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3580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 사위질빵은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Clematis)의 여러해살이 덩굴나무. 나무라고 하지만 들판에서 만나는 것은 거의 덩굴풀과 다름없는 모습을 보인다. 낫질을 당해 줄기가 남아 있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이다. 깊은 산속에서 종종 팔뚝보다 굵게 자란 덩굴 줄기를 만날 수 있다. ↓ 울진 ●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 | Aoiifolia Virgin’s bower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덩굴나무 길이 약 3m이다. 어린 가지에 잔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고 3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거나 2회 3장의 작은잎이 나온 겹잎이며 잎자루가 길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 바소꼴로서 길이 4∼7cm이다.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뒷면 .. 2012. 10. 7. 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tachiroei 저습지대에 자라고 독성이 있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2회 3출겹잎이고 열매는 구형으로 달린다. 젓가락나물(R. chinensis)은 열매가 원주형으로 모여 달리며, 털개구리미나리(R. cantoniensis)는 잎이 1회 3출겹잎으로 갈래조각은 쐐기 모양 도피침형이므로 다르다. 울진 ● 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tachiroei | Long-beak buttercup ↘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100cm, 가지를 치며, 아랫부분에는 퍼진 털이 나고 윗부분에는 누운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뿌리잎과 줄기 아래에 달리는 잎은 잎자루가 길다. 잎몸은 2회 3출겹잎이며, 갈래조각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톱니 모양이다. 줄기 윗.. 2012. 10. 7. 네잎갈퀴나물(네잎꽃갈퀴) Vicia nipponica 네잎갈퀴나물은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흔히 네잎꽃갈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작은잎이 대개 2쌍으로 달리는데 3쌍인 것도 더러 있다. 꼭두서니과의 네잎갈퀴와 이름을 혼동하기도 하는데 '나물'이란 말을 붙여 구별한다. 소백산 입구 배점마을 부근 길가에서 만난 것으로, 보통의 네잎갈퀴나물에 비해 줄기가 덩굴성으로 길고 잎이 아주 작은 점이 색다르다. ● 네잎갈퀴나물 Vicia nipponica / 장미목 콩과 나비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30∼80cm로 원줄기는 곧추 자라며 능선이 있다. 뿌리는 굵다. 잎은 어긋나고 2∼3쌍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짝수 깃꼴겹잎이다. 잎 끝은 덩굴손이 없고 작은 돌기로 되어 있다. 작은잎은 타원형에서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5cm, 나비 1.5∼3cm로 가장자리가 밋밋하.. 2012. 9. 25. 쥐털이슬(Circaea alpina) 바늘꽃과 털이슬속에 속하는 풀로는 털이슬 외에 말털이슬, 쇠털이슬 쥐털이슬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크기가 작은 풀이 쥐털이슬이다. 키가 5~15cm 정도이니 거의 손가락 정도의 길이다. 쥐털이슬 중에서 줄기와 잎에 털이 있는 품종을 개털이슬(for. polosula)이라 부른다. 깊은 산속 습한 응달에 자라므로 두메털이슬이라 부르기도 한다. 꽃도 깨알처럼 작거니와 열매도 깨알만하다. 서양 사람들은 이 풀을 '요술쟁이의 까마중(enchanter's nightshade)'라 부른다. ↓ 소백산 ● 쥐털이슬 Circaea alpina / 바늘꽃과 줄기는 붉은빛이 돌고 높이가 5∼15cm이며 밑 부분에서 가는 기는줄기가 나오고 그 끝에 겨울눈이 생긴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1∼4cm의 세모난 심장 모양 또는 .. 