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3580 천마산의 앉은부채 꽃 앉은부채는 가장 먼저 봄을 알리는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아직도 눈이 쌓여 있는 골짜기에서 불염포를 내밀고 공모양의 꽃이삭을 다는 모습은 참으로 경이롭기까지 하다. 꽃이 지면서 풍성한 푸른 잎이 자라난다. ※ 앉은부채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 http://blog.daum.net/kheenn/1.. 2014. 3. 28. 천마산의 너도바람꽃 바람꽃 중에서 가장 이르게 피는 너도바람꽃(Eranthis stellata). 3월에 접어들 무렵 골짜기의 아래쪽에서부터 피기 시작해 높은 골짜기에서는 5월에도 꽃을 볼 수 있다. 주로 경기도와 강원도 이북의 북부지방 산지에 자생하지만, 지리산과 덕유산 등에도 분포한다. 키는 10㎝ 안팎이며, 잎은 .. 2014. 3. 28. 밀사초 Carex boottiana 한겨울 서귀포 해안에서 만난 밀사초. 밀사초는 남해안이나 서해안 모래땅이나 바위틈에서 자라는 사초과의 여러해살이 늘푸른 풀이다. ● 밀사초 Carex boottiana / 사초과 줄기는 짧은 뿌리줄기에서 뭉쳐나고 세모지며 높이가 30∼40cm이다. 잎은 단단하고 폭이 5∼10mm이며 녹색 또는 노란빛.. 2014. 3. 4. 후추등 Piper kadsura 붉은 열매 후추등은 후추과 후추속의 유일한 자생종으로 상록성 덩굴식물이다. 남해안 지역이나 제주 해안의 숲에서 바위나 나무를 타고 오른 모습을 흔히 만날 수 있다. 서귀포 해안에서 만난 후추등 후추등은 암수딴그루. 열매가 달린 것은 암그루이다. ● 후추등 Piper kadsura | Black Pepper / 후추과 .. 2014. 3. 4. 수선화(금잔옥대) 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제주도에 자생하는 수선화는 화심이 꽃잎 모양이어서 오글오글하다. 그래서 꽃이 좀 수수해 보인다. 하지만 민가 주변에는 자생 제주수선화보다는 하얀 꽃잎 속에 황금 잔 모양의 화심을 가진 단아한 수선화가 더 많이 눈에 띈다. 하얀 꽃부리가 옥으로 만든 받침을 이루고 화심은 황금 .. 2014. 3. 3. 민둥산의 빗살서덜취 Saussurea odontolepis 구암정에서 민둥산 등산로를 따라 오르다가 솔밭쉼터에서 화암약수로 하산하는 길에 만난 분취 종류. 이곳에서 종종 만나는 북분취가 아닐까 생각하기도 했으나 줄기잎이 하나같이 깃꼴로 갈라진 모습이 빗살서덜취로 보는 게 맞을 듯하다. ☞ 북분취 => http://blog.daum.net/kheenn/15854993 htt.. 2013. 12. 22. 덩굴성 투구꽃, 놋젓가락나물(선덩굴바꽃) Aconitum ciliare 평창 봉평에서 처음 만난 놋젓가락나물. 실처럼 가느다란 덩굴이 주변에 있는 나무나 덩굴을 감아서 타고 오르는 모습이 줄기가 굵고 곳꼿이 서는 투구꽃과는 너무도 대조적이다. '선덩굴바꽃'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투구꽃이나 그늘돌쩌귀를 비롯하여 10여 종을 훌쩍 넘는 초오속 중에서 덩굴성인 것으로는 유일하다. 말하자만 덩굴성 투구꽃이라 할 만하다. 경북, 강원 경기, 함경 등의 깊은 산간 지역 숲에 자생하며 중국 시베리아에도 분포한다고 한다. ● 놋젓가락나물 Aconitum ciliare | Hairy monk's hood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의 여러해살이풀 길이 약 2m이다. 덩굴로 다른 물체를 감아올라가면서 벋는다. 뿌리는 마늘쪽처럼 생겼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3∼5개로 완전.. 2013. 11. 19. 꽈리, 꽃과 열매 / 꽈리 4속 6종 2013. 09. 28. 가을에 접어드는 계절, 봉평의 흥정천 들녁에 꽈리가 하얀 꽃과 함께 붉은 열매를 동시에 달았다. 초여름에 꽃을 피우고 가을에 붉은 열매를 다는 것이 보통이지만, 꽃과 열매를 동시에 보는 즐거움을 가질 기회는 많지 않은 듯하다. 꽈리는 가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겨드랑이마다 하나씩 꽃자루가 자라나와 꽃이 달리는데, 넓은 잎사귀 밑에 조용히 숨어 땅을 보고 고개 숙여 수줍게 하얀 꽃을 피운다. 그래서인지 꽃말은 '약함', '수줍음'이다. 흰 꽃이 지고 가을이 깊어지면 붉게 물든 꽃받침(포)이 자라나 구슬같은 붉은 열매를 풍선처럼 감싸는데, 이 열매를 꽈리라고 한다. 시골 아이들은 이 열매를 '땡깔'이라 불렀는데, 열매 안에 들어 있는 씨를 모두 끄집어 .. 2013. 11. 19. 동강의 개싸리 Lespedeza tomentosa 개싸리는 들싸리라고도 불리는 콩과의 관목으로 비탈진 산 능선이나 들의 물빠짐이 좋은 부엽질 땅에서 자란다. 키는 약 1m 정도로 자라는데, 긴 타원형 잎은 양끝이 둥글고 윗면에는 잔털이 있고 뒷면은 긴 갈색으로 된 털이 촘촘히 나 있다. 연한 황백색꽃이 나비 모양으로 피고, 윗부분.. 2013. 