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비와 나방206

날개짓 소리 들리는 나비, 홍점알락나비 Hestina assimilis 치악산 둘레길 임도에서 날개짓 소리가 들려 고개를 돌려 보니 뜻밖에 홍점알락나비나 날고 있다. 만날 때마다 날개짓 소리를 듣게 되는 나비! 뒷날개에 붉은 원형 무늬들이 있어 영명은 red ring skirt. 수액이나 꽃에 모이지 않는다더니 동물 배설물 곁에 앉는다. 먹이 식물은 팽나무, 풍게나무 등이다.  원래 중국 남부와 타이완, 일본 가고시마 등이 서식지였지만 온난화로 일본 혼슈까지 나타난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2007년 부산 금정사에서 본 이래 서울 가까운 천마산에까지 보았으니 기후 온난화의 심각성을 보여 주는 듯하다. 한반도 중부 이남, 동티베트, 중국, 홍콩에 분포한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홍점알락나비 Hestina assimilis | red ring .. 2024. 6. 25.
사향제비나비 Byasa alcinous, 애벌레 노구소교 다리를 건너 임도로 들어서기 전 농로길, 철조망을 덮은 쥐방울덩굴에서 사향제비나비 애벌레를 만난다.  사향제비나비 애벌레의 먹이는 바로 쥐방울덩굴, 등칡 등과 같은 쥐방울덩굴과 식물이다. 원통형 몸은 검고 제3∼4배마디에 흰 가로띠가 있으며 허리에는 육질의 긴 돌기가 줄지어 있다. 수컷 몸에서 사향 냄새가 난다.  긴꼬리제비나비와 흡사하나 가슴과 배의 측면에 붉은 털이 나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 애벌레에 기생하는 사향제비나비납작맵시벌 등의 천적에 의해서 수가 조절된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사향제비나비 Byasa alcinous(Atrophaneura alcinous) | Chinese windmill  ↘  절지동물문 곤충강 나비목 호랑나비과몸에서 사향냄새.. 2024. 6. 25.
네발나비 Polygonia c-aureum '씨알붐나비'인 산네발나비(Polygonia c-album)와 아주 비슷한 종으로 '남방씨알붐나비'라고도 한다. 산지와 들판, 민가 주변 풀밭에서 흔히 만날 수 있으며 무리지어 날아다니며 국화과의 꽃에서 흡밀하고, 겨울은 성충으로 난다. 애벌레는 환삼덩굴을 먹고 자란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 날개 외연이 둥글다. 임계 ● 네발나비 Polygonia c-aureum | Chinese comma ↘ 나비목 네발나비과 네발나비아과 곤충 여름형은 윗면이 황갈색에 검은색의 점무늬가 있으며 아랫면은 연한 황갈색 바탕에 갈색의 가는 줄무늬가 있으나 가을형은 윗면이 붉은색이 돌고 아랫면은 짙은 적갈색이다. 무늬에 의한 암수구별은 어렵고 배끝의 모양으로 확실하게 구별된다. 암컷의 경우 날개 외연이 둥글게 보이는데, 더 확.. 2017. 10. 6.
솔나리와 조흰뱀눈나비 Melanargia epimede 마치 솔나리를 위한 나비인 듯, 솔나리가 핀 고산 능선에는 조흰뱀눈나비가 독무대를 이루고 있다. 조흰뱀눈나비는 네발나비과 뱀눈나비아과의 나비로, 북한에서는 '참흰뱀눈나비'로 부르며 '산흰뱀눈나비'라는 이명으로도 불린다. '조'라는 접두어는 우리나라 나비 연구에 큰 업적을 남.. 2016. 7. 21.
멧팔랑나비 Erynnis montanus 동북아를 포함하여 우리 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멧팔랑나비는 연 1회 발생하여 봄에만 볼 수 있는 나비다. 이른 봄 산길에서 가장 빨리 볼 수 있는 팔랑나비이다. 암컷은 수컷보다 앞날개 윗면 중앙에 흰색의 띠가 넓다. 애벌레는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 잎을 먹으며 낙엽 사이.. 2016. 5. 8.