2012. 9. 25. 중나리 Lilium leichtlinii var. maximowiczii 한여름 소백산에서 만난 중나리. 야산에서 만나는 털중나리와 아주 닮은 모습이면서도 키가 크고 털중나리와 달리 꽃잎에 새겨진 점이 아주 또렷하고 선명하여 꽃이 더욱 아름다워 보인다. 훤칠한 몸매에 액세서리로 더욱 돋보이는 여인의 얼굴이라고나 할까. 털중나리에 비해 한 달 이상 늦게 꽃이 피었다. ● 중나리 Lilium leichtlinii var. maximowiczii ↘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의 여러해살이풀 비늘줄기는 둥글고 지름이 3∼4cm이며 뿌리가 내린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다가 땅 위로 나오고 새 비늘줄기를 만든다. 땅 위의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1∼2m이며 어릴 때는 흰색 솜털이 있고 밑 부분에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다닥다닥 달리며 줄 모양이고 길이가 8∼15cm, 폭.. 2012. 9. 25. 말나리 Lilium distichum 말나리는 우리나라 각처의 높은 산지에서 자라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이 하늘을 향해 피는 하늘말나리와는 달리 말나리는 꽃이 옆으로 향해 핀다. 하늘말나리에 비해서는 비교적 고산지대에서 분포한다. 반그늘지고 비옥한 활엽수 아래에서 자란다. ※ 하늘말나리 => http://b.. 2012. 9. 25. 소백산의 도라지모시대 Adenophora grandiflora 소백산에서 만난 모시대는 도라지처럼 화관이 크고 넓으며 총상꽃차례를 보이고 있어 도라지모시대로 보인다. 강원도 일부 고산지대에 국지적으로 보인다고 하는 도라지모시대의 분포지는 소백산에까지 이르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 도라지모시대 Adenophora grandiflora / 초롱꽃과의 여.. 2012. 9. 25. 참나물 Pimpinella brachycarpa 3개씩 달리는 작은잎 잎자루가 비교적 길고 여름에 흰 꽃이 겹산형꽃차례로 핀다. 큰참나물은 자주색 꽃이 피는 점에서 다르고, 파드득나물은 작은잎잎자루가 거의 없고 꽃자루의 길이가 다르므로 꽃차례가 불규칙한 점에서 다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라며, 러시아 동남부,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2012. 08. 08. 소백산 일반적으로 3출엽이다 아래처럼 2회 3출엽으로 된 참나물이라면 노루참나물이다. ● 참나물impinella brachycarpa ↘ 미나리과 참나물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높이 50∼80cm이고 털이 없으며 향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밑부분이 넓어져서 줄기를 감싼다. 잎자루는 밑에서는 길지만 위로 가면서 점점 짧아진다. 잎은 3개의 작은잎으로 되어 있다. .. 2012. 9. 23.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왕고들빼기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산씀비귀와 유사하나 잎이 줄기를 감싸는 점이 다르다. 잎은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며 깃꼴로 깊은 결각이 생기기도 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2012. 08. 08. 소백산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Triangular Lettuce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상추속(왕고들빼기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높이 60~130cm로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다. 잎은 밑이 날개처럼 되어 잎자루로 넓게 이어져서 불룩하게 되거나 줄기를 감싼다. 꽃은 7~8월에 피며, 노란색 머리 모양 꽃이 모여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머리 모양 꽃은 혀모양꽃으로만 .. 2012. 9. 21. 태백이질풀, 사국이질풀, (털)둥근이질풀 소백산에서 만난 둥근이질풀 가운데에는 꽃잎 끝부분이 깊게 패여 3갈래로 된 꽃이 피었다. 이 꽃을 태백이질풀이라고 부르는 모양이다. 