돌려나는 것이 함께 돋는다. 줄기 중간의 잎은 돌려나며 4∼9개씩 달리지만 10∼20개 달리는 것도 있으며 길이 약 15cm, 나비 2.. 2012. 9. 17. 동자꽃 Lychnis cognata 동자승의 애절한 전설을 담고 있는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높은 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여름꽃이다. 주황색 꽃은 지름 약 4cm이며 5개의 꽃잎은 끝 부분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다. 꽃받침이 통 모양으로 융합되어 있으며 암술대는 5개로 밑부분이 열매에도 남아 있다. ● 동자꽃 Lychnis cognata | Lychnis ↘ 중심자목 석죽과 동자꽃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40-100cm이고 긴 털이 나 있으며 곧게 서고 마디가 뚜렷하다. 근경성으로 성글게 뿌리가 내린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이 없고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 5~8cm, 폭 2.5~4.5cm로서 양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황록색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직경 .. 2012. 9. 17. 큰산꼬리풀 (?) / 꼬리풀속 종 검색표 이름을 찾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전체적으로 산꼬리풀과 많이 닮은 듯한데 꽃밥이 흑자색이 아닌 갈색인 점이 다르고, 잎이 마주나고 윗부분의 잎자루가 없으니 긴산꼬리풀이 아니다. 큰산꼬리풀의 잎밑은 둥글다고 했는데 이것은 다소 뾰족하다. 일단 큰산꼬리풀로 정리해 둔다. 큰산꼬리풀은 기본종인 넓은잎꼬리풀(eronica kiusianum)에 비해 잎이 장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잎자루가 없는 점으로 구별된다. 산꼬리풀과 큰산꼬리풀 등은 잎자루가 없는데 긴산꼬리풀은 짧은 잎자루가 있고 잎이 마주나거나 돌려나는 점으로 구별된다. 소백산 ● 큰산꼬리풀 Veronica kiusiana var. glabrifolia / 현삼과 개불알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1m에 달하며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긴.. 2012. 9. 17. 3개의 대롱꽃이 하나의 꽃으로 피는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 단풍취는 산지의 습기가 많은 반그늘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단풍잎처럼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 잎 모양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초가을 긴 꽃대가 자라나 하얀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리는데, 꽃마다 3개씩의 대롱꽃으로 이루어져 있는 모습이 독특하다. ↓ 소백산 꽃을 들여다 보면 하나의 꽃에 암술이 셋인 듯한 모습인데, 실은 관상화 셋이 모여 하나의 꽃처럼 보이는 것이다. 단풍취의 속명 Ainsliaea는 동인도회사의 외과의사로서 약용식물에 대한 저작을 남긴 에인슬리(Whitelaw Ainslie, 1767–1837)를 기념하여 붙여졌고, 종명 acerifolia는 '단풍잎'이라는 뜻으로 잎 모양을 반영한 이름이다. 단풍취의 변종으로 잎의 패어 들어간 부분이 얕은 것을 가야단풍취(var. subap.. 2012. 9. 17. 잔대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잔대는 층층잔대와 어떤 점이 다를까...? 잔대는 층층잔대처럼 잎이나 꽃차례가 대체로 돌려나지만 때로 어긋나기도 하며, 꽃부리의 끝이 오무려드는 층층잔대와 달리 바깥으로 벌어지며 암술대가 길게 밖으로 나오는 층층잔대와 달리 약간 나오며, 꽃받침 갈래조각이 선형이 층층잔대.. 2012. 9. 17. 애기며느리밥풀 Melampyrum setaceum 애기며느리밥풀은 중부 이북에 자생하는 현삼과의 한해살이풀로 가녀린 줄기에 가느다란 잎이 달리는 연약한 며느리밥풀이다. 포의 색깔이 변종인 새며느리밥풀이 붉은 색인데 비해 녹색인 것으로 구별된다. 소백산 ● 애기며느리밥풀 Melampyrum setaceum | Lanceolate-leaf cow-wheat ↘ 현삼과 꽃며느리밥풀속의 반기생 한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높이 30-60cm이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 선형, 길이 1.5-8cm, 폭 2-13mm이다. 잎 끝은 꼬리처럼 길게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8-9월에 피며, 줄기와 가지 끝의 이삭꽃차례에 달리고, 연한 자주색 또는 드물게 흰색이다. 포엽은 붉은색, 선상 피침형, 가장자리에 가시 모양 톱니가 있다. .. 2012. 9. 17. 알며느리밥풀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알며느리밥풀은 꽃며느리밥풀의 변종으로 꽃며느리밥풀과 거의 비슷하나 꽃며느리밥풀에 비해 잎이 둥글고 꽃차례가 밀집한 모양이며 녹색 포엽 전체에 가시털 같은 톱니가 발달한 것이 특징이다. 