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돌나물 Sedum mexicanum
멕시코 원산의 돌나물과 여러해살이풀로 원예용으로 심어 기르던 것이 야생화하여 길가에 자라는 귀화식물이다. 돌나물에 비해 소형이며 잎은 선형의 다육질이며, 꽃이 달리지 않는 가지에는 3~5장의 잎이 돌려나고 꽃이 달리는 가지에는 잎이 어긋나는 점이 특징이다. 인천, 충남 안면도, 제주도 등에 귀화하여 자란다. 동아시아, 유럽, 아르헨티나, 호주, 뉴질랜드 등에 퍼져 있다. 2023. 04. 26. 제주도 ● 멕시코돌나물 Sedum mexicanum | Mexican stonecrop, lemon coral ↘ 목련강 장미목 돌나물과 돌나물속 줄기는 높이 10~25cm, 아래쪽은 땅을 기며 가지를 치고, 위쪽은 곧게 자란다. 잎은 3~5장이 돌려나며, 꽃이 달리는 줄기에서는 어긋난다...
2025. 5. 18.
흰대극 Euphorbia esula
잎과 모인꽃싸개잎의 형태 변이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잎이 선형이며 대극에 비해 선체가 반달 모양이며 개감수에 비해서 선체의 뿔이 짧은 점으로 구별된다. '흰버들옻'이라고도 부르며, 유독성 식물로 뿌리를 약용한다. 우리나라 남부 도서지방의 햇빛이 강한 해안 모래땅에 나며, 유라시아 대륙에 널리 분포한다. 2023. 04. 26. 제주도 ● 흰대극 Euphorbia esula | green spurge, leafy spurge ↘ 목련강 장미아강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자라고, 높이 20~50cm, 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도피침형 또는 주걱형으로 길이 2~3cm, 폭 3~7mm,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끝은 둥글거나 뾰족하다...
2025. 5. 16.
감탕나무 Ilex integra, 꽃과 열매
호랑가시나무나 먼나무 둥과 같은 감탕나무속의 소교목으로 암수딴그루이며 4개의 작은 꽃잎릏 가진 연한 녹색 꽃이 핀다. '떡가지나무', '끈제기나무'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광택이 있는 녹색의 잎과 붉은 열매가 아름다워 조경수로 가치가 있다. 울릉도, 경남, 전남, 제주도 등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등에고 분포한다. 2023. 04. 26. 제주도 ● 감탕나무 Ilex integra | elegance female holly, mochi tree ↘ 목련강 장미아강 노박덩굴목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소교목 높이는 10m 정도로 자란다. 잔가지는 굵으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가죽질이며 장타원형 또는 도란상 장타원형으로 길이 5~10cm, 폭 2~3.5cm이다. 잎끝은 ..
2025.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