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038

마른버짐버섯과 냄새참버섯속 Eutypella sp. 콩꼬투리버섯목 마른버짐버섯과 냄새참버섯속의 버섯으로 보인다. 냄새참버섯(Eutypella alnifraga)과 '다발냄새참버섯'(Eutypella prunastri) 등 냄새참버섯속에 가장 유사하다. '다발냄새참버섯'에 아주 가까운 모습이다.    2023. 11. 20.  서울      ● 냄새참버섯속 Eutypella sp. ↘  동충하초강 콩꼬투리버섯목 마른버짐버섯과 냄새참버섯속 높이     ○     ※ 냄새참버섯 : mykologie.net/eutypella-alnifraga  ※ '다발냄새참버섯' : nahuby.sk/id=508675  naturbasen.dk/eutypella-prunastri  gbif.org/species/2575250   ☞ 더 보기 => 2024. 12. 28.
조갑제, "박근혜 탄핵 권성동이 만 배 엄중한 윤석열 보호 나선 코미디" 조갑제 "제일 코미디는 '박근혜 탄핵' 권성동이 그보다 만 배 엄중한 윤석열 보호한다 나선 것"  프레시안 2024. 12. 28.   "尹 탄핵사유는 朴 만 배인데…권성동이 보호하는 것이 제일 코미디"  편집장을 지낸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이 잘못해도 견제 한 번 하지 않고 박수만 쳐 12.3 비상계엄 사태의 한 원인을 제공했다'고 국민의힘에 쓴소리를 했다. 조 대표는 27일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국민의힘이 윤 대통령을 끊어내지 못하는 이유가 뭐라고 보나'라는 진행자의 질문에 "공천권이라는 기득권을 갖고 다음 지방선거, 다음 국회의원 선거 때 자리를 지키겠다는 거 아닌가"라며 "그래서 제가 (국민의힘을) '웰빙토호당'이라고 부른다. 특히 경상도 출신 국회의원이 108명 중 60명.. 2024. 12. 28.
청년 김대건 길 (2) 열반종 총본산, 와우정사(臥牛精舍) 은이성지를 둘러본 다음 '청년 김대건 길' 트레킹에 나선다. 은이산의 완만한 계곡을 따라 울창하게 우거진 숲길이 길게 이어진다. 길은 마을을 지나고 시원한 계곡 물소리에 마음조차 맑아진다.  은이성지에서 미리내성지까지는 세 개의 고개, '삼덕고개'를 넘어야 한다. '믿음과 소망과 사랑을 나타내는 신덕고개, 망덕고개, 애덕고개가 그것이다. 이 길은 이촌동 새남터에서 처형된 김대건 신부의 시신을 이민식이라는 17세 소년이 몰래 빼내어 지게에 지고 넘어갔던 길이기도 하다.    2023. 11. 01.  용인 해곡동  계곡을 따라 굽이굽이 숲길을 걷다 보면 그리 높지 않은 은이산(363m)을 넘는 첫번째 신덕고개를 만나게 된다.      고개에는 신덕고개 비석과 김대건 신부의 시신을 지고 고개를 넘던 이민식 .. 2024. 12. 25.
청년 김대건 길 (1) 김대건 신부의 사목지, 은이성지 10월 세째 주말 트레킹 코스는 용인의 '청년 김대건 길', 용인 은이성지에서 안성 미리내성지로 이어지는 10.3km, 순례길이다. 은이성지에 도착한 시각은 9시 45분. 길 걷기는 4시간이면 되지만 주요 여정인 은이성지, 와우정사, 미리내성지를 돌아보고 점심식사도 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5시간 30분쯤 필요하다.  출발 지점에서 잠시 돌아본 은이성지는 우리나라 최초 신부인 김대건 신부(1821-1846)가 사목 활동을 하였던 곳이고, 미리내성지는 그가 묻힌 무덤이 있는 곳이며, 이 두 곳을 잇는 길은 김대건 신부가 용산 새남터에서 처형을 당한 후 5일 밤 걸려서 몰래 시신이 옮겨진 길이기도 하다.     2023. 11. 18.  용인 양지  산으로 둘러싸여 조용하고 한적한 성지 가운데 작은 마당에.. 2024. 12. 25.
