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3580

미나리 Oenanthe javanica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미나리, 독특한 향과 맛을 자랑하는 채소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비타민이 풍부하고 칼슘 등 무기질이 많은 알칼리성 건강 식품으로 대개 삶거나 데쳐 나물로 무쳐 먹으며, 김치 등에 생미나리를 넣어 특유한 향미를 내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잎과 줄기를 수근(水.. 2012. 9. 7.
질경이택사 Alisma orientale 택사과의 여러해살이 습지식물로 잎이 질경이를 닮고 꽃은 택사를 닮아서 질경이택사라고 한다. 크고 시원스러운 잎에 비해, 산형꽃차례로 달리는 흰 꽃은 아주 작다. 비교적 흔하게 볼 수 있는 질경이택사와는 달리 택사는 여간해서 만나보기 어렵다. ☞ 택사 => http://blog.daum.net/kheenn/1.. 2012. 9. 7.
서양금혼초(개민들레, 민들레아재비) Hypochaeris radicata 유럽 원산으로 북미, 아시아, 아프리카 북부 및 남아메리카 등에 분포하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민들레와 닮았지만 가지가 벌고 두상꽃차례가 작은 점 등이 다르다. 강원도 이북에 자생하는 금혼초와 달리 줄기에 달린 잎이 특히 작으며 뿌리에서 돋은 잎은 깃처럼 갈라진다. 제.. 2012. 9. 1.
택사 Alisma canaliculatum 거금도의 어느 마을 산길에서 택사로 보이는 풀을 만난다. 한눈에도 잎이 피침형으로 길쭉한 모습이 질경이택사는 아니다. 그렇다고 한번도 보지 못한 둥근잎택사도 아닐 것이다.  흔한 질경이택사와 달리 택사는 한번도 만나보지 못했을 정도로 귀한 풀.  딱 한 개체만 보이는데 꽃대에 꽃망울만 달고 있어 꽃을 볼 수 없는 것이 못내 아쉽다.    2012. 07. 27.  거금도         ● 택사 Alisma canaliculatum | Channelled Waterplantain  ↘  소생식물목 택사과 택사속 여러해살이풀 키는 40~130㎝ 정도이고, 잎은 뿌리에서 많이 올라오며 양끝이 좁고 밑부분이 좁아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는 10~30㎝, 폭이 1~4㎝이며 잎자루가 15~20㎝ 정도로 긴 편이.. 2012. 9. 1.
각시마의 수꽃과 암꽃 Dioscorea tenuipes 처음에는 무심코 참마로 생각했는데, 암꽃차례와 수꽃차례가 모두 아래쪽으로 드리워지는 점, 수꽃이 뒤로 젖혀지는 점 등이 각시마의 특징이라는 걸 간과한 경솔한 판단이었다. 잎이 마(D. batatas)나 참마(D. japonica)와 비슷하나 잎이 어긋나고 살눈(珠芽)이 생기지 않으며, 잎자루 밑부분에 작은 돌기가 있고 종자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는 점은 국화마와 같으나 잎이 갈라지지 않고 털이 없으며, 암수꽃 꽃차례가 모두 아래로 드리우는 점이 독특하다.     2012. 07. 27.  전남 고흥  각시마 수꽃        각시마 암꽃          ● 각시마 Dioscorea tenuipes | sweet mountain yam  ↘  백합목 마과 마속의 덩굴성 숙근 여러해살이풀땅속줄기가 수평으로 벋.. 2012. 9. 1.
왕모시풀, 좀깨잎나무 꽃이 피다 전남 고흥 거금도에서 만난 좀깨잎나무와 왕모시풀, 동시에 꽃을 피우고 있다. ● 좀깨잎나무 Boehmeria spicata 좀깨잎나무는 산골짜기 시내 근처와 돌담 또는 숲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쐐기풀과의 관목이다. 높이 50∼100 cm이며 무더기로 나오고 붉은빛이 돈다. 잎은 마주달리고 사각상 달걀 .. 2012. 9. 1.
