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986

세포 증식 촉진하고 향기 좋은, 송편버섯 Trametes suaveolens 현사시나무 재목 단면에 발생한 버섯이다. 자루 없이 두꺼운 선반 모양으로 자라며, 표면은 벨벳처럼 부드럽고 순백색~황갈색을 띠고, 살은 코르크질이며 자실층은 둥근 구멍이 촘촘하다. 종명 suaveolens는 '달콤한 냄새가 나는(sweet-smelling)'이라는 뜻으로 아니스 향이 나는 이 버섯의 특징을 반영한 이름이다. 그래서 북한 이름은 '흰색향조개버섯', 영어 이름은 'fragrant bracket(향기로운 버섯)'이다. 봄~가을 버드나무나 사시나무 등 죽은 활엽수에 무리로 또는 하나씩 자라며 나무를 흰색으로 부패시키는 백색 부후균이다. 향기는 좋으나 식용은 부적합하며 약용 버섯으로서의 가능성이 크다. 자주색 천연 염료로 활용된다. 2025. 11. 09. 서울 ● 송편버섯 .. 2025. 11. 16.
'사시나무상황버섯' Sanghuangporus vaninii 겹층진흙버섯(Phellinus conchatus)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던 버섯이다. '황철상황', '사시나무상황' 등의 임시명으로 불려왔는데, Sanghuangporus vaninii임이 밝혀졌다. Inonotus vaninii, Phellinus vaninii로 불리다 2015년 Sanghuangporus vaninii 로 변경되었다. 어린 버섯의 갓은 황갈색이지만 점차로 어두워져 암갈색-흑갈색으로 바뀐다. 주로 은사시나무 재목에서 발생하는 등 포플러 계통의 나무에서 연중 자라는 여러해살이이다. 중국에서는 '瓦尼桑黄(와니상황)'이라 불리는데 종소명 'vaninii'도 이와 연관된 이름인 듯하다. 아직 국명은 없으며 네이버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에서는 '은사시상황버섯'이라는 임시명을 쓰고 있다. .. 2025. 11. 16.
골무버섯 Tectella patellaris 정상에서 내려오는 길, 참부채버섯 유균을 만나고 그 아래에서 쓰러진 활엽수 재목에 건조된 모습으로 나 있는 버섯을 만난다. 그물코버섯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형태로 갓 크기는 0.5~2.0cm이고 갈색이다. 자실층은 주름살이 방사상으로 펼쳐져 있으며 어린 버섯은 막으로 덮여 있다. 처음으로 만나는 골무버섯! 애주름버섯과 골무버섯속의 버섯이다. 가을~늦가을 자작나무류, 버드나무류, 너도밤나무류 등의 말라 죽은 가지, 그루터기 등에 무리지어 난다. 북미와 유럽, 러시아 북부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가치가 없다. 2025. 11. 09. 서울 ● 골무버섯 Tectella patellaris | veiled panus ↘ 주름버섯목 애주름버섯과 골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0.7~2cm로 어릴 때.. 2025. 11. 16.
꾸지뽕나무 Cudrania tricuspidata, 열매 뽕나무과 꾸지뽕나무속 관목 또는 아관목으로 뽕나무속 나무와 비교하여 잎겨드랑이에 변형된 가시가 있고, 잎에 톱니가 없으며 수꽃차례가 머리 모양인 점 등 다른 특징을 갖는다. 황해도 이남의 서해안과 남해안 서부지역에 주로 자생하며 양지바른 산기슭이나 마을 주변에서 자란다. 일본과 중국, 북미 동부에도 분포한다. 2025. 11. 07. 서울 ● 꾸지뽕나무 Cudrania tricuspidata | Silkworm thorn ↘ 목련강 조록나무아강 쐐기풀목 뽕나무과 꾸지뽕나무속 관목-아교목 높이 3~8m 정도로 자라는 작은키나무이다. 가지에 가시가 있다. 잎은 난형 또는 3갈래로 갈라지며 길이 6~10cm, 폭 3~6cm, 위쪽이 점차 좁아지다가 끝은 둔해진다. 잎 표면에 잔털이 있고 .. 2025. 11. 14.
댕댕이덩굴 Cocculus trilobus, 열매 어린 시절 '댕기넝쿨'이라 부르며 덩굴풀로 여겼던 식물이다. 묶을 끈이 필요할 때 댕댕이덩굴 줄기를 찾으면 되었다. 새모래덩굴과 댕댕이덩굴속의 덩굴성 반관목이다. 농경지나 숲가장자리에서 낫질을 당하므로 해마다 새 줄기가 자라나는 모습은 초본에 가깝다. 보호되어 자라면 손가락 굵기 이상으로 목질화한 덩굴성 줄기가 형성된다. 암수딴그루로 열매가 달리는 암그루가 있고 수꽃만 피우는 수그루가 있다. 꽃은 작고 희미한 황백색으로 볼품없지만 가을에 포도송이처럼 검푸른색으로 조랑조랑 달리는 열매는 보석처럼 아름답다. 볕이 드는 땅, 건조한 곳에서도 잘 자란다.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 하와이 등에도 분포한다. 2025. 11. 07. 서울 ● 댕댕이덩굴 Cocculus trilobus ↘ .. 2025. 11. 14.
