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3580

긴 잎자루를 가진 가을형 네잎갈퀴 Galium trachyspermum 네잎갈퀴는 "엽병이 없다."고 국생정 기재문에는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서울 오금동 어느 학교 교정, 가을에 자라는 네잎갈퀴는 돌려난 네 잎이 모두 긴 자루를 가졌다. 이런 형태의 잎을 가진 네잎갈퀴는 기록에 없는지라 처음에는 이것이 미기록종인 네잎갈퀴류일까 했는데, 같은 자리.. 2012. 12. 2.
주왕산의 투구꽃 Aconitum jaluense 주왕산에서 만난 초오속은 전초에 유난히 털이 많은데, 열매(씨방)에 긴 털이 밀생하고 있는 점으로 투구꽃으로 보인다. 하지만 줄기에도 긴 솜털이 밀생하고 잎에도 털이 많이 나 있는 점은 유난한 특징으로 보인다. 주왕산 ● 투구꽃 Aconitum jaluense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초.. 2012. 12. 1.
주왕산의 개갈퀴, 돌려난 넉 장의 둥근 잎 주왕산에서 만난 개갈퀴는 잎이 비교적 둥글고 넉 장식 돌려나고 있어 보통의 개갈퀴와는 좀 다른 모습을 보인다. 혹시 개갈퀴의 품종으로 국가표준식물목록에만 올라 있고 국생정에는 누락되어 있는 넓은잎개갈퀴(Asperula maximowixzii f. latifolia)쯤 되는 것일까... 2012. 12. 1.
꽃향유(남한산성) Elsholtzia splendens / 향유속 자생종과 재배종 늦은 가을에 피는 꽃이 아름답고 전체에서 향기가 나는 방향성 식물로 우울증 등 아로마 치료의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향유(E. ciliata)와 형태적으로 유사하나 향유에 비해서 꽃차례는 길이와 폭이 모두 크며, 꽃 색깔은 더욱 진하고 화려하므로 구분된다. 높지 않은 산지와 들녘의 햇볕이 비교적 잘 드는 곳에 잘 자란다. ● 꽃향유 Elsholtzia splendens | Shiny mint ↘ 통화식물목 꿀풀과 향유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뭉쳐나고 네모지며 가지를 많이 치고 굽은 털이 줄로 돋아 있다. 높이가 60cm에 달한다. 몇 개의 뿌리가 사방으로 뻗고, 다시 잔뿌리가 나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1.5∼7cm의 잎자루를 가지며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 2012. 11. 12.
큰벼룩아재비 Mitrasacme pygmaea 가을 바람이 산들산들 부는 가을, 무덤 주변 풀밭에는 큰벼룩아재비라는 작은 풀이 점점이 작은 하얀 꽃을 피운다. 고개를 숙이고 자세히 살피지 않으면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없는 작은 꽃이다. 마전과 벼룩아재비속의 한해살이풀이다. ↓ 남한산성 땅에 붙어 자랄 정도로 키가 작고 열매가 벼룩을 닮아 '벼룩아재비'라 부른다는데, 뿌리에서 한약 냄새가 난다고 한다. 비슷한 벼룩아재비(Mitrasacme alsinoides)는 줄기에 피침형의 잎이 마주나는 점으로 뿌리잎만 있고 줄기에 잎이 없는 큰벼룩아재비와 구별된다. 큰벼룩아재비가 주로 무덤 등 메마른 풀밭에서 잘 자라는 데 비해 벼룩아재비는 몇 곳의 습지에서 자란다고 한다. 마전과의 자생 식물로는 벼룩아재비와 큰벼룩아재비 외에 남해안 섬에 자생하는 영주치자속의 .. 2012. 11. 12.
네잎갈퀴(Galium trachyspermum), 네잎이 달리는 갈퀴류 비교표 작은 네잎이 달리는 갈퀴류가 종류도 많고 비슷비슷해서 늘 동정에 애를 먹는다. 그 대표종인 네잎갈퀴는 구릉지에서 자라고 줄기에 털이 거의 없으며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는 1cm 나비는 5mm 정도, 잎 가장자리에 비스듬히 선 털이 있으며, 초여름에 꽃이 연한 황록색으로 .. 2012. 11. 12.
가는잎한련초 Eclipta alba 국화과 한련초속의 한해살이풀로, 제주도와 경기도 이남에 분포한다. 한련초(E. prostrata)에 비해 잎이 가늘고 톱니까 뚜렷하며 잎 밑부분에 굵은 3맥이 있다. ● 가는잎한련초 Eclipta alba ↘ 초롱꽃목 국화과 한련초속 한해살이풀 높이 10-60cm이며 곧게 자라고 전체에 센털이 있으며 가지는 마주나기하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기 때문에 마주나기하고 다시 가지 끝에서 1개의 가지가 자란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이 없거나 극히 짧고 피침형이며 예두 예저이고 길이 3~10cm, 폭 5~25mm로서 양면에 굳센 털이 있으며 기부 가까이에 굵은 3맥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머리모양꽃차례는 8~9월에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지름 1cm내외이고 화경은 길이 2-4.5cm이며 총.. 2012. 11. 12.
