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141

머루 Vitis coignetiae 학자들이 오동정으로 학명을 잘못 붙여 멀쩡한 이름을 빼앗기는 사고가 종종 일어난다. '머루'도 그런 대표적인 사례다. 육지에 자생하는 보통 머루가 사실은 '왕머루'이고 머루의 자생 여부가 의문이라는 이야기가 있기도 했다. 머루의 잎 길이와 폭이 각각 10~25cm로 크고 잎 뒷면은 붉은 갈색의 거미줄 같은 털이 많은 데 비해, 왕머루는 머루에 비해서 잎이 두껍지 않으며 잎몸은 길이 7~15cm로서 작고 잎 뒷면의 털은 붉은 갈색이 아니라는 것이다. 풀잎피리 님이 안내하여 찾은 머루, 아직 어린 잎이어선지 잎이 그리 커 보이지는 않고 적갈색 털이 그리 뚜렷하지는 않아 보였다. 암수한그루이거나 수꽃딴그루로 울릉도, 전남 신안, 제주도 등에 자생하며, 일본, 러시아 사할린 등에 분포한다. 2023... 2025. 5. 19.
멕시코돌나물 Sedum mexicanum 멕시코 원산의 돌나물과 여러해살이풀로 원예용으로 심어 기르던 것이 야생화하여 길가에 자라는 귀화식물이다. 돌나물에 비해 소형이며 잎은 선형의 다육질이며, 꽃이 달리지 않는 가지에는 3~5장의 잎이 돌려나고 꽃이 달리는 가지에는 잎이 어긋나는 점이 특징이다. 인천, 충남 안면도, 제주도 등에 귀화하여 자란다. 동아시아, 유럽, 아르헨티나, 호주, 뉴질랜드 등에 퍼져 있다. 2023. 04. 26. 제주도 ● 멕시코돌나물 Sedum mexicanum | Mexican stonecrop, lemon coral ↘ 목련강 장미목 돌나물과 돌나물속 줄기는 높이 10~25cm, 아래쪽은 땅을 기며 가지를 치고, 위쪽은 곧게 자란다. 잎은 3~5장이 돌려나며, 꽃이 달리는 줄기에서는 어긋난다... 2025. 5. 18.
가시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spinossimum 엉겅퀴의 변종으로 잎의 가시가 뾰족하고 많으며 가시는 길이 0.6-1.0cm로 보다 길다. 우리나라 제주도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2023. 04. 24-26. 제주도 ● 가시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spinossimum | Spined Korean thistle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엉겅퀴속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약 25cm,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전체에 부드러운 흰털이 난다. 뿌리잎은 줄기잎보다 크고 꽃이 필 때 남아 있다. 잎몸은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깃꼴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깊이 파여 들어간 모양의 톱니와 가시가 있다. 줄기잎은 타원상 피침형이며, 촘촘히 붙어 난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가지.. 2025. 5. 18.
솜양지꽃 Potentilla discolor 양지에서 자라고 잎 표면을 제외한 전체에 흰 솜털이 촘촘히 나 있어 솜양지꽃이라고 한다. 몇 갈래로 갈라진 비대한 방추형 뿌리가 발달해 있는데 밤 같은 맛이 난다. '뽕구지'라는 재미있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며, 잎을 뒤집으면 흰색이라 해서 '번백초(翻白草)', 닭다리 모양의 뿌리에서 '닭의발톱' · '계퇴근' · '계각초(鷄脚草)'라 하고, 잎이 7개여서 '칠양지꽃'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 바닷가와 양지쪽에서 자란다. 일본, 중국, 러시아 우수리 등에 분포한다. 2023. 04. 26. 제주도 ● 솜양지꽃 Potentilla discolor | discolor cinquefoil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양지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15~40cm이다. 잎 표면 이외에는 솜같은 .. 2025. 5. 18.
초종용 Orobanche coerulescens 바닷가 모래땅 사철쑥의 뿌리에 드물게 기생하는 열당과 초종용속의 한두해살이풀이다. 희고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으며. '사철쑥더부살이',‘갯더부살이’라고도 한다. 전국의 바닷가 초지에 드물게 자생한다. 일본, 중국, 러시아, 네팔, 동유럽에 분포한다. 2023. 04. 26. 제주도 ● 초종용(草蓯蓉) Orobanche coerulescens | Blue broomrape ↘ 목련강 국화아강 현삼목 열당과 초종용속 한두해살이풀 줄기는 연한 자주빛이 돌고 원줄기는 가지가 없으며 굵고 높이 10-30cm로서 백색 융털이 있으며 인엽이 있다. 줄기 기부에 육질의 근경에서 자란 잔뿌리가 기주의 뿌리에 붙는다. 높이가 10-30cm정도로 자란다. 인엽은 어긋나기하며 피침형 또는 좁은 달걀모.. 2025. 5. 16.