낭피버섯속, 턱받이금버섯 Cystoderma aureum(Phaeolepiota aurea) 자주 찾는 숲가장자리에서 해마다 입동 무렵 무리지어 발생하던 턱받이금버섯, 올해는 겨우 두어 개체만 모습을 보인다. 여름 폭염이 길어지면서 버섯 생태계에도 적신호가 켜 진듯하다. 갈황색미치광이버섯과 매우 닮은 버섯인데, 최근 분자계통학적 연구에 의해 낭피버섯속과 밀접해 통합 기록되기도 한다. 갓과 자루 표면은 황토색~황금색이고 같은 색의 가루비늘조각으로 덮여 있으며 끝붙은주름살은 누런 흰색에서 누런 갈색으로 변한다. 북한 이름은 '노란녹쓴우산버섯'이다. 여름~가을 숲속, 정원, 대나무밭 등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일본, 유럽, 러시아, 코카서스, 북미에 분포한다. 식용하기도 하나 독버섯이다. 2025. 11. 07. 서울 ● 턱받이금버섯 Cystoderma aureum | Alask.. 2025. 11. 14.
청화쑥부쟁이 Aster ageratoides 'Ezo Murasaki' 까실쑥부쟁이의 원예 품종으로 '청화쑥부쟁이' '청까실쑥부쟁이' 등으로 통용되고 있지만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까실쑥부쟁이 에조 무라사키'라는 추천명으로 등록되어 있다. 10월에서 11월 사이에 매우 늦게 꽃을 피우며, 혀꽃은 자줏빛을 띤 보라색이지만 중심부의 대롱꽃은 황색이다. 2025. 11. 07. 서울 ● 청화쑥부쟁이 Aster ageratoides 'Ezo Murasaki' ↘ 국화목 국화과 참취속 여러해살이풀 10월에서 11월 사이에 매우 늦게 꽃을 피우며, 혀꽃은 자줏빛을 띤 보라색이지만 중심부의 대롱꽃은 황색이다. ○ 검색하다 보니 잘못된 학명이 다수 발견된다. 개미취 변종 학명 Aster tataricus var. formosus, 미국쑥부쟁이 변종명 Ast.. 2025. 11. 13.
새잣버섯(솔잣버섯, 잣버섯) Neolentinus lepideus 리기다소나무 재목 더미 맨 위에서 자라난 어린 버섯이 일주일만에 갓이 활짝 피었다. 환경에 따라 참 다양한 모습을 보이는 새잣버섯, 이 버섯은 이름처럼 산뜻한 새 모습이다. '잣버섯' '솔잣버섯'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초여름~가을에 침엽수 그루터기나 재목, 생나무에 홀로 또는 뭉쳐 자라는 목재 부후균이다. 북미, 유라시아, 호주, 남아프리카 온대-타이가 기후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아니스향 비슷한 냄새가 나며 다소 질기나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25. 10. 23 - 31. 서울 ● 새잣버섯 Neolentinus lepideus | scaly sawgill, train wrecker, scaly lentinus ↘ 구멍장이버섯목 조개버섯과 새잣버섯속 이른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2025. 11. 12.
미국까마중 Solanum americanum 줄기와 잎자루, 잎맥에 보랏빛이 감돌고 큰 톱니가 있는 잎이 커서 페루꽈리로 오해하기 쉬운 모습인데 꽃을 보고서야 까마중 종류임을 확인한다. 가을에 싹이 터서 자랐지만 거듭 한파가 몰려온 탓으로 몇 주가 지나가도 더 성장하지 못하고 꽃도 잘 피우지 못하고 있다. 줄기의 마디와 마디 사이에 2~5개가 산형꽃차례를 이루어 옆으로 달리며 꽃은 흰색-연보라색이다. 까마중은 꽃이 짧은 총상꽃차례로 달리는 점으로 구분된다. 원산지는 북미, 호주, 뉴기니 등으로 우리나라 전역 민가 주변 등에 흩어져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2025. 10. 23-31. 서울 2025. 11. 09. ● 미국까마중 Solanum americanum | American black nightshade ↘ .. 2025. 11. 12.
가막살나무 Viburnum dilatatum, 열매 나무껍질이나 가지가 검은색인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이 종은 전체에 털이 있고 잎, 어린 가지, 꽃차례에 별 모양 털이 있으며 수술대는 꽃부리와 거의 떨어져 달리므로 산가막살나무와 구별된다. 우리나라 황해도와 강원도 이남에 자생하고 일본, 중국, 미국 동부에 분포한다. 2025. 10. 8 - 25 - 28. 서울 ● 가막살나무 Viburnum dilatatum | linden arrowwood, linden viburnum ↘ 목련강 산토끼꽃목 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 관목높이는 3m이고, 어린 가지에 별 모양 털과 샘점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난상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다. 잎끝은 갑자기 뾰족하게 좁아지고, 밑은 둥글거나 심장 모양 비슷하다. 길이 6~12cm, 폭 3~13c.. 2025. 11. 11.
