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화과650

가시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spinossimum 엉겅퀴의 변종으로 잎의 가시가 뾰족하고 많으며 가시는 길이 0.6-1.0cm로 보다 길다. 우리나라 제주도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2025. 06. 24. 제주도 ● 가시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spinossimum | Spined Korean thistle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엉겅퀴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약 25cm,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전체에 부드러운 흰털이 난다. 뿌리잎은 줄기잎보다 크고 꽃이 필 때 남아 있다. 잎몸은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깃꼴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깊이 파여 들어간 모양의 톱니와 가시가 있다. 줄기잎은 타원상 피침형이며, 촘촘히 붙어 난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가.. 2025. 7. 21.
갯취 Ligularia taquetii 한국 고유종으로 도서 및 해안지역을 따라 분포하므로 갯취라 한다. 전체적으로 두상꽃차례가 총상으로 배열하고 꽃차례와 꽃자루에 포엽이 없다. 국화과 곰취속 여러해살이풀로 제주도, 거문도, 거제도 등에 분포하며, 자생지 및 개체수가 많지 않다. 2025. 06. 18. 남양주 ● 갯취 Ligularia taquetii | Jejudo ragwort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곰취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m 정도에 달하고 밑부분의 지름이 1㎝ 정도이다. 단엽, 어긋나기 한다. 근생엽은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끝이 둥글고 가장자리는 물결형으로 거의 밋밋하다. 길이는 15~25㎝, 너비 12~15㎝이고 밑부분이 흘러 잎자루의 날개로 되며 잎자루는 길이 25~30㎝이다. 표면은.. 2025. 7. 18.
그늘보리뺑이 Lapsanastrum humile 개보리뺑이일까 했는데 설상화가 20여 개에 가깝게 많으니 그늘보리뺑이로 보인다. 줄기도 옆으로 자라다가 곧추서고 가지가 다소 갈라며 두상꽃차례는 밑으로 처지고 엉성한 산방상으로 달리며 설상화는 20개에 가깝다. 남부지방, 제주도 등 산지 풀밭, 들판, 강가에 나며 일본에 널리 분포하고 중국 동부에도 자생한다. 2025. 06. 07. 부여 ● 그늘보리뺑이 Lapsanastrum humile | Shady nipplewort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그늘보리뺑이속 두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9~50㎝이고 밑에서 모여나며옆으로 자라다가 곧추서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근생엽은 개화시 지면에서 사방으로 퍼지며 엽병이 길고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2025. 7. 10.
<연변 연길> 귀화식물, 나도민들레 Crepis tectorum 국화과 나도민들레속의 한해살이풀이다. 유럽과 중앙아시아 원산의 귀화식물로, 2004년 강원도 평창 월정사 인근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민들레와 꽃이 비슷하지만 키가 크고 줄기에 좁은 잎이 달리고 가지가 갈라지는 점으로 구분된다. 중국 이름은 '옥근초(屋根草)'. 유럽, 중앙아시아, 몽골, 러시아 전역, 중국 만주, 일본, 북미 등 북반구 온대-냉대지역에 널리 귀화하여 분포한다. 2025. 06. 03. 연길 공원 ● 나도민들레 Crepis tectorum | narrowleaf hawksbeard ↘ 국화목 국화과 나도민들레속 한해살이풀높이 20-100cm이며 7-8개의 모서리와 백색 털이 있고, 흰 유액이 나오며 뿌리가 곧다. 근생엽은 길이 10-15cm, 나비 4cm정도이고 가장.. 2025. 7. 8.
<백두산> 두메분취 Saussurea tomentosa, 새순 은분취를 연상시키는 뿌리잎은 혁질이고 잎과 잎자루에는 거미줄 같은 털이 있고 뒷면에는 흰 솜털이 밀생한다. '두메은분취'라고도 한다. 줄기 끝에 1개의 두상꽃차례가 달리는 것이 뚜렷한 특징이다. 중국 이름은 '높은 고개의 분취'라는 뜻의 '高岭风毛菊'(고령풍모국). 낭림산 이북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중국 만주 일대, 러시아 연해주 등 극동지역에 분포한다. 2025. 06. 01. 백두산 북파 입구 ● 두메분취 Saussurea tomentosa | Montane woolly saussurea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취나물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10~20㎝이고 면모로 덮여 있다. 근경이 옆으로 길게 자란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점첨두.. 2025. 6. 30.