초종용 Orobanche coerulescens 바닷가 모래땅 사철쑥의 뿌리에 드물게 기생하는 열당과 초종용속의 한두해살이풀이다. 희고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으며. '사철쑥더부살이', ‘갯더부살이’라고도 한다. 전국의 바닷가 초지에 드물게 자생한다. 일본, 중국, 러시아, 네팔, 동유럽에 분포한다. 2023. 04. 26. 제주도 ● 초종용(草蓯蓉) Orobanche coerulescens ↘ 목련강 국화아강 현삼목 열당과 초종용속 한두해살이풀 줄기는 연한 자주빛이 돌고 원줄기는 가지가 없으며 굵고 높이 10-30cm로서 백색 융털이 있으며 인엽이 있다. 줄기 기부에 육질의 근경에서 자란 잔뿌리가 기주의 뿌리에 붙는다. 높이가 10-30cm정도로 자란다. 인엽은 어긋나기하며 피침형 또는 좁은 달걀모양이고 윗부분이 좁으며 원줄기와.. 2025. 5. 16.
백양더부살이 Orobanche filicicola 백양산에서 처음 발견된 열당과 초종용속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고유종이다. 쑥속 식물의 뿌리에 기생하여 자라므로 '쑥더부살이'라고도 한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 학자가 처음으로 발견했지만 이후 멸종되었다가 2003년에 다시 생존이 확인되어 세계 식물학계에 보고되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위기종으로 다행스럽게 2007년에 제주도에서 1,000여 개체가 발견되었다. 하천변이나 해변 모래밭에 자란다. 전남 강진, 전북 백양산 지역, 제주도 대정 등지에 분포한다. 2023. 04. 26. 제주도 ● 백양더부살이 Orobanche filicicola | Baekyang broomrape ↘ 목련강 국화아강 현삼목 열당과 초종용속 높이 10~30cm 정도이다. 줄.. 2025. 5. 16.
백양더부살이 Orobanche filicicola, 흰 꽃 백양산에서 처음 발견된 열당과 초종용속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고유종이다. 쑥속 식물의 뿌리에 기생하여 자라므로 '쑥더부살이'라고도 한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 학자가 처음으로 발견했지만 이후 멸종되었다가 2003년에 다시 생존이 확인되어 세계 식물학계에 보고되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위기종으로 다행스럽게 2007년에 제주도에서 1,000여 개체가 발견되었다. 하천변이나 해변 모래밭에 자란다. 전남 강진, 전북 백양산 지역, 제주도 대정 등지에 분포한다. 2023. 04. 26. 제주도 ● 백양더부살이 Orobanche filicicola | Baekyang broomrape ↘ 목련강 국화아강 현삼목 열당과 초종용속 높이 10~30cm 정도이다. .. 2025. 5. 16.
로즈제라늄(구문초) Pelargonium graveolens 아프리카 남부 원산으로 '로즈제라늄(rose geranium)'이라 불리며 많은 잡종과 재배종이 있다. 잎과 줄기에서 장미 향기 등 다양한 특유의 향이 나는데 모기를 퇴치하는 효과가 있어서 구문초(驅蚊草)라는 이름이 생겼다. 2023. 04. 26. 제주도 ● 로즈제라늄(구문초) Pelargonium roseum ↘ 목련강 장미아강 쥐손이풀목 쥐손이풀과 제라늄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30∼60cm까지 자란다. 줄기는 곧게 뻗으며 가지를 치지 않고 털로 덮여 있다. 잎은 깃꼴겹잎(우상복엽)인데, 깊게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또다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4∼6월에 분홍색 또는 장밋빛의 꽃이 피며 향기는 나지 않는다. 꽃잎은 솜털로 덮여 있고 맥이 보인다. 열매는 새의 부리처럼 .. 2025. 5. 16.
멀구슬나무 Melia azedarach 라일락 꽃마냥 흔치 않은 보라색 꽃이 흐드러지게 피었다. 꽃 향기도 아름답다. 그래서 서양인들은 '인디언 라일락(Indian lilac)'이라고 부르며, 우리 이름과 비슷하게 '구슬나무(bead-tree)'라고도 부른다. 제주도 및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낙엽활엽수로 마을 민가 부근에 식재하거나 야생화되어 높이 15m 정도로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이다. 원산지는 히말라야와 인도, 말레이반도이며, 세계의 아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근피와 열매는 약용한다. '구주목'이라고도 한다. 2023. 04. 26. 제주도 ● 멀구슬나무 Melia azedarach | Chinaberry-tree, Indian lilac, bead-tree ↘ 목련강 무환자나무목 멀구슬나무과 멀구슬나무속 .. 2025. 5. 16.
