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슷한 식물28

터리풀과 단풍터리풀 신구대식물원 / 2013. 06. 02 ● 단풍터리풀 ● 터리풀 2014. 6. 10.
속속이풀과 개갓냉이(졸속속이풀) ● 속속이풀 뿔 모양의 씨방이 짧다. 잎은 전체나 일부가 깊게 갈라진다. ● 개갓냉이 뿔 모양의 씨방이 속속이풀에 비해 2배 이상 길다. 잎은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나 갈라지지 않는다. 2012. 11. 12.
터리풀, 단풍터리풀 잎 모양 비교 터리풀의 잎 단풍터리풀의 잎 2012. 10. 15.
기름새, 큰기름새, 나도기름새 ● 기름새 Spodiopogon cotulifer 큰기름새를 닮았으나 꽃이삭이 엉성하고 작은이삭이 축 늘어진다. 작은이삭에는 자루가 있으며 마디로부터 잘 떨어진다. ↑ 경남 합천 ● 기름새 Spodiopogon cotulifer / 벼목 벼과 기름새속 높이 60∼90cm이며 원주형이고 기름기가 있다. 잎은 길이 40~60cm, 나비 1~1.5cm로서 양끝이 좁으며 밑부분이 잎자루같이 된다. 잎집은 길고 잎혀는 2~4mm로서 뒷면에 털이 있다. 8∼9월에 꽃이 피고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꽃이삭은 길이 20~30cm로서 가지는 길이가 3~5cm이고 돌려나며 각 마디에 작은이삭이 달리고 길이 5mm 정도이다. 호영(護穎:벼과 식물의 꽃을 감싸는 포 중 안쪽에 있는 것)은 막질이고 내영(內穎:화본과 식물의 꽃을.. 2012. 10. 9.
잔대와 층층잔대 구별하기 잔대는 층층잔대와 어떤 점이 다를까...? 잔대는 층층잔대처럼 잎이나 꽃차례가 대체로 돌려나지만 때로 어긋나기도 하며, 꽃부리의 끝이 오무려드는 층층잔대와 달리 바깥으로 벌어지며 암술대가 화관 밖으로 길게 나오는 층층잔대와 달리 살짝 나오며, 꽃받침 갈래조각이 선형인 층층잔대와 달리 피침형이라는 점... 등으로 구별된다. ● 잔대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 층층잔대 Adenophora verticillata 2012. 9. 17.
덩굴곽향, 개곽향, 곽향 덩굴곽향(Teucrium viscidium var. miquelianum)은 경기도와 강원도 이남의 나무 그늘이나 냇가 근처에서 자란다. 개곽향(T. japonicum)에 비해 덩굴곽향은 가늘고 작으며, 개곽향의 잎이 피침형에 가깝고 길쭉한 데 비해 덩굴곽향은 잎이 둥글고 잎자루는 잎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다. ↓ 영월 ● 덩굴곽향 Teucrium viscidium var. miquelianum /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5∼40cm이며 땅속줄기가 길게 옆으로 벋는다. 줄기는 네모지고 털이 빽빽이 나며, 가지는 거의 갈라지지 않는다. 잎은 얇고 좁거나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 4∼8cm, 나비 2∼4cm이다. 잎 끝이 뾰족하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1.5∼3cm이다. 7∼9월에 연.. 2012. 8. 6.
쐐기풀, 애기쐐기풀, 가는잎쐐기풀, 큰쐐기풀, 혹쐐기풀 식물 전체에 가늘고 날카로운 가시털을 잔쯕 달고 있는 쐐기풀. 잎이나 줄기를 무심코 건드렸다간 쐐기털에 쏘여 오래도록 쓰림을 맛보아야 한다. 가시털에 히스타민과 개미산(포름산)이 분비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쐐기털 때문에 재미있는 꽃말이 붙었다. '당신은 짓궂어요' 또는 '풍상(風霜)' 이렇게 잔뜩 무장한 쐐기풀은 꽃도 볼품없다. 튼튼한 가시로 무장한 장미와는 여러 모로 대조적이다. 엷은 녹색의 암꽃과 수꽃이 같은 그루에서 피는데,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꽃이 이삭꽃차례로 가득 달린다. 보통 수꽃은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 밑부분에, 암꽃은 윗부분에 핀다. 하지만 무용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쐐기풀은 뱀독의 해독제나 이뇨제로 이용되며, 민간에서는 당뇨병 치료에도 사용한다. ● 쐐기풀 Urtica .. 2012. 8. 3.
싸리와 참싸리 비교 여름을 지나면서 꽃을 피우는 싸리와 참싸리. 푸른 잎사귀 사이로 점점이 피는 붉은 꽃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폐부를 파고 드는 건강한 향기가 발길을 붙든다. 참싸리와 싸리는 꽃차례의 차이로 쉽게 구별된다. 참싸리는 꽃차례가 짧아서 잎겨드랑이에 바짝 붙어 있다면, 싸리는 꽃차례가 원뿔꼴로 길게 달려 늘어진다. ■ 참싸리 Lespedeza cyrtobotrya 총상꽃차례이지만(싸리나무는 긴 총상꽃차례) 짧아서 두상꽃차례같이 보이고 화축에 밀모가 있으며, 꽃은 7~9월부터 잎겨드랑이에서 피기 시작하여 서리가 내리기 직전까지 계속하여 홍자색으로 핀다. ■ 싸리 Lespedeza bicolor 총상꽃차례는 길이 4~8㎝로서 참싸리에 비해 길고 잎겨드랑이나 가지 끝에 달리며 원추꽃차례를 이루기도 한다. 꽃은 7~8월.. 2011. 10. 30.