개머위 Petasites rubellus 도로변 화산암 부숴진 자갈흙들이 많은 언덕에 개머위 꽃들이 한창이거나 지고 있다. 머위와 같은 속으로 머위와 비슷하지만 잎이 작고 줄기 끝에 작은 두상화가 여러 개 달린다. 중국 이름은 '长白蜂斗菜'(장백봉두채). 북부지방 산지 자갈밭이나 바위 틈에서 자란다. 중국 만주, 러시아 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몽골, 중앙아시아 등에 분포한다. 2025. 05. 31 - 06. 01. 백두산 북파 입구 ● 개머위 Petasites rubellus | Reddish butterbur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머위속 여러해살이풀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어있다. 근생엽은 콩팥 모양이고 길이 3~5.5㎝,너비 5~9㎝이다. 양 면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치아 모양 톱니가 있으며 .. 2025. 6. 29.
지칭개 Hemistepta lyrata 국화과 지칭개속의 유일한 자생종이며 엉겅퀴속(Cirsium)이나 취나물속(Saussurea), 조뱅이속(Breea) 종들과 유사하면서도 다른 모습이다. 햇볕이 잘 드는 들판에서 흔히 자라며 밭두렁이나 버려진 공터 등의 교란된 곳에 자란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지역, 호주 동부 지역에 분포한다. 2025. 05. 25. 서울 ● 지칭개 Hemistepta lyrata | Lyre-shape hemistepta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지칭개속 두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60~80cm이며 속은 비어 있고 가지가 갈라진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밑부분의 잎은 거꿀피침모양 또는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밑부분이 좁아지며 길이 7~21cm로서 뒷면에 백색 .. 2025. 6. 15.
떡쑥 Pseudognaphalium affine 털로 덮인 흰 잎이 쥐의 귀 모양을 닮고 좁쌀 모양의 황색 꽃이 누룩을 닮아 '서국초(鼠麴草)'라고 한다. 봄에 자란 풀로 떡을 만들어 먹어 떡쑥으로 불린다고 한다. 국화과 떡쑥속의 두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고,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인도, 터어키, 코카서스 등에 분포한다. 2025. 05. 17. 구례 ● 떡쑥 Pseudognaphalium affine | Jersey cudweed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떡쑥속 두해살이풀 전체에 흰 솜털이 많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5~40cm이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꽃이 필 때 시든다. 줄기에 자라는 잎은 어긋나며 주걱 모양 또는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4~7월에 피며, 줄기 끝에 머리 모양 꽃이 산방꽃차례.. 2025. 6. 8.
가시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spinossimum 엉겅퀴의 변종으로 잎의 가시가 뾰족하고 많으며 가시는 길이 0.6-1.0cm로 보다 길다. 우리나라 제주도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2023. 04. 24-26. 제주도 ● 가시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spinossimum | Spined Korean thistle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엉겅퀴속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약 25cm,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전체에 부드러운 흰털이 난다. 뿌리잎은 줄기잎보다 크고 꽃이 필 때 남아 있다. 잎몸은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깃꼴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깊이 파여 들어간 모양의 톱니와 가시가 있다. 줄기잎은 타원상 피침형이며, 촘촘히 붙어 난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가지와 .. 2025. 5. 18.
떡쑥 Pseudognaphalium affine 털로 덮인 흰 잎이 쥐의 귀 모양을 닮고 좁쌀 모양의 황색 꽃이 누룩을 닮아 '서국초(鼠麴草)'라고 한다. 봄에 자란 풀로 떡을 만들어 먹어 떡쑥으로 불린다고 한다. 국화과 떡쑥속의 두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고,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인도, 터어키, 코카서스 등에 분포한다. 2023. 04. 25. 제주도 ● 떡쑥 Pseudognaphalium affine | Jersey cudweed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떡쑥속 두해살이풀 전체에 흰 솜털이 많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5~40cm이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꽃이 필 때 시든다. 줄기에 자라는 잎은 어긋나며 주걱 모양 또는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4~7월에 피며, 줄기 끝에 머리 모양 꽃이 산방꽃차.. 2025. 5. 13.
