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3580

백부자 Aconitum koreanum 백부자는 흔히 노랑돌쩌귀라고도 부른다. 충청도 이북의 산지 풀밭이나 관목 숲에서 자라는데, 뿌리에는 강한 독이 있는데 한방에서는 진경(鎭痙)과 진통제로 사용한다. ↓ 신구대식물원 ● 백부자(白附子) Aconitum koreanum / 미나리아재비과 투구꽃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1m이다. 꽃이.. 2012. 10. 17.
진퍼리잔대 Adenophora palustris 진퍼리잔대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진안, 무주, 지리산 등 강원도 이남 햇볕이 잘 드는 고산지역의 습지, 물가에서 자란다. 중국 동북부와 일본에도 분포한다고 한다. 넓은 종 모양으로 피는 꽃이 다른 잔대와는 구별되는 특징이다. ↓ 신구대식물원 ● 진퍼리잔대 Adenophora palustris .. 2012. 10. 17.
숫잔대 Lobelia sessilifolia 잔대와 같은 초롱꽃과로 전초의 모양이나 보랏빛 꽃이 잔대를 연상시키기는 하지만 잔대와는 거리가 먼 풀이다. 흔히 만날 수 있는 수염가래꽃과 같은 로벨리아속으로 남부 도서 지방과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진들도라지', '잔대아재비' 등으로 불리고 '산경채(山梗菜)'라고도 한다. 습지에서 자란다. 신구대식물원 ● 숫잔대 Lobelia sessilifolia ↘ 초롱꽃목 초롱꽃과 숫잔대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 서서 높이 50∼100cm이다. 줄기는 잎과 더불어 털이 없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뿌리줄기가 짧고 굵다.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다. 잎자루가 없고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져서 포가 된다. 꽃은 8∼9월에 피고 밝은 자주빛이며 총상으로 달린다. 화.. 2012. 10. 17.
가는오이풀 Sanguisorba tenuifolia 가는오이풀은 전국의 산지에서 흔히 자라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햇볕이 잘 들고 물 빠짐이 좋은 경사진 습지에서 자란다. ↓ 신구대식물원 ● 가는오이풀 Sanguisorba tenuifolia 높이는 1m 정도이고 줄기가 곧게 자라며 가지를 친다. 뿌리는 갈라져 방추형이고 옆으로 퍼진다. 오이풀.. 2012. 10. 17.
버들분취 Saussurea maximowiczii 버들분취는 커다란 타원형의 잎이 4~6쌍으로 깊게 갈라진 것이 특징이다. 산지 풀밭에서 자란다. 사람 키에 가까울 정도로 높게 자라는데 가을에 긴 가지가 벌어 가는 꽃대 끝에 작은 보랏빛 꽃을 피운다. 꽃이 필 때도 커다란 뿌리잎들이 무성한 채로 남아 있다. 잎이 깊게 갈라지지 않는 .. 2012. 10. 17.
낙지다리 닮은 풀, 낙지다리 Penthorum chinense 낙지다리는 습지에서 자라는 돌나물과 낙지다리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차례가 흡반을 달고 있는 낙지다리를 닮은 모양이어서 낙지다리라 부른다. 낙지다리속으로 세계에 2종이 있는데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2009년 희귀 식물 및 보호 식물로 선정되었다. 신구대식물원 ● 낙지다리 Penthorum chinense ↘ 장미목 돌나물과 낙지다리속의 여러해살이풀 땅속으로 기는 가지가 길게 뻗는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원기둥 모양으로 곧게 서며, 높이는 30∼80cm이고, 분홍빛이 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거의 없으며 좁은 바소꼴이고, 길이가 2.5∼10cm, 폭은 4∼10cm이고,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으며 끝이 예리하게 뾰족하다. 꽃은 7∼8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낙지 다리처럼.. 2012. 10. 17.
