팥배나무 겨울눈이 싹터 새잎으로 자라나고 있다. 겨울눈이 달린 짧은 회갈색 가지에는 고리무늬들이 있고 겨울눈은 여러 겹의 홍색 아린(芽鱗, 싹비늘)을 벗고 접부채처럼 접은 푸른 잎을 펼치고 있다.
배꽃처럼 하얀 꽃이 피고 팥처럼 작은 붉은 열매를 달므로 팥배나무라 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라며, 러시아 사할린, 연해주, 우수리,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2025. 04. 03. 서울
수피
●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 Korean mountain ash, alder-leafed whitebeam, Korean whitebeam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마가목속 교목
줄기는 높이 10~20m이고, 줄기껍질은 붉은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홑잎이고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5~12cm, 폭 4~7cm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끝은 급하게 뾰족해지며, 밑은 둥글다. 잎자루는 길이 1~2cm이다. 꽃은 4~6월에 가지 끝의 겹산방꽃차례에 달리며, 흰색이다. 꽃잎은 5장이다. 수술은 20개쯤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타원형이며, 9~10월에 누런빛이 도는 붉은색으로 익는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생물다양성 >
○ 마가목속(Sorbus)으로 분류해 오던 종으로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마가목속그대로, 국립수목원에서는 팥배나무속(Aria)으로 변경하였고, 위키피디어에서는 Alniaria속으로 각각 다르게 기록하고 있다. 겹잎인 마가목속 나무와는 달리 잎이 홑잎이다.
○ 잎 모양은 변이가 심하다. 잎 뒷면 엽맥에 털이 끝까지 남아 있는 것을 털팥배나무(var. ), 잎에 얕은 결각이 생기는 것을 벌배나무(var. ), 잎이 길고 열매가 긴 왕잎팥배(var. macrophylla), 잎이 긴타원모양인 긴잎팥배(f. oblongifolia), 열매가 타원형이며 반점이 뚜렷한 긴팥배나무(var. lasiocarpa)가 있다. 하지만 같은 집단 안에서도 다양한 잎 모양과 털 변이가 존재하는 것이 관찰되어 독립된 변종으로 취급하는 것을 지지하지 않는다.
○ 팥배나무, 왕잎팥배나무의 과실을 '수유과(水楡果)'라 하며 약용한다. 빈혈과 허약체질, 과로를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 한자 이름은 '감당(甘棠)'이며, '당이(棠梨)', '두이(豆梨)'라는 별칭이 있다. 중국인에게 감당나무를 정치를 잘하는 사람을 상징란다. 주대(周代) 연(燕)나라 시조인 소공(召公)은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사랑과 존경을 한 몸에 받았다. 그는 지방을 순시할 때마다 감당나무 아래에서 송사(訟事)를 판결하거나 정사를 처리했는데, 소공이 죽자 백성들은 감당나무를 귀애하며 그의 업적을 기렸다. 이에서 좋은 정치를 펼친 사람의 업적을 기리는 것을 ‘감당지애(甘棠之愛)’라고 한다.
※ 참고 자료 : https://en.wikipedia.org/wiki/Alniaria_alnifolia
☞ 팥배나무 가을 꽃과 열매 => https://kheenn.tistory.com/15858490
☞ 팥배나무 열매 => https://kheenn.tistory.com/15858489
☞ 마가목 꽃과 열매 => https://kheenn.tistory.com/15858739
☞ 마가목 열매 => https://kheenn.tistory.com/15855025
☞ 당마가목 열매=> https://kheenn.tistory.com/13244168
'우리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좀작살나무 Callicarpa dichotoma, 새싹 (0) | 2025.04.26 |
---|---|
오리나무 Alnus japonica, 새싹과 수피 (0) | 2025.04.03 |
목련 Magnolia kobus, 백목련 Magnolia denudata (0) | 2025.03.29 |
물오리나무 Alnus hirsuta 암꽃, 수꽃, 열매 (0) | 2025.03.29 |
회잎나무 Euonymus alatus f. ciliatodentatus, 열매 (0) | 202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