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3580 덩굴닭의장풀 Streptolirion volubile 덩굴닭의장풀은 닭의장풀과 덩굴닭의장풀속의 한해살이풀이다. 닭의장풀속(Commelina)과 사마귀풀속(Aneilema) 식물에 비해 줄기가 덩굴성이고 수술 6개가 다 완전한 점으로 구별된다. 산기슭의 습기 있는 곳에서 자란다. 경상북도 이북, 경기도와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괴산 ● 덩굴닭의장풀 Streptolirion volubile | Twining streptolirion ↘ 닭의장풀목 닭의장풀과 덩굴닭의장풀속 줄기는 뭉쳐나고 가지를 치며 연하다. 길이는 80c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 /span>가 있으며 표면에 털이 있다. 잎 밑부분은 심장 밑 모양인데 끝은 매우 날카롭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의 밑부분은 길이 1∼2cm의 잎집이 되고 그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7∼8월에 흰색 꽃.. 2012. 10. 27. 수까치깨 Corchoropsis tomentosa 수까치깨는 벽오동과 까치깨속의의 한해살이풀. 열매 속에 참깨 같은 씨가 많이 들어 있어 까치깨라는 이름이 붙었다. 비슷한 까치깨는 수까치깨에 비해 줄기에 수평으로 퍼지는 긴 털이 드물게 나며, 꽃은 지름 6mm쯤으로 작고, 열매에 털이 없는 점으로 구별된다. ↓ 괴산 ● 수까치깨 Corchoropsis tomentosa | Tomentose corchoropsis ↘ 아욱목 벽오동과 까치깨속 한해살이풀 높이가 60cm에 달하고 성모가 있으며 줄기는 원기둥 모양으로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이고 길이 4~8cm, 폭2~4.5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둥글거나 다소 절저이고 양면에 성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0.5-5cm로서 성모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며 .. 2012. 10. 27. 괴산의 네잎갈퀴 Galium trachyspermum 열매자루가 길고 잎밑에 짧은 잎자루가 있는 듯하여 혹시 산갈퀴나 참갈퀴덩굴이 아닐까 의심하기도 했는데, 산갈퀴로 보기에는 작고 참갈퀴덩굴은 3맥이 뚜렷하다고 기재되어 있어 일단 네잎갈퀴로 동정한다. (그런데 이우철 도감에는 둥근갈퀴에 비해 참갈퀴는 1맥이라고 적고 있다.) .. 2012. 10. 27. 참명아주 Chenopodium koraiense 괴산호 주변에서 만난 명아주. 음지에서 자란 탓인지 가늘게 자란 줄기는 가지를 벌어 덩굴처럼 누워 있는데, 잎과 줄기의 모양을 보아 참명아주로 보인다. 참명아주는 60cm 안팎의 높이로 곧게 자라며 가늘고 긴 가지를 많이 친다고 하며 경기 이남 지역에서 자란다. 괴산 ● 참명아주 Chenopodium koraiense ↘ 중심자목 명아주과 명아주속 한해살이풀 1년초로 높이 60㎝에 달하며 전체에 털이 없고 백분이 약간 덮여 있다. 잎은 삼각상 난형 또는 능상 난형으로 길이 1~4㎝, 너비 8~30mm이며 엽질이 엷고 끝은 뾰족하며 밑부부의 가장자리는 종종 삼각상으로 퍼지며 표면은 질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록색으로 백분이 있으며 엽병은 5~20mm이다. 꽃은 7~8월에 녹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총상화서가 원.. 2012. 10. 27. 산물통이 꽃 Pilea japonica 산물통이는 쐐기풀과의 한해살이풀로 산지의 물기 있는 산그늘에서 자란다. 암수한그루로서 꽃줄기 끝에 길이 1~3mm로 연한 녹색의 꽃이 모여 달리며 암꽃과 수꽃이 섞여 있다. 화피갈래조각이 암꽃에는 5개, 수꽃에는 4개가 있으며 수꽃에는 4개의 수술이 있다. ↓ 괴산 ● 산물통이 Pilea j.. 2012. 10. 27. 가는잎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for. indivisa) 가는잎왕고들빼기는 국화과의 한두해살이풀이다. 