개비름 Amaranthus lividus 개비름은 집 근처에서 자라는 비름과의 잡초로 인도에서 들어와 재배하던 것이 민가 근처에 귀화해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들에서 자라는 어린 순을 나물로 먹지만, 중국·타이완·말레이시아 등지에서는 여름 채소로 가꾼다고 한다. 비름과 개비름은 형태가 비슷.. 2012. 11. 12.
서양등골나물 Eupatorium rugosum 서양등골나물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귀화식물로 1978년 서울의 워커힐 주변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1978년 이우철에 의하여 '서양등골나물'이란 이름으로 소개되었으며, 한때 사근초(蛇根草)라 부르기도 하였다. 뿌리가 흰 뱀처럼 생긴 모양인지 서양 사람들이 White snakeroo.. 2012. 11. 12.
자귀풀 Aeschynomene indica 잎이 자귀나무와 닮아 자귀풀이라 하는데, 자귀나무처럼 빛이 비치지 않을 때에는 잎이 접힌다. 개울 등 습지에서 자라는 콩과의 한해살이풀로 합맹(合萌)·수고맥(水固麥)·경통초(梗通草)·전비각(田鼻角)·거몰자라고도 한다. 식용이나 사료용으로 쓰이며 종자와 풀 전체를 차 대용.. 2012. 11. 12.
개여뀌 Persicaria blumei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개여뀌는 여름이 지날 때까지 있는 듯 없는 듯 빈터나 논밭 가장자리에 엎드려 자라지만, 단풍이 드는 가을에 방석처럼 퍼진 줄기와 가지 끝에 붉은 꽃을 불꽃처럼 피우면서 존재 이유를 보여준다. 단풍 못지 않은 가을 들판의 아름다운 풍경을 만드는 잡초이다. .. 2012. 11. 12.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암꽃과 수꽃, 열매 환삼덩굴은 쐐기풀목 삼과 환삼덩굴속의 한해살이 덩굴풀로 유일한 자생종이다. 환삼덩굴속으로 맥주의 원료 사용되는 홉(Humulus lupulus)이라는 대형 덩굴풀이 있다. 들과 하천에서 왕성하게 덩굴을 벋으며 농경지의 작물을 위협하는 환삼덩굴은 농민들에게는 아주 성가신 잡초다. '율초(葎草)'라고도 부르는 환삼덩굴은 손바닥 모양의 잎이 마주달리고, 줄기는 억센 잔 가시가 있다. 다른 식물을 휘감아서 말라죽게 함으로써 서식지를 넒혀간다. 환삼덩굴은 암수딴그루로 엷은 황록색 꽃이 7-8월에 핀다. 수꽃은 긴 원추꽃차례에 꽃받침조각과 수술이 5개씩 있으며, 암꽃은 짧은 이삭꽃차례에 달리고 꽃이 핀 뒤에 포가 커진다. 탄천 환삼덩굴의 수꽃이삭 환삼덩굴의 암꽃이삭 환삼덩굴의 열매. 홉의 열매와 닮았다. 환삼덩굴은.. 2012. 11. 12.
주름잎(Mazus pumilus) / 누운주름잎, 선주름잎 주름잎은 한해살이풀로 연중 계속해서 꽃을 피우며 꽃자루가 길어지고, 기는줄기(匍匐莖)가 없다. 선주름잎은 줄기가 서고 주름잎이나 누운주름잎에 비해 꽃자루가 짧은 것이 특징이다. 누운주름잎은 여러해살이풀로 사방으로 기는줄기가 발달하며 뿌리잎 잎자루에 날개가 있는 것이 .. 2012. 11. 12.
괭이밥(Oxalis corniculata) 어린 시절 괭이밥 꽃이 지고 나면 곧잘 긴 열매를 따서 입에 넣고 그 신 맛을 즐기곤 하였다. '고양이 밥'이라는 뜻의 괭이밥은 고양이가 소화가 잘 되지 않을 때 이 풀을 뜯어먹는다는 속설에서 나온 이름이다. 괭이밥 풀 속에는 '옥살산(oxalic acid : 수산)'이라는 신 맛이 나는 성분이 다량 .. 2012. 11. 11.
가는쑥부쟁이 Aster pekinensis 북방계 쑥부쟁이라는 가는쑥부쟁이가 늦가을 고향의 선산 능선에 하나둘씩 자라나 연보랏빛 꽃을 피웠다. 경남 합천 가회 ● 가는쑥부쟁이 Aster pekinensis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70cm로 곧게 자라며 줄기의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잎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쯤 쓰.. 2012.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