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삼과131

외풀 Lindernia crustacea 예전에는 남부 지역이 아니면 보기 힘들었던 외풀이 서울의 볕 잘 드는 풀밭 언덕에 지천으로 자라고 있다. 열매가 참외와 비슷하여 외풀이라고 한다. 잎이 긴 논둑외풀에 비해 잎은 난형이며, 꽃은 연한 자주색이고, 꽃받침은 끝이 5갈래로 얕게 갈라지는 점으로 구분된다.  현삼과 외풀속의 한해살이풀이다. 전라남도, 제주도 등 남부지방의 논이나 물가에서 자란다. 전 세계 열대, 아열대, 난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나도고추풀', '풀고추'라고도 한다.     2024. 10. 27.  서울      ● 외풀 Lindernia crustacea | Malaysian false pimpernel, Brittle false pimpernel  ↘  목련강 국화아강 현삼목 현삼과 밭둑외풀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누워 사.. 2024. 11. 12.
수염며느리밥풀 Melampyrum roseum var. japonicum 꽃며느리밥풀에 비해 꽃받침의 맥 위에 긴 털이 있으며 포는 중앙부의 잎과 같은 형태로 작고 대가 있으며 가시털 모양의 톱니가 많은 특징이 있는 이 꽃을 기재문에 따라 털며느리밥풀로 여겨온 터인데, 지금은 꽃며느리밥풀로 통합된 상태이다.  그런데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지며 끝이 까락처럼 뾰족하고 긴 털이 많은 점은 수염며느리밥풀의 특징과 겹친다. 또한 전체에 무수히 많은 털이 있는 특징... 2023년 논문에 따르면 수염며느리밥풀은 줄기, 잎의 앞·뒷면 전체, 꽃받침 전체에 확연히 구별되는 다세포의 긴 백색 연모가 관찰되는 것으로 다른 종과 뚜렷이 구별된다고 한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2024. 10. 11.  합천 삼가      ● 수염며느리밥풀 Melampyrum .. 2024. 10. 30.
알며느리밥풀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꽃이 전체적으로 흰데 입술 부분만 립스틱을 바른 것처럼 붉어서 독특한 아름다움을 준다. 잎이 달걀처럼 비교적 둥글고 포 전체에 가시털이 있으니 알며느리밥풀이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과 동해안을 따라 함경도까지 분포한다. 일본, 중국 동남부에 분포한다.    2024. 09. 05.  홍천 미약골       ● 알며느리밥풀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 rosy cow-wheat  ↘  목련강 국화아강 현삼목 현삼과 꽃며느리밥풀속 반기생 한해살이풀 특징 꽃며느리밥풀보다 잎이 둥글고 포에 가시톱니가 한층 더 발달함. 줄기 높이 30-70cm로서 능선을 따라 굽은 백색 털이 있고 가지가 퍼져서 위를 향한다. 중앙부의 잎은 달걀모양 또는 좁은 달걀모양이며 길게 뾰족해지거나 갑.. 2024. 9. 24.
부산꼬리풀 Pseudolysimachion pusanensis 백두대간수목원에 들렀다. 트램을 타고 이동하여 호랑이숲으로 걸어가면서 자생식물들을 자연스레 구경하였는데, 보행로를 따라 조성된 화단에는 부산꼬리풀이 잘 자라고 있다. 해안 지역에 알맞게 비스듬히 누워 자라는 종으로 진화한 고유종으로 2004년 부산 해안에서 발견되어 이영노에 의해 처음 기재되었다. 개체수가 많지 않은 희귀종이나 식물원 등에서 비교적 널리 재배되고 있는 편이다. 2023. 08. 27. 봉화 춘양 백두대간수목원 ● 부산꼬리풀 Pseudolysimachion pusanensis ↘ 현삼목 현삼과 꼬리풀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20cm 정도로 자라는데 높게 직립하여 자라지 않고 비스듬하게 누워서 자란다. 잎은 마주난다. 잎 모양은 두껍고 결각이 있다. 잎과 줄기에는 흰색의 잔털이 많이 나 있다... 2023. 9. 4.
마주송이풀 Pedicularis resupinata var. oppositifolia 전국 높은 산지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기본종인 송이풀에 비해 줄기가 곧게 서고 잎이 마주나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이 종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이명 처리되고 송이풀로 통합되었다. 2022. 10. 12. 덕유산 ● 마주송이풀 Pedicularis resupinata var. oppositifolia ↘ 현삼목 현삼과 송이풀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60cm 내외로, 줄기는 곧게 서며 밑에서 여러 대가 함께 나오고 가지를 친다. 가지는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이며 털이 거의 없거나 약간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4~9cm의 바소꼴 또는 달걀 모양 긴 타원형이다. 잎자루와 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붉은 자주색으로 피며 원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화관(花冠)은 통 모양으로 끝.. 2022. 10. 25.