애호랑나비 Luehdorfia puziloi 애호랑나비는 호랑나비과 모시나비아과의 나비로 이른 봄에 나타나는데 진달래 꽃을 좋아한다. 4월말 족도리풀 잎 뒷면에 알을 낳고 애벌레는 족도리풀 잎을 먹고 자라 초여름에 번데기가 되어 월동하여 이듬해 봄에 나비가 된다. 애호랑나비는 특이하게도 교미한 다음 암컷의 배끝에 교미주머니(交尾囊)가 달려 생식기를 봉인해 버린다고 한다. 한번 교미한 암컷은 두번 다시 다른 수컷과 교미를 할 수 없는데, 이런 습성은 모시나비류에서도 관찰된다. 곰배령 ● 애호랑나비 Luehdorfia puziloi ↘ 나비목 호랑나비과 모시나비아과 이깔나무잎벌속 앞날개의 길이 27~33mm이다. 앞날개 바깥가두리를 따라 있는 노랑색 띠는 앞끝에서 약간 안으로 휘어지며, 뒷날개 바깥가두리의 무늬는 노랑색을 띤다. 번데기 상태로 월동하였.. 2016. 4. 28.
작은검은꼬리박각시 Macroglossum bombylans 애벌레 고향집 사철나무 위에 덩굴을 이룬 꼭두서니 줄기에 매달린 유충 한 마리. 그네를 타고 있는 꼭두서니의 잎은 모두 사라지고 없다. 알아보니 작은검은고리박각시 애벌레라고 한다. 과연 백과사전에 먹이식물이 꼭두서니라고 되어 있다. 뒤영벌류를 흉내내는 의태(mimicry) 행동을 보인다는.. 2015. 9. 9.
왕세줄나비 Neptis alwina 천마산 낮은 골짜기에서 처음으로 만난 왕세줄나비, 정오에 가까워진 뜨거운 햇살에 힘찬 비행을 보이더니 흙바닥에 내려 앉는다. 지금까지 본 세줄나비 중 가장 크다. 왕세줄나비는 한반도산 세줄나비류 중 가장 큰 종으로, 앞날개 중실의 흰 띠가 톱니 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이 다른 세줄나비류와 구별되는 점이다. 천마산 ● 왕세줄나비 Neptis alwina ↗ 네발나비과 줄나비아과 앞날개의 길이 35~45mm이다. 날개 편 길이는 60~72mm 정도이다. 날개의 앞면은 검고 흰 가로띠가 있으며 앞날개의 것은 띠의 앞가두리가 톱니 모양으로 되었다. 날개의 뒷면은 황갈색이다. 암컷은 수컷보다 크기가 크고 앞날개 외연이 둥글다. 한반도에는 광역 분포를 하는 종이나, 제주도에서는 관찰기록이 없다. 개체수는 보통이며, .. 2015. 7. 30.
왕팔랑나비 Lobocla bifasciata 팔랑나비과의 나비로 왕자팔랑나비(Daimio tethys)와 모양과 무늬가 비슷하다.(하지만 속이 서로 다르다.) 왕자팔랑나비의 흰무늬가 'ㄴ'자 형으로 배열되는 데 비해, 왕팔랑나비는 '1자'형으로 배열된다. 천마산 ● 왕팔랑나비 Lobocla bifasciata ↘ 나비목 팔랑나비과 흰점팔랑나비아과 앞날개의 길이 18~26mm이다. 날개는 회흑갈색으로 앞날개의 앞가두리 중앙에서 후각으로 향하여 흰 무늬의 띠가 있는데 제3방의 흰 무늬는 바깥쪽에 있다. 이 흰띠와 날개 끝과의 중앙부위에 작은 흰 무늬줄이 있다. 연 1회 발생하며 6월에 나타난다. 암컷은 수컷보다 크며 윗면의 바탕색이 약갼 연하고 흰무늬도 다소 크다. 암컷은 주로 어두운 그늘 사이의 기주식물 잎 뒷면에 한 개씩 산란한다. 주로 야산의 아.. 2015. 7. 23.
