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과631 큰비쑥 Artemisia fukudo 사천 갯바위에서 만난 '비쑥', 아런 이름으로 알던 쑥속 종들이 큰비쑥이거나 애기비쑥이라는 것으로 정리되고 있는 듯하다. 실제로 비쑥의 학명으로 이미지들을 검색해 보면 우리나라 바닷가에서 만나본 적이 없는 이미지다. 비쑥은 자생 여부가 분명하지 않은 듯하다. 큰비쑥은 남동해안, 애기비쑥은 함경도 해안에 분포하며, 한반도의 서해에서는 애기비쑥이 큰비쑥과 혼생하며 중간 잡종으로 추정되는 개체들이 관찰된다고 한다. 이렇게 보면 사천 바닷가에서 만난 이 종은 큰비쑥일 수밖에 없는데 두상화의 크기에는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 2024. 11. 06. 사천 ● 큰비쑥 Artemisia fukudo | Asian coastal wormwood ↘ 목련강 국화아강 국화목 국화과 쑥속 두해살.. 2024. 11. 21. 만수국아재비(청하향초) Tagetes minuta 만수국아재비는 남아메리카 남부 원산의 귀화식물로 남부지방과 제주도에서 야생 상태로 자란다. 임양재, 전의식에 의하여 1977년 민주지산에서 발견되고 1980년에 보고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국화과 천수국속의 한해살이풀로 잎 모양과 냄새가 만수국(메리골드)과 비슷하다고 하여 '만수국아재비'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메리골드의 독특한 향기를 연상하게 하지만, 자극적이면서도 부드러워 기분 좋은 향기를 발산한다. 이러한 향기와 함께 포항의 청하 해변에서 발견된 인연으로 '청하향초'라는 이름도 얻었다. '쓰레기풀'이라고도 하는데 쓰레기터나 황무지를 좋아하는 특성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2024. 10. 19. 영흥도 ● 만수국아재비(청하향초) Tagetes minuta | wild m.. 2024. 11. 7. 단풍취 Ainsliaea acerifolia 국화과 단풍취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좀딱취 (Ainsliaea apiculata)와 함께 단풍취속의 자생종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만주, 티베트 지역에 분포한다. 2024. 09. 05. 홍천 미약골 ● 단풍취 Ainsliaea acerifolia | maple-leaf ainsliaea ↘ 목련강 국화아강 국화목 국화과 단풍취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35~80cm에 이른다. 줄기는 가지가 없으며 긴 갈색 털이 있다. 잎은 원줄기 중앙에 4~7개가 돌려나는 것처럼 나며, 원형이다. 잎끝이 7~11개로 얕게 갈라진 다음 다시 3개로 얕게 갈라진다. 양면과 엽병에 털이 있다. 꽃은 7~9월에 원줄기 끝에 수상으로 달리며 총포는 통형이고, 붉은빛이며, 포는 많고 여러 줄로 배열된.. 2024. 9. 24. 절국대 Siphonostegia chinensis 오도산 아침 숲속 산책길에서 절국대 꽃을 처음으로 대면한다. 국내 현삼과의 다른 식물들에 비해서 잎은 홑잎이지만 깊게 갈라지며, 꽃은 노란색이고 꽃받침 통부는 길쭉하며 세로로 난 줄이 있으므로 구분된다. 우리나라 전역 산기슭이나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며 반기생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중국, 러시아 극동부, 일본, 네팔 등에 분포한다. 말린 전초를 약용한다. 2024. 08. 08. 합천 오도산 ● 절국대 Siphonostegia chinensis ↘ 목련강 국화아강 현삼목 현삼과 절국대속 줄기는 곧추서며, 네모지고, 높이 30~60cm다. 잎은 마주나며, 긴 난형으로 길이 2~4cm, 깃꼴로 깊게 갈라지며, 갈래는 선형이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 끝의 잎.. 2024. 8. 23. 겹삼잎국화 Rudbeckia laciniata var. hortensia 상사화와 더불어 여름날 시골 고향집 마당을 환히 밝히는 꽃이다. '겹삼임국화'라는 이름은 20여 년 전 배운 이름이고 어린 시절에는 모두들 '키다리꽃'이라 불렀다. 삼잎국화에 비해 꽃이 겹으로 피며,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여러해살이풀이다. 2024. 08. 03. 합천 가회 ● 겹삼잎국화 Rudbeckia laciniata var. hortensia | golden glow rudbeckia ↘ 목련강 국화아강 국화목 국화과 원추천인국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1.5~2.0m이며, 원기둥 모양, 분백색이 돈다. 뿌리잎은 5~7갈래로 갈라지며, 줄기잎은 3~5갈래로 갈라지고, 털이 없다.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꽃은 7~8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 2024. 8. 20. 자주천인국 Echinacea purpurea, 자주천인국 흰꽃 횡성의 어느 막국수 전문 식당 마당에서 만난 자주천인국이다. 흰 꽃은 자주천인국의 백색 품종(Echinacea purpurea Alba')이다. 