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아파트 단지에 나무 연꽃, 하얀 목련꽃이 피었다. 꽃잎이 벌어지고 갈래져서 핀 모습이 흔치 않은 토종 목련이다. 보니 한 그루만 토종 목련인데 그 주변에는 중국 원산의 조경수인 백목련 꽃이 꽃잎을 단정히 모은 채 환하게 피었다.
한국에는 목련, 함박꽃나무, 초령목 등 3종의 목련속 나무가 자생한다. 정원수로 널리 심어져 우리가 '목련'이라고 부르는 나무는 대부분 중국 원산의 백목련이나 자주목련이며 자생종인 목련은 생활 주변에서 만나 보기 쉽지 않다. 토종 목련은 한라산 해발 400~1000m 낙엽활엽수림대와 추자도에서 200여 그루 자생하고 있으며 산림청에서 2012년 희귀식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자생지 최대목의 크기는 가슴높이 둘레가 약 2.9m, 높이 15m로 수령은 약 3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목련은 백목련과 달리 꽃의 아래쪽에 연한 붉은 빛이 돌고, 한두 개의 어린 잎이 달리는 특징으로 구별할 수 있다. 백목련은 꽃이 대개 활짝 열리지 않고 꽃잎은 꽃받침과 구별되지 않으며 꽃밥이 연한 자주색을 띠는 반면, 목련은 꽃이 대개 활짝 열리고 꽃잎과 꽃받침이 명확히 구별되고 꽃받침이 일찍 떨어지며 꽃밥이 진한 적자색이다.
2025. 03. 28. 서울
자생종인 목련은 꽃잎이 갈래진 모습으로 피고, 꽃받침 바로 아래에 푸른 잎이 하나 달려 있는 점이 그 특징이다.




중국 원산인 백목련은 꽃잎이 갈래지거나 흐트러지지 않고 꽃잎을 포갠 채 단정한 모습으로 피어 있다.

● 목련 Magnolia kobus ↘ 목련강 목련목 목련과 목련속 교목
높이 5~10m의 낙엽 활엽 큰키나무이다. 가지는 굵으며 털이 없고 꺾으면 향기가 난다. 잎은 넓은 도란형, 길이 5~15cm, 폭 3~6cm다. 잎끝은 뾰족해지고 밑은 넓은 쐐기 모양이다.
꽃은 잎이 나기 전 4월에 피며 지름 10cm쯤이고 흰색이다. 꽃잎은 6~9장, 밑부분에 연한 홍색이 돌기도 하고 향기가 있다. 꽃받침은 3장, 수술은 30~40개다. 열매는 닭 볏 모양의 원통형이고 곧거나 굽으며 종자는 타원형으로 9~10월에 익으며 외피는 붉은색이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생물다양성>
○ 연꽃처럼 풍성하면서도 단아한 꽃, 그래서 '나무에서 피는 연꽃'이라는 뜻의 목련(木蓮)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목련은 목련속(Magnolia)의 300여 종을 총칭하는 이름이기도 하지만, 엄연히 우리나라 제주도와 일본에서 자생하는 Magnolia kobus 를 지칭하는 고유명사이다. 그럼에도 중국에서 귀화한 백목련이 조경수로 널리 보급되면서 목련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 목련꽃은 향이 강하지만 벌과 나비가 날아들지 않는다. 목련은 9,500만 년 전 백악기 때부터 살아남은 가장 오래된 꽃식물이로, 벌과 나비가 나타나기 이전 시대라 이들을 유혹하는 꿀샘이 없으며 대신 꽃가루를 먹는 딱정벌레가 꽃가루받이를 한다.
○ 목련은 꽃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木筆)'이라 하고, 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북쪽을 향한다 해서 '북향화'라고도 한다. 꽃말은 ‘우아함’, ‘고귀함’, ‘숭고한 정신’ 등.
• 백목련(Magnolia denudata) : 중국에서 오래 전에 귀화한 종. 6장의 꽃잎과 마치 꽃잎처럼 보이는 3장의 꽃받침이 있다. 꽃잎이 활짝 열리지 않고 다소곳이 단정한 모습이다.