중부 이남 동해안을 따라 분포하며, 주로 반그늘 습기 많은 곳에 자란다. 소백산 ● 알며느리밥풀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 현삼과 꽃며느리밥풀속의 반기생 한해살이풀 키는 30~70㎝ 정도이고,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으로 밑으로 가면서 급하게 좁아지고 끝은 뾰족하며 길이 3~6㎝, 폭이 1.5~3㎝이다. 꽃은 8~9월에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로 홍자색으로 피며 줄기 정상부 꽃대에 여러 개의 꽃이 아래에서 위쪽으로 어긋나게 달리고 포에는 긴 가시털 같은 톱니가 있다. 열매는 삭과로 달걀.. 2012. 9. 17. 개갈퀴 Asperula maximowiczii 개갈퀴는 산과 들 또는 물가에서 자라는 꼭두서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산개갈퀴아재비'·'고산차엽초'라고도 한다. 잎 뒤 주맥과 잎 가장자리에 털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갈퀴아재비와 비슷한데, 갈퀴아재비(Asperula lasiantha)는 갈라진 꽃잎에 털이 나 있는 것으로 구별한다. 잎이 넓은 타원형 또는 원형인 것을 넓은잎개갈퀴(for. latifolia)라 한다. ↓ 소백산 ● 개갈퀴 Asperula maximowiczii | Maximowicz's woodruff / 용담목 꼭두서니과 개갈퀴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고 네모지며 높이 25~90㎝이다. 잎은 4~5개가 돌려나고 긴타원상 원형(드물게 긴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4~6㎝, 너비 1~2㎝이며 끝은 뾰족하거나 둔하다. 잎밑은 좁아져 짧.. 2012. 9. 17. 산해박(Cynanchum paniculatum) 열매 산해박은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볕이 잘 드는 산지의 풀밭에서 자라는데 무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선형에 가까울 정도로 긴 잎을 보면 벼과의 풀잎을 연상시키지만 꽃과 열매를 보면 박주가리과의 특성이 그대로 보인다. 열매를 맺.. 2012. 9. 8. 강활 Ostericum koraenum / 강활과 신감채의 관계 홍릉수목원에는 계방산표 강활이 자라고 있다. 강호리라고도 하는 강활은 산형과의 두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로 산골짜기 계곡에서 자란다. 원 뿌리는 썩어도 옆에 새로운 싹이 나서 자란다고 한다. 묏미나리와 비슷하지만 잎은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줄.. 2012. 9. 8. 소경불알 Codonopsis ussuriensis 소경불알이라니, 참 망측스런 이름이다. 한눈에 봐도 더덕 꽃처럼 보이는데, 꽃의 크기가 작다. 만삼과도 비슷하지만 만삼은 꽃부리에 붉은 무늬가 없다. 제주도 한라산에 자생한다는 애기더덕(섬더덕)도 비슷한 모양이지만 소경불알보다도 꽃이 더 작아 애기소경불알이라 불려지기도 .. 2012. 9. 8. 큰개현삼 Scrophularia kakudensis 큰개현삼은 울릉도를 제외한 전역에 분포하며, 특히 백두대간을 따라 고산지역에 집중적으로 자생한다. 중국 동북부, 한국 및 일본에 분포한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줄기 끝과 줄기 끝에 가까운 잎겨드랑이에 꽃차례가 달린다. 줄기에 7개 이상의 마디를 가진다. 2012. 08. 05. ● 큰개현삼 Scrophularia kakudensis ↘ 현삼과 현삼속의 여러해살이풀뿌리는 육질이고 비대하며 양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가 100∼130cm이고 자줏빛이 돌며 단면이 사각형이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길이 5∼14cm의 긴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짙은 보라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원추.. 2012. 9. 8. 앉은부채(Symplocarpus renifolius) 열매 앉은부채의 꽃은 이른봄에 잎보다 먼저 핀다. 양성화로 불염포(佛焰苞)에 싸인 육수꽃차례를 이루며 빽빽이 달린다. 불염포는 갈색을 띤 자주색이고 같은 색의 반점이 있다. 화피조각은 연한 자주색이고 4개이며 길이 5mm의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수술은 4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6~7월경에 둥글게 모여 달린다. 홍릉수목원 잎은 꽃이 시든 후 크게 펼쳐진다. 그런데 꽃 안에 들어 있는 열매가 사라지고 없는 것이 흔히 보이는데, 이는 겨우내 굶주렸던 들쥐가 따 먹고 없기 때문이다. 2012. 9. 7. 솜나물 Leibnitzia anandria 가을 폐쇄화 꽃대 홍릉수목원에는 아직도 솜나물이 솜분취라는 이름표를 달고 자라고 있다. 가을 폐쇄화 꽃대가 한 자 이상 길게 자라난 모습으로, 솜분취가 아니다. 봄에 꽃이 피니 솜분취일 수 없고 가을에 어김없이 폐쇄화가 피니 솜나물임을 보증하고 있다. 그런데 이 잘못된 이름표 때문에 인터넷에.. 2012. 9. 7. 이전 1 ··· 64 65 66 67 68 69 70 ··· 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