보풀(Sagittaria aginashi), 벗풀 거금도의 논가 습지에서 만난 보풀. 논이나 못 등 얕은 급지에서 자라는 보풀은 가늘고 긴 잎은 화살촉 모양인데, 어린잎은 갈라지지 않고 긴타원이다. 가을에 종자·구슬눈을 내어 월동한다고 한다. 벗풀과 비슷하지만 벗풀처럼 덩이줄기가 달리지 않으며 옆으로 뻗는 줄기를 만들지 않고, 가을 무렵 잎자루 밑부분의 안쪽에 달걀 모양의 구슬 눈이 달리는 것으로 구별한다. 벗풀에 비해 잎이 선형으로 길고 갈라지지 않은 부분이 갈라진 부분보다 더 긴 점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 벗풀 보기 =>https://kheenn.tistory.com/15852685    2012. 07. 27.  거금도            ● 보풀 Sagittaria aginashi / 소생식물목 택사과 보풀속 여러해살이 물풀 높이 80cm 내외.. 2012. 9. 1.
참새외풀 Lindernia antipoda 참새외풀은 현삼과 밭둑외풀속의 한해살이풀로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종이다. 외풀 중에서 잎은 좁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잎 길이가 가장 길며, 7-8개의 톱니가 있다. 제주와 남부지방의 습지에 자란다.     2012. 07. 27.  고흥 거금도            ● 참새외풀 Lindernia antipoda  ↘  현삼과 외풀속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거나 긴다. 잎은 비교적 긴 타원형으로 길이 1~2.5cm, 폭 0.6~0.8cm로서 털이 없고 광택이 있다. 가장자리에는 7쌍 정도의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없다. 꽃은 9~10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나와 연보라색 또는 흰색으로 핀다. 꽃자루는 2~17mm이고 꽃받침은 깊게 갈라지며 피침형이다. 화관은 길이 8~13mm고 길.. 2012. 9. 1.
물질경이Ottelia alismoides, 잎과 뿌리 자라풀과 물질경이속의 한해살이 물풀. 잎이 좁은 품종으로 가는잎물질경이(f. oryzetorum)가 있다.    2012. 07. 27.  고흥 거금도      꽃이 진 뒤의 화경, 미성숙 씨방          ● 물질경이 Ottelia alismoides  ↘  소생식물목 자라풀과 물질경이속 한해살이 수생식물앞은 뿌리에서 모여나기하며 엽병이 있고 얇으며 처음 나온것은 거꿀피침모양, 나중 나온 것은 넓은 달걀모양 또는 난상 심장형이고 자갈색을 띤 녹색이며 길이 10~25cm, 폭 2~15cm이고 끝이 둔하며 5~9개의 나란히맥이 측맥으로 연결되어 그물모양을 이루고 가장자리에 주름과 더불어 톱니가 약간 있다.꽃대 끝에서 포에 싸인 1개의 꽃이 9월에 피며 포는 통처럼 되고 닭벼슬같은 날개가 있으며 길이 4.. 2012. 8. 30.
천문동 Asparagus cochinchinensis 거금도에서 천문동을 만난다.  줄기에 뾰족한 가시가 제법 촘촘히 나 있는 것(가시는 잎이 변한 것이다.)이 틀림없이 천문동이다. 다만 아쉬운 것은 열매가 달리지 않은 것으로 보아 수그루라는 것. 주변에서 열매가 달린 암그루가 있나 살펴봤지만 보이지 않는다.  천문동은 덩굴성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거의 곧게 서는 모습이었다.    ↓ 2012.  07. 26.  거금도           ● 천문동 Asparagus cochinchinensis  /  백합목 백합과 비짜루속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원줄기는 길이 1-2m로서 덩굴성이고 길게 자라며 가늘고 평활하다. 잔가지는 가는 잎모양으로 1-3개씩 모여나기하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여 가시같고 길이 1-2cm, 폭 1-1.2mm로서 활처럼 굽으며 윤채가 .. 2012. 8. 29.
