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3580 나도수정초 Monotropastrum humile, 열매 태백산의 어두운 숲에서 만난 나도수정초. 꽃이 진 모습으로 노란 수술의 꽃밥이 사라지고 푸른 암술 아래의 씨방이 항아리처럼 성숙한 모습이다. 나도수정초는 노루발과의 여러해살이 부생식물로 산지의 그늘지고 습한 곳에서 자란다. 잎이 투명해 광합성을 할 수 없는 부생식물로 썩은 식물체에서 양분을 섭취하며 자란다. 수정처럼 투명한 흰빛을 띠고 꽃을 피우고 고개를 숙인 모습이 말머리를 닮아 흔히 백마에 비유된다. ● 나도수정초 Monotropastrum humile | Ghost plant ↘ 진달래목 노루발과 나도수정초속 다년생 부생식물 잎은 어긋나기하고 빽빽이나며 퇴화하여 비늘조각모양이고 좁은 장 타원형 또는 좁은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1~2cm, 납 5~8mm이며 끝은 둔하거나 둥글고 약간 육질이다. 꽃.. 2012. 7. 31. 두메고들빼기의 줄기잎 Lactuca triangulata 태백산 정상부에서 만난 두메고들빼기, 꽃대 끝에 꽃망울이 달렸을 뿐 아직 꽃이 피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잎 모양을 보여 주고 있다. 두메고들빼기의 잎은 삼각형이거나 삼각상 심장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다. 줄기 아래쪽의 잎은 날개가 달린 긴 잎자루가 있고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다. 줄기와 이어지는 부분은 귀 모양으로 줄기를 감싸고 있는데, 이런 점들이 산씀바귀와 다른 점이다.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상추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거나 삼각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으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다소 심장밑 모양이다. 잎은 얇은데, 앞면은 가는 털이 흩어져 나고 뒷면은 백색을 띤다. 잎.. 2012. 7. 30. 꽃쥐손이 Geranium eriostemon '털쥐손이'라고도 하며, 한라산과 지리산 이북 고산 능선과 기슭에 자생하는 쥐손이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선이질풀(G. krameri)에 비해 잎이 5~7개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의 폭이 넓으며, 꽃이 산형꽃차례를 이루고 씨방과 암술머리 사이에 긴 암술대가 있다. 2011. 07. 07. 태백산 ● 꽃쥐손이 Geranium eriostemon ↘ 쥐손이풀목 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퍼진 역모(逆毛)가 밀생하며 원줄기는 세로로 홈이 있고 윗부분에 샘털이 있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5-7각상 원형이고 폭 8-12cm로서 5-7개로 반 또는 그 이상 갈라지며 표면에 복모, 뒷면에 퍼진 털이 있다. 열편은 사각상 거꿀달걀모양으로서 끝이 뾰족하.. 2012. 7. 30. 둥근이질풀 Geranium koreanum 쥐손이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한반도 거의 전역에 분포하는 고유종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를 많이 치며 연분홍 꽃은 지름 2cm 정도로 쥐손이풀속으로는 큰 편이며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왕이질풀'이라고도 한다. 줄기에 털이 밀생하는 변종을 털둥근이질풀(var. hirsutum)이라 한다. 2011. 07. 07. 태백산 ● 둥근이질풀 Geranium koreanum ↘ 목련강 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마주나고 뿌리에서 나온 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줄기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거의 없거나 짧다. 잎은 3∼5개로 약간 깊게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끝이 뾰족하며 큰 톱니가 있다. 턱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며 막질(.. 2012. 7. 30. 왜방풍 Aegopodium alpestre 왜방풍은 산형과 왜방풍속(산미나리속)의 여러해살이풀로 강원도 이북 깊은 산 숲 속에 자란다. 개미나리, 개방풍, 북방풍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2011. 07. 07. 태백산 ● 왜방풍 Aegopodium alpestre | alpine goutweed ↘ 미나리목 미나리과 왜방풍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30-70cm, 둥글고 속이 비었으며 아랫부분은 보라색을 띠고 전체에 털이 없다. 지하경은 짧게 옆으로 벋고 가는 포복지를 내며 마디가 흔히 굵어진다. 잎은 어긋나거나 윗부분에 마주나기도 한다. 뿌리잎은 2-3회 깃꼴로 갈라지고, 줄기잎은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지고 3갈래로 갈라진다. 윗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없고, 밑 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있는 깃털 .. 2012. 7. 30. 터리풀 Filipendula glaberrima 산방꽃차례에 흰 꽃이 피는 한국 특산종으로서, 습도가 높고 반그늘인 중부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털이풀'이라고도 했는데 꽃차례가 털이개의 모양을 닮아 터리풀이라 부른다. 속명 Filipendula는 라틴어 filum(실)과 folium(잎)의 합성어로 잎이 실처럼 가늘다는 뜻이며, 종명의 glaberrima는 털이 없음을 나타낸다. 한자 이름으로는 '광합엽자(光合葉子)'라고 하고 영어 이름은 'meadowsweet' 이다. 터리풀의 유사종으로 5~7개로 갈라지는 잎 뒷면에 흰털이 많고 꽃잎 끝이 둥근 단풍터리풀, 지리산 지역에 자라며 꽃빛이 분홍색이 뚜렷한 지리터리풀, 붉은 꽃이 피는 붉은터리풀, 강계지방에서 자라는 강계터리풀 등 여러 종류가 있다. 2011. 07. 07. 태백산 .. 2012. 7. 30. 