나도송이풀 Phtheirospermum japonicum 현삼과 나도송이풀속의 반기생 한해살이풀이다. 나도송이풀속에 속하는 유일한 종으로, 근연 속인 송이풀속(Pedicularis) 식물들에 비해서 전체에 샘털이 많이 나며, 화관의 윗입술은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는 점으로 구별된다.  전초를 '송호(松蒿)'라 하며 신장과 수종을 다스리는 데 약용한다. 동북아시아에 분포하며 산야의 양지쪽 풀밭에서 자란다.    2022. 09. 15.  연천      ● 나도송이풀 Phtheirospermum japonicum   ↘  현삼목 현삼과 나도송이풀속 한해살이풀 높이 30-6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가지를 많이 치고 전체에 부드러운 샘털이 밀생한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삼각상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5cm, 폭 2-3.5cm이며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 2022. 9. 29.
털며느리밥풀 Melampyrum roseum var. hirsutum 털며느리밥풀은 꽃며느리밥풀의 변종으로 꽃차례에 털이 거의 없고 포엽에 가시 같은 돌기가 적은 꽃며느리밥풀에 비해 꽃받침의 맥 위에 기다란 털이 있으며 포에 가시 모양의 톱니가 많다. 그런데 "꽃받침은 끝이 까락처럼 뾰족하고 긴 털이 많은" 특징이 보이기도 하는 점에서 수염며느리밥풀로 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러나 수염며느리밥풀은 꽃차례가 밀집한다는 점에서, 또 이상태 검색집에 따르면 수염며느리밥풀은 "줄기와 잎에 잔털이 없다."는 점에서 수염며느리밥풀로 보기 어렵다. 털며느리밥풀과 수염며느리밥풀을 구별하기 쉽지 않은데 '국가생물다양성정보공유체계'에서는 아예 털며느리밥풀이 누락되어 있어 그 실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주작산 ● 털며느리밥풀 Melampyrum roseum var. hirs.. 2017. 12. 17.
봉래꼬리풀 Veronica kiusiana var. diamantiaca / 꼬리풀류 16종 특성 강원 북부와 금강산에 분포하며, 금강산에서 발견되어 금강산 여름 명칭을 붙여 봉래꼬리풀이 되었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로 분포지가 제한되고 개체수도 적다. 넓은잎꼬리풀의 변종으로 키가 20㎝ 정도로 매우 작으며, 줄기와 잎 뒷면은 붉은빛이 돌며 잎은 달걀형으로 마주난다. 북설악 ● 봉래꼬리풀 Veronica kiusiana var. diamantiaca / 통화식물목 현삼과 개불알풀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20m에 달하고 줄기에 다소 붉은 빛이 돌며 긴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달걀모양이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붉은빛이 돌며 다소 딱딱한 털이 산생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보라색이고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꽃차례는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와 끝에서 자라고 털이 있으.. 2017. 9. 19.
등에풀 Dopatrium junceum 등에풀이란 이름은 열매가 등에의 눈처럼 생긴 데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현삼과의 수생식물로 꽃잎은 상순 2개, 하순 3개이지만 아래 위 방향이 뒤집힌 채 피어 있는 모습이 더 흔하게 관찰된다.     2017. 09. 03.  연천                 ● 등에풀 Dopatrium junceum  ↘  통화식물목 현삼과 등에풀속 한해살이풀높이 10-30cm이고 다육성이며 부드럽고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곧게 서며 털이 없고 연약하다.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 또느 선상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1.5-2.5cm, 폭 3~5mm이지만 위로 가면서 점점 작아져서 긴 타원형으로 되고 길이 1-3mm로서 곧게 선다. 꽃은 7~8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줄기잎에서 1개씩 액생하며 꽃자루는 길이.. 2017. 9. 14.
등에풀 Dopatrium junceum 파리풀 꽃이 그런 것처럼 작은 꽃잎이 줄기에 붙어 있는 모습이 등에를 닮아서 등에풀이겠거니 했는데, 열매가 등에의 눈처럼 생겨서 등에풀이라고 한단다(파리풀도 파리를 잡는 독이 있어서 파리풀이라고 했는데...). 그래서 영명도 '등에눈=말파리눈(Horsefly's eye)'이다. 꽃잎은 상순 2개, 하순 3개이지만 아래 위 방향이 뒤집힌 채 피어 있는 모습이 더 흔하게 관찰된다. 진땅고추풀처럼 얕은 습지나 논두렁 등에 자라는 현삼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전남, 진주 등지에 자생하는 물풀인데 이곳 연천에도 산다. 연천 ● 등에풀 Dopatrium junceum | Horsefly's eye ↘ 통화식물목 현삼과 등에풀속 한해살이풀 높이 10-30cm이고 다육성이며 부드럽고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곧게 서며 털.. 2017. 9. 11.
