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 조경종703 제라늄 Geranum 'blushing turtle' 아파트단지 주변 작은 공원에 심어 놓은 쥐손이풀속의 원예종이 꽃을 피우기 시작했다. 산쥐손이와 비슷한 느낌인데 식물체와 꽃이 더 크고 튼튼해 보인다. 이름은 'blushing turtle'. 늦봄에서 초여름까지 개화를 시작하여 여름과 가을까지 가벼운 꽃이 계속 핀다고 한다. 1999년 Geranium sanguineum과 Geranium x oxonianum 'Julie Brennan' 또는 Geranium asphodeloides를 교차 수분하여 탄생한 종이라고 한다. 2025. 05. 25. 서울 ● 제라늄 '블러싱터틀' Geranum 'blushing turtle' ↘ 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단풍잎처럼 깊게 갈라져 거북 모양이 되며 짙은 녹색으로 천천히 퍼져 .. 2025. 6. 15. 자주달개비(양달개비) Tradescantia ohiensis 자주달개비꽃이 피기 시작한다. 자주꽃이 피어서 자주달개비이지만 흰 꽃에 가까운 꽃들을 피우는 개체들도 더러 보인다. 닭의장풀에 비해 키가 보다 크고 꽃이 보다 짙은 자주색이다. 오하이오 등 북미 원산의 닭의장풀과 여러해살이풀로 정원, 화단에 심어 기르거나 야생화되어 들에서 자란다. '양달개비'라고도 한다. 2025. 05. 25. 서울 ● 자주달개비 Tradescantia ohiensis | bluejacket, Ohio spiderwort ↘ 백합강 닭의장풀목 닭의장풀과 자주달개비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50cm, 청록색을 띤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선형으로 길이 25cm쯤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은 줄기를 감싼다. 꽃은 5월에 가지 끝에 여러 개가 .. 2025. 6. 15. 중산국수나무 Physocarpus opulifolius var. intermedius 국립생물자원관이나 국립수목원 기재문에는 중국 원산으로 기록되고 있으나 여러 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북미 원산으로 보인다.내한성이나 내건성, 내공해성 등 적응력이 뛰어나 우리나라에는 정원이나 공원의 조경수로 비교적 널리 심고 있다. 조팝나무와 비슷해 보이나 산국수나무속으로 분류된다. 2025. 05. 25. 서울 ● 중산국수나무 Physocarpus opulifolius var. intermedius | Atlantic ninebark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산국수나무속 줄기는 높이가 2m에 달하고 나무껍질은 황갈색인데 오래 되면 벗겨지며 일년생가지에는 종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나무껍질은 황갈색으로 오래 되면 벗겨지며 일년생가지에는 종모양의 돌기가 나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길이 2.. 2025. 6. 15. 레몬구아바 Psidium cattleyanum var. littorale, 꽃과 열매 베란다 화분들에 레몬구아바 꽃들이 피고 있다. 레몬구아바는 붉은 열매가 달리는 스트로베리구아바(Psidium cattleyanum)의 변종으로 노란 열매가 달린다. 흔히 '왕구아바'라 불리는 구아바(Psidium guajava)와는 다른 종으로 비교적 작고 열매도 작으며 과육이 토마토의 속 같은 질감을 가진 종이다. 잎맥이 두드러진 왕구아바와 달리 레몬구아바는 잎이 매끈하다. 브라질 원산으로 열대지역에 분포한다. 2025. 05. 20. 서울 2024. 10. 20. 서울 ● 레몬구아바 Psidium cattleyanum var. littorale | yellow cattley guava, yellow strawberry guava, yellow cherry guava, lemo.. 2025. 6. 14. 알라만다 카타르티카 Allamanda cathartica, 꽃과 열매 아메리카가 원산의 협죽도과의 관목으로 햇빛이 충분하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자란다. 긴 나팔 모양의 노란색 커다란 꽃이 피는 종으로 꽃 모양이 트럼펫을 연상시켜 ‘황금 트럼펫(Golden Trumpet)’이라 불린다. 아메리카 중남부가 원산지로 멕시코부터 아르헨티나, 브라질의 열대 지역에 분포한다. 2025. 05. 18. 구례 ● 알라만다 카타르티카 Allamanda cathartica | Golden Trumpet ↘ 용담목 협죽도과 알라만다속 상록 관목 가지치기를 하면 관목상으로 자라며 가지치기를 하지 않으면 6m 정도까지 자란다. 갈라파고스제도에서는 15m까지 자란다. 꽃은 긴 나팔 모양으로 끝에서 꽃잎이 5개로 갈라진다. 