꽃이 노랗게 피는 원추천인국(Rudbeckia hirta var. pulcherrima)과는 다른 자주천인국속으로 꽃 색이 자주색이나 분홍색이고 잎에 털이 뚜렷하지 않은 점으로 쉽게 구분된다. 북미 동부 원산의 국화과 여러해살이풀로 전 세계에서 널리 재배하는 관상용 꽃이다. 미국 원주민들의 전통적인 약으로 여러 질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였다고 한다. 2024. 07. 24. 횡성 ● 자주천인국 Echinacea purpurea | purple coneflower, echinacea ↘ 국화목 국화과 자주천인국속 여러해살이풀 뿌리는 수염뿌리다.. 2024. 8. 11. 삼잎국화 Rudbeckia laciniata, 겹삼잎국화(var. hortensia) 북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원추천인국속(루드베키아)의 귀화식물로, 잎이 삼(麻)의 잎과 비슷하게 생겨서 삼잎국화라고 한다. 가장자리의 혀꽃이 밑으로 처지며 중앙에 통상화가 모여 원추천인국과 비슷하지만 꽃이 녹황색이고 잎이 깊게 갈라지는 것이 다르다. 겹삼잎국화는 겹꽃이 피는 점이 다르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2024. 07. 23. 서울 ● 삼잎국화 Rudbeckia laciniata | cutleaf coneflower, golden glow, green-headed coneflower, tall coneflower ↘ 국화목 국화과 원추천인국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2m에 달하고 곧게 서며 분백색이 돌고 왕성하게 퍼진다.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5-7개로 갈라지며 윗부.. 2024. 8. 10. 백일홍 Zinnia violacea(Zinnia elegans) 멕시코 원산의 국화과 백일홍속의 한해살이풀이다. 이름은 꽃이 100일 동안 붉게 피어 닜다는 뜻으로, 영명 또한 'youth-and-age'로 화기가 길어 청춘과 노년이 함께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꽃말(흰꽃)은 ‘순결’이다. 원래 잡초였으나 화훼가들이 개량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고 한다. 배롱나무를 흔히 목백일홍이라고도 하는데 분퓨학적으로 전혀 다른 식물이다. 원산지인 북중미 지역 외에는 독일과 한국에 유난히 많이 기르고 있다. 2024. 07. 05. 서울 ● 백일홍 Zinnia violacea | youth-and-age, common zinnia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백일홍속 한해살이풀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90cm이다. 잎은 마주나며, 긴 난형으로 길이 4-6.. 2024. 7. 12. 원추천인국(루드베키아) Rudbeckia hirta var. pulcherrima 원산지가 북아메리카 남부지방인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 귀화식물이다. 조경용으로 심은 것이 야생화하여 길가, 들에 자라는 한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가운데 통꽃이 원통형으로 불룩하게 솟는 점에서 둥근 공 모양으로 솟은 삼잎국화와 구별된다. 자주천인국은 꽃이 자주색이나 분홍색이고 잎에 털이 뚜렷하지 않은 점으로 구분된다. 2024. 07. 04-13. 서울 ● 원추천인국 Rudbeckia hirta var. pulcherrima | coneflower, black-eyed-susan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원추천인국속 전체에 거친 털이 많이 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6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긴 주걱 모양으로 길이 3~8cm, 폭 1~3cm, 가장자리가 .. 2024. 7. 9.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어린 풀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왕고들빼기속(상추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산씀비귀와 유사하나 잎이 줄기를 감싸는 점이 다르다. 잎은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며 깃꼴로 깊은 결각이 생기기도 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와 베트남에 분포한다. 2024. 06. 07. 대관령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Triangular Lettuce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상추속(왕고들빼기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높이 60~130cm로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다. 잎은 밑이 날개처럼 되어 잎자루로 넓게 이어져서 불룩하게 되거나 줄기를 감싼다. 