왕고들빼기와 달리 잎이 갈라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괴산 ● 가는잎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for. indivisa 높이 80~150cm로,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가지를 자르면 흰 즙.. 2012. 10. 27. 나도송이풀 Phtheirospermum japonicum 가을에 접어들 무렵, 산과 들의 볕이 따스하게 내리는 풀밭에서 나도송이풀은 연붉은 꽃송이들을 환하게 달기 시작한다. 가을을 알리는 꽃, 나도송이풀은 현삼과의 한해살이풀로 반기생식물이다. 송이풀과 닮아 나도송이풀이라 불리는데, 꽃은 송이풀에 비해 크고 화려하다. 송이풀과 .. 2012. 10. 27. 흰그늘돌쩌귀 Aconitum uchiyamai var. albiflorum 산막이옛길에서 만난 흰그늘돌쩌귀 <초록> 본 논문은 Aconitum Uchiyamai Nakai var. albiflorum Chung et Rim 에 대(對)한 연구로, 그늘돌쩌기는 한국에서만 서식하는 단일품이다. 이 식물은 7~8월에 담청색의 꽃이 피지만, 덕우산에서 채집된 그늘돌쩌기는 10월 경에 백색 꽃이 핀다. 기존 식물과 덕.. 2012. 10. 27. 산막이옛길의 산비장이, 버들분취 가을이 깊어가는 산막이옛길에서 만난 산비장이와 버들분취 꽃. 같은 자주색꽃이지만 꽃의 크기가 대조적이다. ● 산비장이 ● 버들분취 2012. 10. 27. 왕호장근 Fallopia sachalinensis 호장근에 비해 잎과 줄기가 대형이라 왕호장근이라 부른다. 우리 나라에는 울릉도가 유일한 자생지이며 일본과 사할린에도 분포한다. 우람하게 자라는 모양이 관목처럼 보이지만 풀이다. 산지의 계곡에서 자란다. ↓ 신구대식물원 ● 왕호장근 Fallopia sachalinensis /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 2012. 10. 19. 개병풍 Rodgersia tabularis 뿌리잎 개병풍은 범의귀과 여러해살이풀로 강원도와 경기도를 포함하여 북부지방에 분포하며 골병풍이라 부르기도 한다. 전국적으로 10곳 미만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도 매우 적다. 개병풍이란 이름은 '가짜 병풍쌈'이란 뜻으로, 산나물로 이름난 병풍쌈의 넓적한 뿌리잎 모양과 비슷한 데.. 2012. 10. 18. 흑산도비비추 Hosta yingeri 흑산도비비추는 전남 흑산도와 홍도 등지에 자생하는 백합과의 다년초이다. 한 방향으로 피는 보통의 비비추와는 달리 꽃이 사방으로 달리는 점이 눈에 띈다. ● 흑산도비비추 Hosta yingeri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30cm 정도로 자라며 잎이 뿌리에서 모여난다. 잎은 타원형이고 두.. 2012. 10. 18. 빗살서덜취 Saussurea odontolepis 잎이 국화를 닮아 국화잎각시분취, 구와잎각시취(구와각시취)라 불리기도 하고 왕분취라는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황해도 이남의 산기슭과 서해안 여러 섬에 분포한다는데, 황매산 등 내륙의 높은 산에도 자생한다. ↓ 신구대식물원 ● 빗살서덜취 Saussurea odontolepis / 국화과 분취.. 2012. 10. 18. 나도승마 Kirengeshoma koreana 나도승마는 범의귀과 여러해살이풀이다. 나도승마속은 세계적으로 일본에 한 종, 우리나라에 한 종만이 분포할 정도로 매우 희귀하며 현재 환경부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백운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백운승마라고도 하고 노란 꽃이 피어 노랑승마라고도 한다. 최근 지리산 1,000.. 2012. 10. 18. '솔잎쑥부쟁이'라 불리는 단양쑥부쟁이 단양쑥부쟁이는 잎이 솔잎처럼 가늘어 솔잎쑥부쟁이 또는 솔잎국화라고 불리기도 하는 한국 특산 식물이다. 이명박 정권의 4대강 사업으로 갑자기 유명해진 멸종위기 2급 식물로, 남한강을 따라 자생하고 있다. 남한강의 여주 일대 모래밭 강변과 그 상류인 단양과 제천 등의 냇가의 모.. 2012. 10. 17.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