열매 한 개에 약 2~4개의 씨가 들어있다. .. 2025. 6. 9. 분홍아까시나무 '핑크 캐스케이드' Robinia margarettae 'Pink Cascade' 지리산 둘레길을 걷던 중 어느 마을에서 만난 핑크색 꽃이 피는 아까시나무. 종을 동정하기가 꽤 까다로운데 국가표준식물목록에 기록된 재배종을 기준으로 검색하여 분홍아까시나무 '핑크 캐스케이드'로 동정한다. Robinia hispida var. kelsey와 Robinia pseudoacia의 교배종으로 높이 6m에 이르며 핑크색으로 꽃이 피며 진한 향기를 발산하다. 꽃아까시나무(Robinia hispida)는 높이 1m 정도로 작고, 줄기에는 붉은 가시가 밀생하고 화경에는 거센 붉은 털이 밀생한다. 꽃아까시나무 루브라(Robinia hispida 'Rubra')는 높이 3m 정도이다. Robinia pseudoacacia 'Purple Robe'는 자줏빛이 돌고, Robinia luxurians는 흰색 .. 2025. 6. 8. 백합나무(튤립나무) Liriodendron tulipifera 목련과의 나무로 백합나무는 속명 'Liriodendron'에서 우래한 것이며, 가지 끝에 한 개씩 달리는 녹황색 꽃 모양이 튤립과 비슷하므로 '튤립나무'라고도 한다. 미국 원산으,로 높이는 55m까지 자라는 큰키나무이다. 가을에 노란 단풍이 들어서 미국에서는 '노란포플러(yellow-poplar)'라고도 부른다. 생장이 빠르고 목재 재질은 약한 편이다. 1936년경 도입되었으며 공해와 건조, 추위에 강하기 때문에 2000년대 들어서 조경수로 많이 이용한다. 습하고 따뜻한 곳에서 생장 속도가 빠르다. 2025. 05. 17. 구례 ● 백합나무 Liriodendron tulipifera | tulip tree, yellow-poplar ↘ 목련강 목련목 목련과 튤립나무속 교목 높이는 .. 2025. 6. 6. '수국백당나무', 불두화(佛頭花) Viburnum opulus var. sargentii f. hydrangeoides 백당나무를 개량한 원예 품종으로 열매를 맺지 못하는 무성화(중성화)만 피는 것을 불두화(佛頭花)라 하는데, 초파일을 전후하여 곱슬곱슬한 부처님 머리 모양을 닮은 둥근 꽃차례로 피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수국백당나무'라고도 하며 주로 절 경내에서 조경수로 심는다. 2025. 05. 14. 남양주 ● 불두화(佛頭花) Viburnum opulus var. sargentii f. hydrangeoides | Snowball tree ↘ 목련강 국화아강 산토끼꽃목 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 관목 높이는 3~6 m이다. 어린 가지는 털이 없고 붉은 빛을 띠는 녹색이나, 자라면서 회흑색으로 변한다. 줄기껍질은 코르크층이 발달하였으며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4~12 cm의 넓은.. 2025. 5. 29. 자목련 Magnolia liliiflora 중국 원산의 목련으로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목련속 식물 가운데 자주색 꽃이 핀다. 다른 종들에 비해 꽃 피는 시기가 한 달 가까이 늦은 편이다. 비슷한 자주목련(Magnolia denudata var. purpurascens)은 백목련의 변종으로 화피 안쪽은 흰색이고 바깥쪽은 홍자색인 점으로 구별된다. 중부 이남에서 식재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2025. 05. 14. 남양주 ● 자목련 Magnolia liliiflora | purple magnolia, lily magnolia ↘ 목련강 목련목 목련과 목련속 교목 높이 15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며, 도란형 또는 넓은 도란형으로 길이 8~18cm, 폭 4~10cm이고, 잎끝은 안쪽으로 굽으며 뾰족하고, 밑은 뾰.. 2025. 5. 26. 가래바람꽃 Anemone dichotoma 줄기 윗부분이 보통 2개씩 가지를 치는 특징으로 '갈래바람꽃'이라고도 한다. 바람꽃(A. narcissiflora)에 비해 줄기는 2개씩 갈라지며 뿌리잎이 없고 줄기잎에 잎자루가 없는 점이 특징이다. 중국 이름은 '이지은련화(二歧银莲花)'이다. 카나다바람꽃(Anemonastrum canadense)과 매우 유사하다. 북부지방 국경 지대에서 중국 만주, 몽골을 거쳐 러시아 시베리아에까지 자란다. 일본에도 분포한다. 2025. 05. 14. 남양주 ● 가래바람꽃 Anemone dichotoma | dichotomous anemone ↘ 목련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잔털이 있다.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며 옆으로 벋는다. 줄기는 곧추서며, 꽃대를 포함한 전체 .. 2025. 5. 25. 