섬갯쑥부쟁이 Aster arenarius 해안에서 떨어진 한라산 기슭에서 자라고 있고 줄기가 붉은색을 띠고 있어 왕갯쑥부쟁이(A. magnus)일까 싶기도 하였으나 전체적으로 키가 낮고 줄기가 엎드려 있는 것이 섬갯쑥부쟁이로 보는 게 맞을 듯하다. 줄기가 눕고 입이 두꺼운 점이 특징이다. 예전에는 '갯쑥부쟁이'로 인식되고 있던 종으로, 제주 해안지역에 흔히 보이는 쑥부쟁이 종류이다. 일본, 중국 저장성 등에도 분포한다. 2023. 04. 24. 제주 ● 섬갯쑥부쟁이 Aster arenarius | beach sand aster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참취속 두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방추형으로 길다. 줄기는 높이 10~60cm, 작년 가지는 옆으로 기고 새로운 가지는 곧추선다. 줄기잎은 주걱 모양으로 두껍고 .. 2025. 5. 11.
벌씀바귀 Ixeris polycephala 늦은 오후에다 다소 흐린 날씨여선지 꽃잎을 닫고 있다. 이 야생화원 주변 언덕에는 유난히 벌씀바귀가 자주 눈에 띈다. 논둑이나 밭둑에서 흔하게 자라는 국화과 벌씀바귀속의 한두해살이풀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추서며 줄기 끝에서 산방꽃차례로 노란 꽃을 피운다. 국내 씀바귀류 식물들에 비해 한두해살이풀이며 줄기잎 밑이 화살촉 모양으로 길어져서 줄기를 감싸는 점이 특징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인도, 미얀마 등에 분포한다. 2025. 05. 07. 서울 ● 벌씀바귀 Ixeris polycephala | many-head ixeris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벌씀바귀속 한두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40cm이다. 뿌리잎은 선상 .. 2025. 5. 9.
뽀리뱅이 Youngia japonica 국화과 뽀리뱅이속의 한두해살이풀로 전체에 잔털이 나고 곧추선 줄기와 가지 끝에 많은 꽃이 달린다. '박조가리나물'이라고도 한다. 영명은 '동양의 가짜 나도민들레'라는 뜻의 'Oriental false hawksbeard'이다. 들, 밭둑, 길가의 다소 그늘진 곳에 자란다. 동아시아 지역 원산이지만 지금은 전 세계로 퍼져 있다. 제꽃가루받이를 하는 특징이 있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으며, 전초를 약재로 쓴다. 2025. 04. 29. 서울 ● 뽀리뱅이 Youngia japonica | Oriental false hawksbeard ↘ 목련강 목련목 국화과 뽀리뱅이속 한두해살이풀 줄기 높이 15-100cm이고 전체에 퍼진 털이 밀생한다. 원줄기는 밑에서부터 갈라진다. 근생엽은 로제트형.. 2025. 4. 30.
관상용 도입종, 봄망초 Erigeron philadelphicus 북아메리카가 원산으로 개망초(6~7월)보다 이른 4~5월에 꽃이 핀다. 두상화는 개화 전에 밑을 향해 드리워지는 특징이 있다. 개망초에 비해 키는 아담하고 꽃이 더 화려하여 잡초가 아닌 화단 조경으로도 썩 어울릴 듯하다. 줄기 속이 비어있으며 설상화의 수가 무려 150~400여 개로 다른 개망초에 비해 훨씬 많다. 일본에서는 1920년대에 관상용으로 도입되었고, 국내에서는 1980년 (임양재 & 전의식)에 처음 등재되었다. 유럽과 중국에도 퍼져 있다. 2025. 04. 24. 서울 왼쪽 봄망초, 오른쪽 개망초 ● 봄망초 Erigeron philadelphicus | Philadelphia fleabane, daisy fleabane ↘ 국화목 국화과 개망초속 두해살이풀키 20~.. 2025. 4. 28.
큰비쑥 Artemisia fukudo 사천 갯바위에서 만난 '비쑥', 아런 이름으로 알던 쑥속 종들이 큰비쑥이거나 애기비쑥이라는 것으로 정리되고 있는 듯하다. 실제로 비쑥의 학명으로 이미지들을 검색해 보면 우리나라 바닷가에서 만나본 적이 없는 이미지다. 비쑥은 자생 여부가 분명하지 않은 듯하다.  큰비쑥은 남동해안, 애기비쑥은 함경도 해안에 분포하며, 한반도의 서해에서는 애기비쑥이 큰비쑥과 혼생하며 중간 잡종으로 추정되는 개체들이 관찰된다고 한다. 이렇게 보면 사천 바닷가에서 만난 이 종은 큰비쑥일 수밖에 없는데 두상화의 크기에는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     2024. 11. 06.  사천          ● 큰비쑥 Artemisia fukudo | Asian coastal wormwood  ↘  목련강 국화아강 국화목 국화과 쑥속 두해살.. 2024.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