태백이질풀(Geranium taebaekensis)은 박선주, 김윤식(고려대 생물학과)이 태백산에서 채집하여 신종으로 분류한 한국특산종으로 알려져 있다. 전체적으로 둥근이질풀과 비슷하지만 꽃이 크고, 꽃의 끝부분이 깊이 파이며, 줄기에 털이 많고, 종자의 형태가 둥근이질풀과 뚜렷이 구분된다고 한다. 그런데 둥근이질풀 속에 종종 보이는 것을 보면 독립된 종이라기보다는 둥근이질풀의 변이가 아닌가 하는 의혹을 지울 수 없다. 그럼에도 둥근이질풀과는 관계없는 학명이 붙여져 있다. 그런데, 이를 사국이질풀(Geranium shikokianum)과 혼동하기도 한다. 일본 시코쿠(四國).. 2012. 9. 18. 소백산의 톱풀 Achillea alpina 소백산 비로봉 가까운 곳에서 만난 톱풀. 다닥다닥 붙어서 핀 꽃이 작아서 산톱풀일까 싶었다. 하지만 자세히 보니 혀꽃 흰 꽃잎이 뒤로 젖혀져 있어 꽃이 작아보이는 것이다. 톱풀은 산톱풀에 비해 혀꽃은 물론 두화가 큰 것으로 구별하는데, 이 점으로 보면 소백산의 이 꽃은 산톱풀이 아니라 그냥 톱풀로 보인다. 여기에 총포가 구상 종형이라는 점에서 종형인 산톱풀이라기보다는 톱풀임을 확인해 준다. 산톱풀은 주로 북부지방에 분포히고 남한 땅에서 한라산 높은 지대에 자생한다고 한다. ↓소백산 줄기 끝에 두상꽃차례로 달리는 흰 꽃은 하나의 꽃처럼 보이는데, 이러한 두상꽃차례가 산방꽃차례처럼 달린다. 두상꽃차례의 가장자리에 흰 꽃잎을 보이는 설상화는 암술만 있는 암꽃으로 5~7개이며, 가운데 피는 통상화(筒狀花)에는 .. 2012. 9. 17. 푸른여로 Veratrum versicolor for. viride 소백산 정상의 푸른여로. 꽃의 중심부에 자색 무늬가 자리잡고 있는 파란여로와는 달리 꽃 전체가 녹색이다. ● 푸른여로 Veratrum versicolor for. viride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m 정도 자란다. 원줄기 밑부분은 잎집이 썩어서 남은 섬유로 덮여 있다. 뿌리줄기는 짧으며 밑부분에 굵은 .. 2012. 9. 17. 층층잔대 Adenophora radiatifolia 잎과 꽃차례가 층층으로 돌려나고 잔대와는 달리 꽃부리 끝이 좁아지며 암술이 꽃부리 바깥으로 길게 나오고 꽃받침잎이 선형인 점 등이 층층잔대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다만 소백산 정상 부근 고산지대이어선지 꽃차례가 풍성하게 발달하지는 못했다. 소백산 ● 층층잔대 Adenophora radiat.. 2012. 9. 17. 개시호 Bupleurum longeradiatum 고산대나 아고산대에서 피는 꽃들은 청초하다. 소백산 정상 비로봉 능선에 핀 개시호 노란 꽃은 좁쌀보다도 작지만 강렬한 빛깔을 자랑한다. 산형과 시호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시호에 비해서 약효가 떨어져 개시호라 하고, 키가 배 이상으로 자라므로 '큰시호'라불리기도 한다. 줄기에 달리는 잎에 잎자루가 있는 시호와는 달리 잎자루가 없이 잎밑이 줄기를 감싸고 있는 모습이며, 시호에 비해서 꽃이 다소 빨리 핀다. 시호가 귀한데 비해 개시호는 비교적 흔하게 분포한다. 소백산 ● 개시호 Bupleurum longeradiatum ↘ 산형화목 산형과 시호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0∼150cm이다. 줄기가 곧게 서며 위쪽에서 가지를 친다. 잎은 2줄로 어긋나고 뿌리에 달린 잎은 모여나며 긴 타원형이고 긴 잎자루가 있다. .. 2012. 9. 17. 병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병조희풀은 미나리아재비과의 반관목으로, 이름으로는 '풀'이지만 지상부에 일부 줄기가 남아 있어 반관목으로 분류한다.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데, 자주조희풀과 꽃 모양이 비슷하지만 꽃잎이 깊게 갈라지지 않아 꽃의 모양이 단지 모양을 유지하는 것으로 꽃잎이 깊이 갈라진 자주조희풀과 쉽게 구별된다. 영명은 Hyacinth-flower clematis, 서양인들은 이 꽃이 히아신스를 닮았다고 생각한 듯하다. ↓ 소백산 ● 병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 Hyacinth-flower clematis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반관목 높이 1m 내외로 밑부분은 목질이 발달하지만 윗부분은 죽는다. 잎은 마주나고 3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다. 작은잎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2012. 9. 17. 이전 1 ··· 63 64 65 66 67 68 69 ··· 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