11. 10. 동강과 백령도의 흰대극 Euphorbia esula 어라연 트레킹을 하고 돌아나오다. 동강가 자갈 언덕에서 흰대극을 만난다. 철을 지나 꽃을 볼 수 없는 것이 아쉬운데, 그렇다고 열매를 달고 있는 모습도 아니다. 청산도, 추자도, 백령도 등 남서해안에서 주로 만나 봤듯이, 흰대극은 우리 나라 해안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흰대극은 한 포기에서 줄기가 여럿 나오고 줄기 끝에 가지가 여러 갈래로 갈라져 그 끝에 잎이 빽빽하게 모여 달리는 것이 특징이다. 전체에 털이 없이 밋밋하고 잎 뒷면이 분백색이며 줄기를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온다. 잔 모양의 꽃차례 선체는 양쪽 가장자리가 둔하며 짧게 돌출한다. ↓ 영월 동강 흰대극 꽃 ↓ 백령도 ● 흰대극 Euphorbia esula ↘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0~40cm로 한 포기에서 여러 대가 나오고.. 2013. 11. 10. 흰오이풀, 긴오이풀 Sanguisorba longifolia 동강에서 만난 오이풀. 보통의 오이풀보다는 잎이 조금 더 긴 편이고, 꽃이삭은 붉은 색을 띠면서도 끝부분에서 꽃이 피면서 점차로 흰 빛이 또렷해지는 점이 특징이다. 보통의 오이풀처럼 수술이 길지 않고 짧다. 수술이 긴 가는오이풀과 쉽게 구별되는 점이다. 2013. 08. 31. 영월 줄기 윗부분에서 가지가 벌어지고, 키는 1m 이상으로 자란다. 끝 부분부터 꽃이 피면서 흰 색이 또렷해지기 시작한다. 잎은 오이풀보다는 길고 가는오이풀에 비해서는 짧다. 동강에서 발견된 이 오이풀을 흰오이풀로 보아야 할지, 긴오이풀로 보아야 할지... 에는 흰오이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아주 간략한 정보만 기재되어 있다. "강원도 설악산 등지에서 드물게 발견되었고, 동강의 강가에서 여러 개체가.. 2013. 11. 10. 큰참나물 Cymopterus melanotilingia 참나물과 매우 유사한 모습이지만 씨방과 분과가 3각형으로 발달하며 능각이 4각형의 날개로 발달하는 특징으로 열매가 매끈한 참나물과 뚜렷이 구별된다. 2013. 08. 31. 영월 어라연 근처 산지 능선 ● 큰참나물 Cymopterus melanotilingia ↘ 미나리과 큰참나물속 여러해살이풀높이 50∼100cm이다. 포기 전체에 짧은 털이 나고 줄기는 곧추서며 밑부분에 붉은빛이 돌고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3장의 작은잎이 달리며 밑에서는 잎자루가 잎몸 길이의 2배 정도로 길지만 윗부분은 원줄기를 감싸는 잎집으로 된다. 끝이 뾰족하고 밑은 넓은 쐐기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양면 맥 위와 가장자리에 잔털이 난다. 꽃은 8월에 흰색 또는 붉은빛을 띤 자.. 2013. 11. 10. 꽃마리 Trigonotis peduncularis 옥색의 청초한 꽃, 좁쌀만큼 작은 꽃이지만 물망초를 쏙 빼닮은 꽃은 앙증스럽고 예쁘다. 봄햇살이 따뜻이 드는 양지바른 공터에는 어김없이 꽃마리가 옹기종기 모여서 작은 꽃을 피운다. 지치과의 두해살이풀로 겨울을 나고 봄부터 여름가지 꽃을 피우고 가을에 씨앗을 떨구고 나면 한.. 2013. 4. 5. 개여뀌 Persicaria longiseta 아침 저녁으로 서늘한 기운이 파고드는 가을, 개여뀌는 마을 주변 공터나 길섶, 들판 주변의 습한 땅에 낮은 키의 많은 줄기를 내며 일제히 붉은 꽃을 피운다. 전체에 털이 없고, 잎 가장자리에는 수염털이 있다. 양재천 ● 개여뀌 Persicaria longiseta | Oriental lady’s-thumb smartweed ↘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20-50cm이며 털이 없고 밑부분이 비스듬히 자라면서 땅에 닿으면 뿌리가 내리며 가지가 뻗어 곧게 자라므로 때로는 모여나기한 것처럼 보이고 적자색이 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4-8cm, 폭 1-2.5cm로서 밋밋한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잎집의 탁엽은 길이 5-10mm로서.. 2012. 12. 2. 둥근잎나팔꽃 Ipomoea purpurea(Pharbitis purpurea) 둥근잎나팔꽃은 나팔꽃(Pharbitis nil )과 달리 잎 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으며, 관상용으로 재배되던 것이 야생으로 퍼져 귀화한 것이다. 양재천 ● 둥근잎나팔꽃 Ipomoea purpurea(Pharbitis purpurea) / 꼭두서니목 메꽃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줄기는 덩굴성이며, 길이 1-3m, 밑을 향하는 털이 있다. .. 2012. 12. 2.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