• 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 산지에서 자라는 우리나라 자생종으로 '산목련'이라 불린다. 우리나라 목련속 식물 가운데 잎이 다 자란 후 꽃이 피며 유일하게 꽃이 옆 또는 아래를 향해 핀다.
• 초령목(Magnolia compressa) : 제주도, 흑산도, 홍도에서 몇 개체 자생하는 희귀종으로 상록성이다. 일본에도 분포한다.
• 별목련(Magnolia stellata) : 일본 원산. 꽃잎이 별빛처럼 펼쳐져 별목련이라 이름 지어졌습니다. 꽃잎에 힘이 없는 것은 목련과 비슷하나 꽃잎이 12~18개로 2배 이상 더 많습니다. 별목련은 꽃잎이 별빛처럼 펼쳐져 이름지어졌습니다. 별목련은 꽃잎이 별빛처럼 펼쳐져 이름지어졌습니다.
• 큰별목련(Magnolia x loebneri) : 어머니 역할의 목련과 아버지 역할인 일본 원산의 별목련을 교배해서 만들어졌는데 1914년 독일 본식물원 원예연구가가 처음 육종을 하고 1917년 처음 꽃을 피웠다.
• 자목련(Magnolia liliflora) : 목련은 대부분 교목인데, 자목련은 유독 관목입니다. 꽃잎의 안팎이 모두 자주색입니다. 4월에 꽃을 피웁니다. 자목련은 꽃잎의 안팎이 모두 자주색입니다.
• 자주목련(Magnolia denudata var. purpurascens) : 꽃잎의 안쪽은 흰색이고 바깥쪽은 자주색입니다. 4월에 꽃을 피웁니다. 자주목련은 꽃잎의 안쪽은 흰색이고 바깥쪽은 자주색입니다. 자주목련은 바깥쪽은 자주색이지만 아쪽은 흰색인 점에서 자목련과 구별된다.
• 일본목련(Magnolia obovata) : 목련속 식물 가운데 잎이 가장 크고, 가지 위쪽에 모여 달리므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껍질은 '후박'이라 하여 약용하며, '황목련'이라고도 부른다.
•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 : 미국 남동부 원산으로 상록성이다.
☞ 함박꽃나무 => https://kheenn.tistory.com/15857104 https://kheenn.tistory.com/15854522 https://kheenn.tistory.com/15854474 https://kheenn.tistory.com/15854446 https://kheenn.tistory.com/15852017 https://kheenn.tistory.com/15018860 https://kheenn.tistory.com/8494923 (열매)https://kheenn.tistory.com/15852216 https://kheenn.tistory.com/15852083 https://kheenn.tistory.com/15852996
☞ 목련 => https://kheenn.tistory.com/15854257
☞ 백목련 => https://kheenn.tistory.com/7688997 https://kheenn.tistory.com/15851327
☞ 자목련 => https://kheenn.tistory.com/11347841 https://kheenn.tistory.com/15856950
☞ 별목련 => https://kheenn.tistory.com/11347767
☞ 일본목련 => https://kheenn.tistory.com/15854427 https://kheenn.tistory.com/15851172
☞ 황목련 => https://kheenn.tistory.com/11516047 https://kheenn.tistory.com/15854398
☞ 태산목 => https://kheenn.tistory.com/15855662 (열매)https://kheenn.tistory.com/13807245
☞ 튤립나무 => https://kheenn.tistory.com/15855350 https://kheenn.tistory.com/14786879 https://kheenn.tistory.com/11717497
'우리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리나무 Alnus japonica, 새싹과 수피 (0) | 2025.04.03 |
---|---|
팥배나무 Aria alnifolia(Sorbus alnifolia), 새싹과 수피 (0) | 2025.04.03 |
물오리나무 Alnus hirsuta 암꽃, 수꽃, 열매 (0) | 2025.03.29 |
회잎나무 Euonymus alatus f. ciliatodentatus, 열매 (0) | 2024.11.28 |
감태나무 Lindera glauca, 열매 (0) | 202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