흰대극 Euphorbia esula 잎과 모인꽃싸개잎의 형태 변이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잎이 선형이며 대극에 비해 선체가 반달 모양이며 개감수에 비해서 선체의 뿔이 짧은 점으로 구별된다. '흰버들옻'이라고도 부르며, 유독성 식물로 뿌리를 약용한다. 우리나라 남부 도서지방의 햇빛이 강한 해안 모래땅에 나며, 유라시아 대륙에 널리 분포한다. 2023. 04. 26. 제주도 ● 흰대극 Euphorbia esula | green spurge, leafy spurge ↘ 목련강 장미아강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자라고, 높이 20~50cm, 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도피침형 또는 주걱형으로 길이 2~3cm, 폭 3~7mm,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끝은 둥글거나 뾰족하다... 2025. 5. 16.
털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cantoniensis 뿌리잎이 삼각상 난형으로 3개의 작은잎으로 나누어지고 작은잎에 자루가 있는 점에서 젓가락나물과 비슷하나 잎 갈래조각이 보다 넓고, 열매는 구형인 점으로 원통형인 젓가락나물과 구별된다. 1회 3출엽이고 작은 잎의 갈래조각이 넓고 꽃잎이 타원형인 점으로, 잎이 2회 3출하며 갈래잎이 가늘고 좁으며 꽃잎이 좁고 긴 개구리미나리와 구별된다. 햇빛이 잘 드는 습한 땅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중부 이남에서 자라며, 히말라야 산지와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2023. 04. 26. 제주도 ● 털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cantoniensis | Canton buttercup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밑부분에 퍼진 털이 있으며 윗부분에 복.. 2025. 5. 16.
피라칸타 Pyracantha angustifolia 중국 서남부 원산으로 가시가 달린 장미과 피라칸타속의 상록 관목으로 우리나라 중부에서는 겨울에 잎이 떨어지고 가시가 달린 가지가 엉킨다. 가을에 붉게 익어 조랑조랑 달리는 열매가 화려하여 관상수로 기른다. 계통적으로 가까운 섬개야광나무속(Cotoneaster)으로 분류되기도 하였다. 전 세계 온대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2023. 04. 26. 제주도 ● 피라칸타 Pyracantha angustifolia | narrowleaf firethorn, slender firethorn ↘ 장미목 장미과 피라칸타속 관목 높이 1-4m이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엉키고, 가시가 있다. 잎자루는 없거나 1-3mm이다. 잎은 어긋나며, 선상 타원형으로 길이 1.5-5.0cm, 폭 0.4-0.. 2025. 5. 16.
참꽃나무 Rhododendron weyrichii 수세가 강건하고 진달래나 철쭉에 비해 높게 자라며, 꽃이 크고 색깔이 선명한 진홍색이고 암술대에 털이나 돌기가 없는 점이 특징이다. 제주도 한라산 산기슭이나 숲 가장자리, 사면 바위지대 등에서 자란다. 일본에도 분포한다. 2023. 04. 26. 제주도 ● 참꽃나무 Rhododendron weyrichii | weyrich's azalea ↘ 목련강 진달래목 진달래과 진달래속 관목-소교목 높이는 3~6m 정도이다. 나무껍질은 연한 갈색 또는 붉은빛이 도는 갈색이며, 어릴 때는 매끈하지만 오래되면 세로로 얇게 갈라진다. 잎은 가지 끝에서 2~3장씩 모여나며 넓은 난형 또는 마름모꼴 원형으로 길이 3.5~8cm, 폭 2.5~6cm이다. 꽃은 5월에 잎과 동시에 피며, 2~5개씩 달리며,.. 2025. 5. 16.
감탕나무 Ilex integra, 꽃과 열매 호랑가시나무나 먼나무 둥과 같은 감탕나무속의 소교목으로 암수딴그루이며 4개의 작은 꽃잎릏 가진 연한 녹색 꽃이 핀다. '떡가지나무', '끈제기나무'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광택이 있는 녹색의 잎과 붉은 열매가 아름다워 조경수로 가치가 있다. 울릉도, 경남, 전남, 제주도 등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등에고 분포한다. 2023. 04. 26. 제주도 ● 감탕나무 Ilex integra | elegance female holly, mochi tree ↘ 목련강 장미아강 노박덩굴목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 소교목 높이는 10m 정도로 자란다. 잔가지는 굵으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가죽질이며 장타원형 또는 도란상 장타원형으로 길이 5~10cm, 폭 2~3.5cm이다. 잎끝은 .. 2025.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