꽃은 7~8월에 피며, 노란색 머리 모양 꽃이 모여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머리.. 2024. 6. 14.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임도를 따라서 좀씀바귀가 아주 흔하게 바라고 있다. 줄기와 잎 등이 아주 작은 씀바귀 종이므로 좀씀바귀라 한다. 벋음씀바귀(I. debilis)에 비해서 잎은 작고 난형 또는 타원형의 둥근 모양인 점으로 구분된다. 다른 씀바귀처럼 잎과 줄기를 자르면 흰 즙이 나온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하고 잎이 무더기로 나온다. 산 능선을 따라서 또는 길가나 숲 가장자리에 조밀하게 생육하며 주로 메마르고 척박한 토양에서 자라며 번식 속도가 빠르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타이완에 분포한다. 2024. 05. 18. 연천 고대산 ●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 creeping lettuce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벌씀바귀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연약하고 가지가 갈라지면서.. 2024. 5. 23. 선씀바귀 Ixeris strigosa(Ixeris chinensis subsp. strigosa) 선씀바귀는 벌씀바귀속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흰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다. 꽃이 모두 혀꽃으로 꽃차례당 20개 이상의 많은 혀꽃을 갖는 점에서 5~12개 정도의 혀꽃을 갖는 씀바귀와 구별되며, 흰색 또는 자주색을 띠는 흰색인 점에서 노란색인 노랑선씀바귀와 구별된다. 노랑꽃이 피는 노랑선씀바귀(Ixeris chinensis)는 기본종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흰선씀바귀', '자주씀바귀'라고도 하며 중부 이남 산기슭 풀밭이나 길가 등에서 흔히 자란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 타이완에 분포한다. 2024. 05. 18. 연천 고대산 ● 선씀바귀 Ixeris strigosa | Short bristle-like haired ixeris ↘ 국화목 국화과 선씀바귀속 여러해살이풀높이 20-50cm.. 2024. 5. 23. 나도민들레 Crepis tectorum 국화과 나도민들레속의 한해살이풀이자 유럽과 중앙아시아 원산의 귀화식물로 2004년 강원도 평창 강원도 월정사 인근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민들레와 꽃이 비슷하지만 키가 크고 줄기에 좁은 잎이 달리고 가지가 갈라지는 점으로 구분된다. 중국 이름은 옥근초(屋根草). 2005년 이유미 , 박수현 , 정재민에 의해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Amaranthus hybridus)과 나도민들레(Crepis tectorum)>라는 이름으로 보고되었다. 북반구에 널리 귀화하여 분포한다. 2024. 05. 18. 연천 고대산 ● 나도민들레 Crepis tectorum | narrowleaf hawksbeard ↘ 국화목 국화과 나도민들레속 한해살이풀높이 20-100cm이며 7-8개의 모서리와 백색 털이 .. 2024. 5. 22. 봄망초 Erigeron philadelphicus 예전에는 잘 안 보이던 봄망초 꽃이 요즘은 곳곳에 흔하게 목격된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으로 개망초(6~7월)보다 이른 4~5월에 꽃이 핀다. 두상화는 개화 전에 밑을 향해 드리워지는 특징이 있다. 개망초에 비해 키는 아담하고 꽃이 더 화려하여 잡초가 아닌 화단 조경으로도 썩 어울릴 듯하다. 줄기 속이 비어있으며 설상화의 숫자가 무려 150~400여 개로 다른 개망초에 비해 훨씬 많다. 일본에서는 1920년대에 관상용으로 도입되었고, 국내에서는 1980년 (임양재 & 전의식)에 처음 등재되었다. 유럽과 중국에도 퍼져 있다. 2024. 05. 02. 서울 ● 봄망초 Erigeron philadelphicus | Philadelphia fleabane, daisy fleabane ↘ 국.. 2024. 5. 2. 키큰산국 Leucanthemella linearis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구절초를 연상시키는 키가 큰 국화과 꽃을 만난다. 아직 한번도 만나 보지 못한 키큰산국이 절로 떠오르는 것은, 쓰러져 있지만 키가 1m 넘을 정도로 크고 줄기잎이 거의 3갈래(줄기 아래쪽은 5갈래도 보인다)이고 뿌리잎이 지고 없었기 때문이다. 직접 본 적은 없으나 이미지 상으로 총포 모양까지도 거의 유사한데 키큰산국에 비해 설상화 수가 좀더 많아 보이고 볕이 잘 들지 않은 곳이어선지 연약해 보이는 점이 걸리기는 한다. 구절초 등 산국속(Dendranthema)과 달리 키큰산국속(Leucanthemella)의 유일한 자생종이다. 백두산 등 고산지대의 습지에서 자라며 물이 깊지 않은 곳, 습지의 가장자리에서 주로 볼 수 있다. 남한 내 자생지는 경기 수원과 경남 밀양, 산청, 울산, 양.. 2023. 12. 30. 이전 1 2 3 4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