잭프로스트 브루네라 Brunnera macrophylla 'Jack Frost' 흰그물무늬가 있는 심장형의 커다란 잎과 물망초를 닮은 보랏빛 작은 꽃의 조화가 특이한 아름다움을 주는 풀꽃이다. 원종은 코카서스 원산으로 시베리아를 포함한 동유럽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영어 이름은 '시베리아지치(Siberian bugloss)' '큰물망초(great forget-me-not)' '심장잎브루네라(heartleaf brunnera)' '가짜물망초(false forget-me-not)' 등으로 다양하다. 내한성이 강하고 반그늘(바람직하게는 오전에 햇볕 들고 오후에 그늘 지는), 촉촉하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 잘 자란다. 2025. 05. 14. 남양주 ● 잭프로스트 브루네라 Brunnera macrophylla 'Jack Frost' | Siberian bugloss, g.. 2025. 5. 24. '너도부추', 아르메리아 Armeria 아르메리아는 갯질경이과 너도부추속 식물을 일컬으며, 가늘고 긴 선형의 잎이 무더기로 모여나고 가운데 자라난 긴 화경 끝에 두상꽃차례를 다는 모습이 부추와 매우 비슷하므로 '너도부추'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 하지만 이 이름은 유통명으로 정식 명칭은 아니다. 봄이나 여름에 흰색이나 분홍색, 보라색, 빨간색 꽃이 핀다. 주로 지중해 지역에 분포하지만, 씨핑크(Sea Pink)'라 불리는 아르메리아 마리티마(A. maritima)는 영국을 포함한 북반구 해안 절벽지대에 자생하며 소금기와 강풍에 잘 견딘다. 2025. 05. 14. 남양주 ● 아르메리아 Armeria | thrift, sea thrift, sea pink ↘ 석죽목 갯질경이과 너도부추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15~30c.. 2025. 5. 24. '아기의 푸른 눈', 네모필라=유리당초(瑠璃唐草) Nemophila menziesii 하얀 바탕에 연푸른 꽃이 산뜻한 아름다움을 주는 지치과의 한해살이풀이다. '네모필라'는 '숲의 사랑'을 뜻하는 이름이며, '아기의 푸른 눈'이라는 뜻의 'baby blue eyes'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원산지는 북아메리카 캘리포니아 일대로 초지나 사막 주변, 산악 삼림 지대 등에 두루 자생한다. 2025. 05. 14. 남양주 ● 네모필라=유리당초(瑠璃唐草) Nemophila insignis | baby blue eyes ↘ 지치목 지치과 네모필라속 한해살이풀 잎은 약간 다육질로, 깃 모양으로 갈라져 자라며, 줄기와 잎이 연한 털로 덮여 있다. 줄기는 높이 15~20cm 정도로 자란다. 4~5월에 지름 2cm 정도의 꽃이 여러 송이 핀다. 꽃잎은 5장이며, 색깔은 종에 따라 .. 2025. 5. 24. 갈기동자꽃 Silene flos-cuculi(Lychnis flos-cuculi) 얼핏 보면 가늘게 갈라진 꽃잎 모양이 제비동자꽃을 연상시키기도 하고 술패랭이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그런데 줄무늬가 있는 볼록한 꽃받침통을 보면 장구채의 특징이 나타난다. 그래서 '술장구채'라 부르면 되겠다 싶었는데 과연 이런 이름이 검색되기도 하고 '티벳장구채'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동자꽃속(Lychnis)으로 Lychnis flos-cuculi라는 학명과 '갈기동자꽃'이라는 국명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은 장구채속(Silene)으로 정리되었다. 원산지는 유럽, 중앙아시아, 러시아 등이며 미국 동부에 도입되아 널리 퍼져 있다. 2025. 05. 14. 남양주 ● 갈기동자꽃 Silene flos-cuculi | ragged robin ↘ .. 2025. 5. 24. '무늬향플록스'(차가플록스) Phlox divaricata 'Montrose Tricolor' 꽃은 라벤더블루색, 잎은 무늬를 가지고 있는 원예종이다. 봄에는 좁은 잎이 분홍색으로 나타나며 계절 내내 가장자리에 흰 무늬가 있는 녹색으로 변한다. 야생종인 '향플록스'(Phlox divaricata)는 원산지가 아메리카 동부로 축축한 낙엽수림과 절벽지대에서 자생한다. 국내에서는 원예종으로 '향기플록스', 향플록스', '차가플록스' 등의 이름으로 유통되고 있고 야생화 사이트에서는 '큰지면패랭이'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학명에 따라 '디바리카타플록스'라는 국명을 쓰고 있다. 2025. 05. 14. 남양주 ● '향플록스' Phlox divaricata | wild blue phlox, woodland phlox ↘ 목련강 국화아강 가지목 꽃고비과 풀협죽도속.. 2025. 5. 24. 이전 1 2 3 4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