서양모과 : 유럽모과(마르멜로) 서양모과와 유럽모과는 국내에서 과수로 기르는 모과와 함께 장미과의 나무이지만 서양모과는 양모과속, 유럽모과는 마르멜로속으로 명자나무속의 모과(Chaenomeles sinensis)와 각각 속이 다르다. ● 서양모과(양모과) Mespilus germanica | medlar 장미과 양모과속의 과일나무이다. 서남아시아와 유럽 동남부에 서식하는 Mespilus germanica 와 1990년에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Mespilus canescens 가 있다. 과일은 너무 딱딱하고 시기 때문에 얼어서 물러지게 한 다음 먹는다. ● 유럽모과(마르멜로) Cydonia oblonga | quince, marmelo 마르멜로(marmelo)는 카프카즈 원산인, 장미과 마르멜로속의 과일나무이다. 과일은 너무 딱딱하고 시.. 2011. 7. 8.
호제비꽃과 제비꽃 구별하기 제비꽃과 호제비꽃은 비교적 분포지가 넓은 제비꽃이다. 그럼에도 이 두 제비꽃의 구별에 혼란을 많이 느낀다. 꽃이 필 때의 제비꽃은 긴 잎자루에 달린 잎이 가늘고 다소 빈약해 보인다. 꽃대가 잎보다 껑충 길어 보이는 점도 제비꽃의 특징이다. 거기에다 전체가 털이 없이 매끈한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잎자루 전체에 날개가 발달되어 있는 점도 뚜렷한 특징 중의 하나이다. 호제비꽃은 제비꽃에 비해 잎이 무성하게 느껴지며 잎 뒷면에 붉은색이 감돈다. 그리고 꽃대의 높이가 잎의 높이와 비슷하거나 낮다. 그리고 호제비꽃은 전체에 짧은털이 밀생하고 있다. 제비꽃과는 달리 잎자루에 날개가 뚜렷하게 발달하지 않은 모습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제비꽃은 옆꽃잎에 털이 나 있는데 비해 호제비꽃은 털이 없는 점으로 구별.. 2011. 4. 27.
땅빈대(Euphorbia humifusa), 애기땅빈대(Euphorbia supina) 덕적도에서 대극과의 한해살이풀인 땅빈대와 애기땅빈대를 만난다. 땅빈대나 애기땅빈대는 모두 대극과의 한해살이풀이다. 땅빈대는 자생종이지만 만나기 쉽지 않은 종이 되었고, 북아메리카가에서 귀화한 애기땅빈대는 왕성한 생명력으로 번식하여 흔하게 볼 수 있다. 땅빈대는 한방.. 2009. 10. 15.
큰여우콩 Rhynchosia acuminatifolia, 여우콩 Rhynchosia volubilis 여우콩의 잎이 마름모형인 것과는 달리, 큰여우콩은 잎끝이 뾰족하다. 그래서 큰여우콩은 '뾰족여우콩', 또는 '나도여우콩'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 큰여우콩 ↓ 굴업도 ● 큰여우콩 Rhynchosia acuminatifolia / 장미목 콩과 여우콩속 여러해살이풀 덩굴식물로 줄기에는 갈색 털이 있.. 2009. 10. 15.
며느리밑씻개, 며느리배꼽의 꽃과 잎 비교 마디풀과의 덩굴성 풀인 며느리밑씻개와 며느리배꼽은 잎과 꽃이 아주 닮았을 뿐만 아니라 서식 환경도 비슷해서 혼동하는 사람이 많다.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자. ■ 며느리밑씻개 며느리밑씻개의 꽃 꽃이 붉은 빛이 돌며, 가지 끝에 별모양으로 모여 달린다. 며느리밑씻개의 잎 잎이 긴 삼각형으로 꽃삽 모양인데, 잎자루는 잎의 밑 부분에 달린다. 잎자루 밑부분을 감싸는 둥근 턱잎이 며느리배꼽의 턱잎에 비해 아주 작다. ● 며느리밑씻개 Persicaria senticosa 가지가 많이 갈라지면서 1∼2m 뻗어가고 붉은빛이 돌며 네모진 줄기와 더불어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잎은 어긋나고 삼각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 같은 턱잎이 있다. 꽃은 양성(兩性)이고 7∼8월에 피며 가지 끝에 모여 .. 2009. 8. 1.
털장대(Arabis nipponica), 장대나물(Arabis glabra) <단풍섬에서 만난 털장대와 장대나물> ■ 털장대(Arabis nipponica)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장대나물에 비해 꽃잎이 둥글고 윤곽이 또렷하다. 꽃받침조각은 4개이며 긴 타원 모양이고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다. 수술은 6개 가운데 4개.. 2009. 6. 16.
얼치기완두와 새완두 비교 갈퀴나물과 닮은 형태를 가진 것으로 가장 작은 풀이 얼치기완두와 새완두이다. 콩과 나비나물속 덩굴성 두해살이풀로 길가 언덕 풀밭에 자라는 두 풀은 전초의 형태나 잎 모양이 비슷해 구별이 쉽지 않지만, 아래에서 보듯 꽃과 덩굴손의 모양에 주목하면 금방 구별할 수 있다. ● 얼치기완두 Vicia tetrasperma 얼치기완두의 꽃 잎겨드랑이에서 난 작은 꽃줄기 끝에 한쌍이 달리는데 입술 꽃잎에 보랏빛 줄무늬가 화려하다. 얼치기완두의 덩굴손 갈래지지 않고 잎끝에 하나가 달렸을 뿐이다. 줄기는 길이 30-60cm, 아래쪽에 가지를 많이 치며 어릴 때 털이 약간 있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며 작은잎은 6-12장이고 끝은 덩굴손으로 된다. 작은잎은 좁은 타원형으로 길이 12-17mm, 폭 2-4mm이며, 양끝.. 2009.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