나이테가 있는, 콩버섯 Daldinia concentrica 자실체 속이 꽉 찬 점으로 방콩버섯(Daldinia verunicosa)이 아닌 콩버섯이다. 애기콩버섯(daldinia childiae)은 자루 형태를 가지고 있어 구별된다.  자실체는 지름은 1~3cm 반구형~콩모양으로 표면은 울퉁불퉁하며 갈색~적갈색에서 흑색이 된다. 수직으로 절단했을 때 목탄 같은 검은색의 동심원 무늬가 나타나는데, 나이테로 1년에 1개씩 만들어진다. 이 버섯은 나이테가 무려 10개나 되니 10년 묵은 콩버섯이다. 여름~가을 각종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그루터기에 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식용 불가능하다. 검게 목탄화한 것은 불을 붙이는 부싯깃으로 유용하다고 한다.    2023. 11. 17.  서울      ● 콩버섯 Daldinia concentrica | King .. 2024. 12. 25.
도장버섯 Daedaleopsis confragosa 갓은 반원형 또는 조개껍질형으로 지름 7~10cm이며 표면은 담황색에서 밝은 갈색으로 겹둥근무늬가 있고 매우 뻣뻣한 긴 강모로 덮여 있다. 자실층은 관공형으로 밝은 담황색에서 암갈색으로 관공은 원형, 긴타원형, 미로형, 침형 등으로 다양하다. 북한명은 '빛살갓주름조개버섯'이다.  일 년 내내 버드나무, 오리나무 등 활엽수의 죽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23. 11. 17.  서오릉         ● 도장버섯 Daedaleopsis confragosa | thin walled maze polypore, blushing bracket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도장버섯속자실체는 반원형~부채꼴로 보통 편평하거나 약간 말발굽형이 되기도 한다. 때로는 갓이 .. 2024. 12. 25.
삼색도장버섯 Daedaleopsis tricolor 가죽질의 자실체는 부채꼴로 편평하며 기왓장 모양으로 겹쳐서 난다. 갓 표면은 짙은 자줏빛 갈색 무늬로 동심원 고리무늬를 이루고 갓 밑면 자실층은 흰색-잿빛 갈색으로 주름골을 이루고 있다.  북한 이름은 '밤색주름조개버섯'이다. 활엽수 죽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라는 백색 부후균으로 북반구 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식용으로 부적합하다.    2023. 11. 17.  서오릉       ● 삼색도장버섯 Daedaleopsis tricolor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도장버섯속 균모는 2~8×1~4cm, 두께 0.5~0.8cm, 반원형 또는 편평한 조개껍질 모양이다. 표면에는 다갈색, 흑갈색 또는 자갈색 등의 좁은 고리 무늬와 방사상의 미세한 주름이 있다. 살의 두께는 0.1~0.3cm이고.. 2024. 12. 25.
껍질거북꽃구름버섯(껍질꽃구름버섯) Xylobolus peculiare 자실체는 기주에 완전 밀착하여 자라는 완전배착성 또는 아주 작은 갓을 만드는 반배착성으로 갓은 폭 0.4cm 정도로 매우 작고 윗면은 붉은색이 도는 갈색과 회색이 도는 흰색의 띠가 교차하고 기부에는 흰 융모가 있다. 자실층은 결절형으로 불규칙한 굴곡이 있으며 돌기가 있다. 마르면 갈라지는 자실층 때문에 참나무 숲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목재 부생성 버섯으로 주로 참나무류의 고사목 가지에서 주로 발생한다. 우리나라를 비롯 아시아에 분포한다. 2020년, 꽃구름버섯속(Stereum)에서 거북꽃구름버섯속(Xylobolus)으로 재분류되어 '껍질거북꽃구름버섯'이라는 국명을 쓰고 있다.     2023. 11. 17.  서오릉      ● 껍질꽃구름버섯 Stereum peculiare  ↘  무당버섯목 꽃구.. 2024. 12. 24.