갯까치수염 Lysimachia mauritiana 갯까치수염은 제주도와 울릉도를 비롯하여 주로 남해안에서 자라는 앵초과의 두해살이풀이다. 갯좁쌀풀·해변진주초라고도 한다. 바닷가 볕이 좋은 바위틈이나 마른 땅에서 자란다. ↓ 거금도 ● 갯까치수영 Lysimachia mauritiana / 앵초목 앵초과 까치수염속의 두해살이풀 높이 10-20cm이고 .. 2012. 8. 29.
왕모시풀 Boehmeria pannosa 왕모시풀은 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남부지방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 거금도 ● 왕모시풀 Boehmeria pannosa / 쐐기풀과 높이는 1m 정도이다. 줄기의 윗부분에 짧은 털이 촘촘하게 나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10~20cm 너비가 10~20cm 정도로 넓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 두껍다. 잎.. 2012. 8. 23.
둥근배암차즈기 Salvia japonica 둥근배암차즈기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전남, 경남 등 남부지방의 산에 서식한다. 들깨와 아주 비슷한 차즈기(표준명은 '소엽')라는 꿀풀과의 풀은 약용식물로 기르는데 잎이 둥글고 큰 데 비하여, 배암차즈기(곰보배추라고도 함)는 야생 잡초로 쪼글쪼글한 잎이 작다. 둥근배암차즈기는 잎이 깃꼴이고 보랏빛 꽃이 배암차즈기에 비해 크며, 참배암차즈기는 꽃이 노란색으로 꽃잎이 크게 벌어진 것이 뱀이 잎을 벌린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 2012. 07. 25.  팔영산          ● 둥근배암차즈기 Salvia japonica  ↘  꿀풀목 꿀풀과 배암차즈기속의 여러해살이풀높이 30cm이고 줄기는 네모지며 가지가 조금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며 홑잎 또는 겹잎으로 작은잎은 3개이거나 1~2회 깃꼴로 갈라.. 2012. 8. 23.
바위채송화 Sedum polytrichoides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바위채송화. 산지의 건조한 바위 틈이나 그 주변 마른 사질 땅에서 자란다. 해안 바위틈이나 사질 땅에서 자라는 땅채송화와도 비슷한데, 땅채송화는 바위채송화에 비해 잎이 둥글다.     ↓ 2012. 07. 18.  팔영산              ● 바위채송화 Sedum polytrichoides   /  돌나물과 돌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원줄기는 밑부분이 옆으로 뻗고 윗부분이 가지와 더불어 곧추서서 높이가 10cm에 달하며 밑부분에 갈색이 돌고 꽃이 달리지 않는 가지에는 잎이 밀생한다.잎은 어긋나며 바소꼴 줄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6~15mm, 폭 1.2~2.5mm로서 편평한 육질이고 밑부분은 자주색이며 잎자루가 없다. 꽃은 8~9월에 피고 황색이며 꽃자루가 없고 가지 끝에서 .. 2012. 8. 23.
백운기름나물 Peucedanum hakuunense 고흥 팔영산에서 만난 기름나물은 코스모스처럼 잎이 가늘게 갈라져 있다. 가늘게 갈라진 기름나물로는 백운기름나물과 가는기름나물이 있는데 백운기름나물 잎이 더 가늘다. 백운기름나물은 백운산에서 발견된 한국 특산종으로 남부지방의 산지와 섬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가는기름나물은 압록강과 백두산 지역에서 자라는 것으로 국생정에 기록되어 있는데 강원도에서 비교적 흔히 발견되고 있다.      2012. 07. 25.  고흥 팔영산          ● 백운기름나물 Peucedanum hakuunense  ↘  미나리과 기름나물속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높이 40∼60cm이다. 뿌리가 굵고 위 끝은 잎자루의 섬유로 덮이며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에 달린 잎은 잎자루와 함께 길이 10∼18c.. 2012.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