토현삼 Scrophularia koraiensis 현삼과 현삼속의 여러해살이풀로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현삼에 비해 잎은 긴 난형이며, 꽃대는 길고, 꽃차례는 성기다. 2011. 07. 07. 태백산 ● 토현삼 Scrophularia koraiensis ↘ 현삼목 현삼과 현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1.5m에 달하고 모가 지며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짧으며 난상 피침형이고 예두 원저이며 길이 10~15cm, 폭 4~7cm로서 가장자리에 잘고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은 7월에 피며 흑자색으로서 정생하는 원뿔모양꽃차례에 달리고 원뿔모양꽃차례는 취산꽃차례가 모여 이루어지며 꽃자루에 샘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짧고 작으며 끝이 뭉뚝하거나 또는 날카롭다. .. 2012. 7. 30. 쥐털이슬 Circaea alpina 쥐털이슬은 바늘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깊은 산의 그늘진 습한 땅에서 자란다. 털이슬, 말털이슬, 쇠털이슬 등보다도 개체 크기가 훨씬 작고 깨알만한 작은 흰 꽃을 피운다. 쥐털이슬에 비해 잎과 줄기에 털이 많은 것을 개털이슬(f. polosula)이라 한다. 2011. 07. 07. 태백산 쥐털이슬 꽃 / 2011. 07. 08. 검룡소 ● 쥐털이슬 Circaea alpina | Alpine Circaea ↘ 도금양목 바늘꽃과 털이슬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붉은빛이 돌고 높이가 5∼15cm이며 밑 부분에서 가는 기는줄기가 나오고 그 끝에 겨울눈이 생긴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1∼4cm의 세모난 심장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심장 모양이다. 잎 표면.. 2012. 7. 30. 두메고들빼기 뿌리잎, 뿌리 Lactuca triangulata 왕고들빼기, 산씀바귀, 상추 등과 함께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두메고들빼기는 잎이 삼각형이거나 삼각상 심장형으로 깃꼴로 깊은 결각이 생기기도 한다. 산씀바귀와 특히 유사하나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는 점으로 구별된다. 2011. 07. 07. 태백산 금대봉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Triangular Lettuce ↘ 국화목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거나 삼각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으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다소 심장밑 모양이다. 잎은 얇은데, 앞면은 가는 털이 흩어져 나고 뒷면은 백색을 띤다. 잎자루는 잎몸과 길이가 비슷하고 .. 2012. 7. 30. 산제비란(하늘산제비란) Platanthera mandarinorum(var. neglecta) 꽃이 져 가는 하늘산제비란을 만난다. 하늘산제비란은 산제비란(Platanthera mandarinorum)의 변종(var. neglecta)으로 양지바른 풀밭이나 산지의 편평한 곳에서 자라는 자생 난초이다. 산제비란으로 통합하여 보기도 한다. 러시아 사할린, 우수리,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2011. 07. 01. 태안 ● 산제비란 Platanthera mandarinorum ↘ 백합강 난초목 난초과 제비난초속의 여러해살이풀키는 20~40㎝이고, 잎은 길이가 6~12㎝, 폭이 1~2.5㎝의 긴 타원형으로 보통은 2개이지만 드물게 1~3개가 어긋나기도 한다. 꽃은 연한 녹색으로 줄기 끝에 10개 내외의 작은 꽃들이 달리고 중앙 꽃받침잎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 2012. 7. 22. 털중나리(Lilium amabile), 중나리와 구별하기 털중나리는 제주도와 울릉도를 포함하여 전국에 분포하는데 해발 1,000m 이하인 곳에서 자생한다. 양지나 반그늘의 모래 성분이 많은 땅에서 잘 자란다. 영명은 '사랑스런 백합', 친근한 백합'이란 뜻의 amabile lily, friendly lily. ↓ 남한산성 ● 털중나리 Lilium amabile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 2012. 7. 21. 버들분취(Saussurea maximowiczii) 어린풀 버들분취는 산지 풀밭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에도 남아 있고 긴타원형으로 4~6쌍의 깃꼴로 깊게 갈라지며 잎자루는 길이 5~22㎝이다. 줄기잎은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잎자루도 짧아져 없어지며 밑은 줄기를 반쯤 감싼다 ↓ 태안 학암포 버들분취의 .. 2012. 7. 21. 유리창떠들썩팔랑나비(Ochlodes subhyalina) 태안 학암포 해안에서 가까운 숲속, 엉겅퀴 꽃에서 꿀을 빨고 있는 팔랑나비를 만난다. 무늬점 모양으로 구별하게 되는 팔랑나비. '유리창'에 '떠들썩'이라... 이름이 재미있는 팔랑나비이다. 앞날개의 중실 바깥쪽에 반투명한 점무늬가 있고 양지 바른 풀밭에서 떠들썩하게 난다 하여 붙.. 2012. 7. 21. 큰방울새란(Pogonia japonica) 씨방, 씨앗 큰방울새란은 분포지는 제법 많지만 개체수가 많지 않아 국가단위 취약종으로 지정되어 있는 난초로 발품을 팔지 않고는 만나보기 어려운 종이다. 줄기 끝에 하나만 달리는 홍자색 꽃이 단아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열매와 씨앗에 대해 네이쳐는 단지 열매의 길이 가 1.5cm라고만 기.. 2012. 7. 21. 닭의난초 Epipactis thunbergii 닭의난초는 중부 이남 산골짜기의 양지바른 습지에서 자라는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초여름 황갈색으로 피는 꽃이 닭의 모습을 연상시킨다고 하여 닭의난초라고 한다. 줄기 끝에 10개 송이 정도의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입술꽃잎은 흰색이고 꽃잎과 길이가 같으며 안.. 2012. 7. 21. 이전 1 ··· 68 69 70 71 72 73 74 ··· 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