가는아교고약버섯 Phlebia rufa 고약 모양처럼 퍼지며 배착성으로 자란다. 자실층면은 흰색-담황갈색이고, 얕은 구멍이나 불연속적인 주름, 불규칙한 돌기가 있는데 건조하면 형태가 불분명해진다. 조직은 유연하지만 건조하면 가죽질~연골질이 되어 쉽게 떨어진다.  썩은 나무나 그루터기 또는 살아 있는 나무껍질에 달라붙어 자란다. 동북아시아, 러시아, 유럽, 호주, 뉴질랜드, 남미 파타고니아 등에 분포한다.    2023. 11. 15.  서울      ● 가는아교고약버섯 Phlebia rufa  ↘  구멍장이버섯목 유색고약버섯과 아교고약버섯속 자실체 전체가 배착생. 기질에 단단히 부착된다. 다소 둥근점 모양으로 생겨나고 자라면서 서로 융합되어 수십 센티미터로 퍼진다. 표면은 울퉁불퉁하게 주름살이 있고, 불규칙하게 구멍이 뚫린다. 주름살이 방사상.. 2024. 12. 24.
아교구멍버섯 Antrodiella semisupina 잘려진 나무 줄기의 썩어가는 단면에 발생한 버섯이다. 한국야생버섯도감에서 신칭한 '향기아교구멍버섯'(Metuloidea fragrans)과 유사한 면이 있는 버섯이다.  주로 활엽수 고사목에서 발생하나 드물게 침엽수 고사목에서도 발생한다. 식독 불명이나 질겨서 식용에 부적합하다.    2023. 11. 15.  서울      ● 아교구멍버섯 Antrodiella semisupina  ↘  구멍장이버섯목 유색고약버섯과 아교구멍버섯속 갓은 반구형에서 부채형으로 크기는 폭이 0.5~2cm, 두께는 1~5㎜정도의 소형이다. 자실체 전체적으로 흰색에서 크림색을 띠며 약간의 아교질성의 띠를 가지고 물결모양을 형성한다. 약간 각이 진 관공을 가지며 1㎜ 면적에 5~7개의 관공이 분포한다. 반배착성이거나 자루가 없다... 2024. 12. 23.
주홍꼬리버섯 Libertella betulina = 넓은요버섯(Diatrype stigma) 넓은요버섯의 불완전세대로 자낭포자를 만들지 않고 분생포자로 번식한다. 나무 껍질 외부에 길이 1cm 내외의 주황색 점질물질이 요충이나 돼지 꼬리 형태로 발생하며 일부는 서로 엉키기도 한다.  넓은요버섯은 가지와 줄기 표면에 비교적 넓게 1mm 두께의 검은 코르크 모양의 기질을 형성하여 발생하는 기생균이다. 손상된 나무껍질을 통해 죽은 나무뿐만 아니라 서 있는 나무까지 서서히 침투하여 백색 부후를 일으킨다.  5~6월경의 표고 접종시기인 봄철부터 나무껍질에 발생하여 표고 재배에 심각한 피해를 주기도 한다.    2023. 11. 15.  서울        ● 주홍꼬리버섯 Libertella betulina  ↘  동충하초강 콩꼬투리버섯목 마른버짐버섯과 주홍꼬리버섯속 흔히 자낭포자를 만들지 않고 분생포자로 .. 2024. 12. 23.