흰줄표범나비, 큰흰줄표범나비 큰까치수염, 까치수염 꽃을 좋아하는 흰줄표범나비, 큰흰줄표범나비! 해마다 남한산성 까치수염 꽃이 필 때면 찾는 단골 나비이다. ● 흰줄표범나비 ● 흰줄표범나비 Argyronome laodice / 네발나비과 몸길이 58~64mm이다. 대체적으로 암컷은 수컷에 비해 크고 날개 모양이 둥그스름하다. 또한 .. 2015. 7. 21.
도시처녀나비 Coenonympha hero 이름도 세련된 도시처녀나비를 윗세오름 부근에서 만난다. 한반도에는 국지적 분포를 하는 종으로 5월부터 6월 연 1회 발생하며 최근 개체수가 줄고 있다고 한다. 유충은 그늘사초나 실청사초 같은 사초류를 먹이로 먹는다고 한다. ● 도시처녀나비 Coenonympha hero / 네발나비과 뱀눈나비아.. 2015. 7. 18.
깃노랑물결자나방 Ecliptopera pryeri / 자나방과 나방 모음 깃노랑물결자나방은 자나방과의 곤충으로 연노랑색 바탕에 두 줄의 검은점이 있다. 날개는 흰색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으며 날개 끝이 물결 모양의 노란 무늬가 있어서 깃노랑물결자나방이라 한다.    2015. 05. 31.  천마산       ● 깃노랑물결자나방 Ecliptopera pryeri     ↘  나비목 자나방과 몸은 연한 노랑색으로 등에 검은 점이 두 줄로 있다. 날개는 흰색 바탕으로 가운데에는 폐곡선 모양의 굵고 검은 무늬가 대칭을 이루고 있고, 날개 밑부분은 크고 작은 검은 점이 있으며, 날개 끝 안쪽으로는 작은 검은 점을 감싸듯이 몸과 같은 노랑색 무늬가 있다.    ☞ 깃노랑물결자나방 더 보기 => http://blog.daum.net/kheenn/15852030   http://blog.d.. 2015. 6. 4.
세줄나비, 애기세줄나비, 황세줄나비 천마산에서 하루에 세줄나비류 세 종류를 만난다. 세 줄로 된 무늬가 공통점이지만 줄무늬의 모양과 색깔이 조금식 다르며, 특히 주변의 작은 흰 점들의 모양이 다른 것으로 구별된다. ● 세줄나비 Neptis philyra 크게 세줄로 된 흰점 무늬가 앞날개 위쪽의 작은 흰 점 무늬의 도움을 받아 전체적으로 하트형을 이룬다. 앞날개 길이 수컷 27~33mm, 암컷 29~37mm이다. 날개는 검정색 바탕에 흰 띠무늬가 있으며 앞날개 중실의 한 줄과 뒷날개의 밑부분 가까이에 굵은 한 줄과 바깥쪽 한 줄은 날개를 폈을 때 거의 평행하며 앞날개의 바깥쪽에는 흰 가로무늬가 삼(三)자형으로 줄지어 있다. 뒷면은 갈색에 흰 띠가 있다. 연 1회 발생하며, 5∼6월에 나타난다. 나무 위나 풀밭 위를 나는 일이 많으므로 채집.. 2015. 6. 4.
애호랑나비 Luehdorfia puziloi 애호랑나비는 호랑나비과의 나비로 이른 봄에 나타나는데 진달래 꽃을 좋아한다. 4월말 족도리풀 잎 뒷면에 알을 낳고 애벌레는 족도리풀 잎을 먹고 자라 초여름에 번데기가 되어 월동하여 이듬해 봄에 나비가 된다. 애호랑나비는 특이하게도 교미한 다음 암컷의 배끝에 교미주머니(交.. 2014. 5. 16.
참나무산누에나방 Antheraea yamamai 울진 금강소나무숲길에서 만난 참나무산누에나방. 참나무 잎을 야금야금 갉아먹고 사는 산누에나방과의 대형 나방이다. 황색 날개에 한 쌍씩 있는, 태극 문양을 연상케 하는 무늬가 인상적이다. 찢어진 모습의 날개가 마음 아프다. 애벌레는 녹색으로 깨벌레를 닮았는데 나방처럼 덩치.. 2012. 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