진땅고추풀 Deinostema violacea 둥근잎고추풀 Deinostema adenocaulum 등에풀은 꽃을 활짝 피우고 있는데 진땅고추풀은 군락을 이룬 곳에서도 이상하게 꽃이 보이지 않아 몹시 아쉽다. 그런데 집에 와서 꽃이 없는 군락을 담은 사진을 보니 꽃봉오리가 달렸을 줄기 윗부분이 모조리 잘려나간 모습이 보인다. 누군가의 못된 손을 탄 것이 아닐까 싶다. 현삼과의 한해살이풀로 남부지방과 제주도에 분포한다. 햇볕이 잘 들고 주변습도가 적당하며 얕은 습지에서 자란다. 연천 ● 진땅고추풀 Deinostema violacea ↘ 통화식물목 현삼과 진땅고추풀속 한해살이풀 높이 10-20cm이고 밑에서 가지가 흔히 갈라지며 밑부분이 옆으로 뻗는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없으며 선상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이고 길이 7~10mm, 밑부분의 나비 2mm로서 끝이 뾰족하며 1개씩 주맥이 뚜렷하고 가장자리.. 2017. 9. 10.
논둑외풀(논뚝외풀) Lindernia micrantha 열매가 참외처럼 생겼다고 외풀인데, 습기가 있는 볕 좋은 논둑에 많이 자라서 논둑외풀이다. 가장자리가 밋밋한 타원형의 잎을 가진 밭둑외풀(밭뚝외풀 L. procumbens)에 비해 좁은 피침형으로 잎이 길고 희미한 톱니가 있다. 경기도 이남에 분포한다.    2017. 09. 03.  연천           ● 논둑외풀(논뚝외풀) Lindernia micrantha  ↘  통화식물목 현삼과 밭둑외풀속 한해살이풀 높이 8-25cm이고 털이 없으며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1~4cm, 폭 3~6(8)mm로서 가장자리에 낮고 편평한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홍자색이며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고 꽃자루는 옆.. 2017. 9. 10.
만주송이풀 Pedicularis mandshurica 남한에서는 설악산에 분포하는 송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북방계 식물이다. 설악산 ● 만주송이풀 Pedicularis mandshurica ↗ 통화식물목 현삼과 송이풀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30cm에 달하고 능선을 따라 줄지어 돋은 잔털이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1회우상복엽으로서 밑에서 모여나기하며 가장자리에 막질의 인엽이 달리고 긴 엽병과 더불어 길이 15-20cm이며 털이 없고 열편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상하로 갈수록 짧아지고 작아지며 중앙부의 가장 큰 깃조각은 길이 23mm, 넓이 7mm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점차 작아져서 꽃차례에 이르러 포로 되고 엽병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다. 꽃은 6월에 피며 황색이고 꽃대는 길이 30c.. 2017. 6. 15.
앉은좁쌀풀 Euphrasia maximowiczii 현삼과 좁쌀풀속의 반기생 한해살이풀로 좁쌀처럼 작은 꽃이 다닥다닥 붙어 꽃을 피우는 모습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고산 능선부 건조한 풀밭에서 자란다. 앵초과 까치수염속의 '좁쌀꽃'이나 '참좁쌀꽃'과 이름을 공유하고 있어 혼동하기 쉽다. 선자령 ● 앉은좁쌀풀 Euphrasia maximowiczii | Maximowicz's eyebright ↘ 통화식물목 현삼과 좁쌀풀속 반기생 한해살이풀 높이 20-3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있고 줄기는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중앙부의 잎은 달걀모양 또는 난상 원형이며 둔두 원저이고 길이 6-12mm, 폭 5-10mm로서 잎표면에는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다소 있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꽃이 달린 부분의 잎은 보다 작다.. 2016. 9. 17.
알며느리밥풀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꽃며느리밥풀의 변종으로 기본종인 꽃며느리밥풀과 비교하여 잎은 난형이며,포간 간격이 비교적 촘촘하고, 포 전체에 가시털 모양의 톱니 발달한 점이 다르다. 중부 이남과 동해안을 따라 함경도까지 분포되어 있다. 가야산 ● 알며느리밥풀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 Oval-leaf cow-wheat ↘ 현삼과 꽃며느리밥풀속 반기생 1년초 높이 30-70cm로서 능선을 따라 굽은 백색 털이 있고 가지가 퍼져서 위를 향한다. 중앙부의 잎은 달걀모양 또는 좁은 달걀모양이며 길게 뾰족해지거나 갑자기 뾰족해지고 길이 3~6cm, 폭 1.5~3cm로서 밑부분이 둥글며 갑자기 좁아져서 밑으로 흐르고 엽병은 길이 5~10mm로서 골이 파지며 잎몸과 더불어 짧은 털이 다소 산생한다. 꽃은 .. 2016. 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