'참나무피딱지' 흰테꽃구름버섯 Stereum gausapatum, 노균 기질에 넓게 배착된 버섯 가장자리를 따라 긴 띠 모양으로 형성된 갓은 굴곡이 심한데, 갓 가장자리의 흰 띠가 뚜렷하지 않아 동정을 잠시 망설이게 한다. 그래도 물방울 같은 작은 결절이 있는 자실층의 형태나 굴곡이 심한 갓의 형태는 흰테꽃구름버섯으로 보기에 충분해 보인다.  유혈꽃구름버섯과 함께 자실층에 상처를 주면 붉은 액체를 분비하는 꽃구름버섯이다. 조덕현은 '피즙꽃구름버섯'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고, 영명도 '참나무 피딱지'라는 뜻의 'bleeding oak crust'이다.  유혈꽃구름버섯(S. sanguinolentum)이 침엽수가 기주인 데 비하여 이 버섯은 주로 참나무류의 죽은 줄기나 가지 등 껍질의 틈새에 군집하여 배착하며 백색 부후를 일으킨다.     2023. 11. 01.  서울     .. 2024. 12. 22.
껍질거북꽃구름버섯(껍질꽃구름버섯) Xylobolus peculiare 자실체는 기주에 완전 밀착하여 자라는 완전배착성 또는 아주 작은 갓을 만드는 반배착성으로 갓은 폭 0.4cm 정도로 매우 작고 윗면은 붉은색이 도는 갈색과 회색이 도는 흰색의 띠가 교차하고 기부에는 흰 융모가 있다. 자실층은 결절형으로 불규칙한 굴곡이 있으며 돌기가 있다. 마르면 갈라지는 자실층 때문에 참나무 숲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목재 부생성 버섯으로 주로 참나무류의 고사목 가지에서 주로 발생한다. 우리나라를 비롯 아시아에 분포한다. 2020년, 꽃구름버섯속(Stereum)에서 거북꽃구름버섯속(Xylobolus)으로 재분류되어 '껍질거북꽃구름버섯'이라는 국명을 쓰고 있다.     2023. 11. 15.  서울            ● 껍질꽃구름버섯 Stereum peculiare  ↘  무당버.. 2024. 12. 22.
'미로그물구멍버섯' Ceriporia spissa (추정) 한국야생버섯도감에서 '미로그물구멍버섯'이라는 신칭을 사용하고 있다. 연중 활엽수 또는 침엽수에 발생한다.  살색구멍버섯(Junghuhnia nitida), 큰살색구멍버섯(Junghuhnia lacera)도 비슷하여 비교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2023. 11. 15.  서울      ● '미로그물구멍버섯' Ceriporia spissa  ↘  구멍장이버섯목 기계충버섯과 그물구멍버섯속자실체는 1~2mm  두께로 넓게 퍼지고 관공은 오렌지황색으로 건조하면 적갈색이 되며 구형-각형으로 7-9개/㎟이다.     ○     ※ 참고 자료 : crustfungi.comceriporia-spissa  inaturalist.org/Ceriporia-spissa  gbif.org/occurrence/4852777.. 2024. 12. 20.
민팥버섯속 Biscogniauxia sp. 검은점버섯 주변에서 발견된 버섯이다. 검은점버섯의 노균인가 싶기도 하였으나 표면에 돌기가 뚜렷하지 않고 밋밋한 점이 다르다.  주홍꼬리버섯을 불완전세대로 가지는 넓은요버섯(Diatrype stigma)과도 비슷하지만 역시 미세한 돌기가 보이지 않고 질감이 다른 듯하다. 민팥버섯(Biscogniauxia nummularia)이나 회색민팥버섯(Biscogniauxia mediterranea), '숫돌민팥버섯'(Biscogniauxia granmoi) 등 민팥버섯속(Biscogniauxia) 버섯으로 보인다. 이 종들은 이미지가 아주 비슷비슷하여 보다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민팔버섯의 포자는 구형에 가까운 타원형이고 회색민팥버섯 포자는 양끝이 다소 뾰족한 호박씨 모양인데, 포자 확인까지는 능력이 미치지 .. 2024.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