붉은말뚝버섯 Phallus rugulosus과 유균 가을 비가 잦았던 탓인지 올해는 같은 자리에서 가으내 붉은말뚝버섯이 발생하고 있다. 갠 날에 만나니 시든 모습만 본다. 다행히 유균이 보여 유균의 단면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말뚝버섯속의 버섯으로 뱀버섯, 붉은뱀버섯, 붉은머리뱀버섯 등 뱀버섯속 버섯들과 유사해 보이지만 갓이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 여름-가을에 숲속, 밭, 산길 등의 땅에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동아시아, 북미, 브라질, 아르헨티나, 호주, 남유럽, 아프리카 남동부 등에 분포한다. 식독 불명. 2025. 10. 14. 서울 2025. 10. 28. 서울 붉은말뚝버섯 유균 ● 붉은말뚝버섯 Phallus rugulosus | wrinkly stinkhorn ↘ 말뚝버섯목 말뚝버섯과 말뚝버섯속 갓은 높이 7.. 2025. 11. 11.
끈적쓴맛그물버섯 Mucilopilus castaneiceps (Tylopilus castaneiceps) 거의 해마다 그 자리에서 발생하는 버섯이다. 거의 말라가면서 감염된 버섯을 먼저 만나고 아직 어린 버섯 몇을 만난 뒤 좀 떨어진 곳에서 성숙한 버섯을 한 개체 발견한 건 다행이다. 버섯은 전체적으로 끈적거리는 점성이 강하다. 갓은 밤갈색이고 살은 붉은빛이 감도는 흰색이며 관공은 흰색에서 연한 붉은색으로 변하며 자루에는 노란 반점이 있다. 여름~가을 혼합림, 활엽수림에서 발생한다. 한국, 일본, 타이완, 오세아니아 등에 분포한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25. 10. 25. 서울 ● 끈적쓴맛그물버섯 Mucilopilus castaneiceps ↘ 주름버섯강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끈적쓴맛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2.5~6cm, 처음에는 둥근 산 모양이다가 거의 편평한 모양이 된다... 2025. 11. 11.
우산이끼 Marchantia polymorpha 산 가장자리 작은 밭이 있는 습한 길가에 우산이끼가 무리를 지어 푸르게 자라고 있다. 암수딴그루인데 갈래진 암포자체는 보이지 않고 원반 모양의 수포자체만 보인다. 우산이끼 무리의 본종으로 포자체가 우산 모양이어서 우산이끼라 하는데, 엽상체는 땅 위에 붙어서 끝이 Y자 형태로 갈라지는 형태이다. 전국의 민가 근처나 산속의 물가 근처 습기 많은 땅에 비교적 흔하게 자란다. 전 세계에 분포한다. 2025. 10. 23. 서울 ● 우산이끼 Marchantia polymorpha | common liverwort. umbrella liverwort ↘ 태류식물문 우산이끼강 우산이끼목 우산이끼과 우산이끼속 엽상체는 땅 위에 붙어서 자라는데, 끝이 Y자 형태로 조금 갈라진다. 엽상체 아래쪽에는.. 2025. 11. 10.
검은비늘버섯 Pholiota adiposa 갓은 황갈색으로 표면은 습하고 점성이 있으며 갓 전면에 삼각형의 흰 비늘조각들이 있고 점차 갈황색으로 변한다. 영어 이름은 'chestnut mushroom'인데 맛보다는 까 놓은 군밤 같은 모양을 표현한 이름인 듯하다. 북한 이름은 '기름비늘갓버섯'이다. 봄~가을 활엽수의 죽은 가지나 그루터기에 뭉쳐난다. 일본, 중국 남서부,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활엽수 톱밥으로 인공 재배가 가능하며, 생체 활성 물질의 약용 가능성도 있다. 2025. 10. 23. 서울 ● 검은비늘버섯 Pholiota adiposa | chestnut mushroom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균모는 지름이 5~10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형으로 되며 중앙부는 약간.. 2025. 11. 9.
차풀 Chamaecrista nomame 잎이 달린 줄기를 말린 것과 볶은 종자를 차로 이용하여 차풀이라고 한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대부분 1개가 노란색으로 희미하게 피는 데 반해 형태가 비슷한 자귀풀(Aeschynomene indica)은 총상꽃차례에 2~4개의 꽃이 피고 꽃은 나비형으로 비교적 크다. '며느리감나물'이라고도 한다. 냇가 근처에서 자란다. 일본, 중국, 러시아 연해주, 호주 북동부, 파푸아뉴기니, 미얀마, 인도, 동아프리카에 분포한다. 2025. 10. 10. 양구수목원 ● 차풀 Chamaecrista nomame | field sensitive pea ↘ 목련강 장미아강 콩목 콩과 차풀속 한해살이풀 높이는 30~60cm이고 흔히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잔털이 나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며 우수깃.. 2025.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