남개연 Nuphar pumilum var. ozeense 수련과 개연꽃속으로 개연꽃(N. japonica), 왜개연(N. pumila), 남개연, 참개연(N. subintegerrimum) 4종이 있다. 개연꽃은 연꽃처럼 잎이 물 위에 뜨지 않고 높이 자라고, 왜개연과 남개연은 잎이 물 위에 뜨는데 암술머리가 갈색인 것을 왜개연, 암술머리가 진한 홍색인 것을 남개연이라 한다. 신구대 식물원 ● 남개연 Nuphar pumilum var. ozeense | Red least water-lily ↘ 수련목 수련과 개연꽃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약 1m이다. 성숙된 잎은 길이 8~12cm, 폭 7~8cm 정도의 장 타원형이고, 미요두이며, 기부는 전저이며, 둘로 갈라진 열편의 기부는 좁아진다. 표면은 녹색이며, 광택이 나고, 뒷면에 털이 있다. 엽병은 속이 차 있다... 2012. 10. 17.
제주상사화 Lycoris chejuensis 처음엔 백양꽃으로 생각했는데 꽃의 색깔이나 형태가 백양꽃과 다르고 제주상사화라는 것을 나중에야 확인한다. 우리나라 고유종이지만, 재배종으로 넓게 퍼져 자라고 있어 자생지 확인이 매우 어렵다. 진노랑상사화와 백양꽃의 자연교잡종으로 보기도 한다. 신구대식물원 ● 제주상사화 Lycoris chejuensis | Jeju surprise lily ↘ 백합목 수선화과 상사화속 여러해살이풀 비늘줄기는 지름 2.6~6.4cm인 구형이며 겉은 막질이고 갈색을 띤다. 잎은 선형으로 연한 녹색이며, 길이 30-40cm 폭 18-25㎜이고 5월에 말라 없어진다. 꽃은 8월에 5~8개가 산형꽃차례로 피고 황미백색으로 꽃덮이의 주맥에 붉은선이 있다. 화피열편은 6개, 수술은 6개, 자방하위이며 과실은 맺지 않는다. 꽃자루는 길.. 2012. 10. 17.
석산(꽃무릇) Lycoris radiata 꽃과 잎이 자라고 피는 계절이 다른 점은 상사화와 같지만 강렬한 붉은 꽃이나 불꽃 같은 꽃잎의 형태가 특징적이다. 선운산나 불갑사 등 주로 남부 지방의 사찰 근처에 골짜기에 주로 분포하고, 가정에서도 흔히 가꾸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이 식물에서 추출한 녹말로 불경을 제본하고 .. 2012. 10. 17.
자라풀 Hydrocharis dubia 자라풀은 못이나 도랑 등 얕은 물에서 자라는 자라풀과의 여러해살이 수생식물이다. 습지식물에는 습지에 사는 동물 이름을 따 붙인 이름이 많다. 개구리자리, 개구리미나리, 미꾸리낚시, 붕어마름 등등... 둥근 잎이 자라의 등 모양을 닮았을 뿐더러 미끈하고 윤기가 나는 모습이 자라를.. 2012. 10. 17.
삼쥐손이 Geranium soboliferum 백두산 부근 이도백하의 산지에서 맨 처음 만나보았던 삼쥐손이. 쥐손이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삼잎처럼 여러 갈래로 갈라진 잎 모양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보인다. 북부지방과 중국 동북부,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고산지대의 습한 풀밭에서 자란다. ↓ 신구대식물원 ● 삼쥐손이Geranium sobo.. 2012. 10. 16.
가는다리장구채 Silene jenisseensis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가는다리장구채는 강원도 설악산 등 깊은 산지와 북부지방 산지의 암석지대나 메마른 초지에 분포한다. 남한 내 자생지가 10여 곳 정도로 제한적이어서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흰장구채에 비해 꽃이 작고 뿌리잎은 좁고 길다. ↓ 신구대식물원 ● 가는다리장.. 2012. 10. 16.
섬잔대 Adenophora taquetii 한국 특산종으로 한라산 정상부에서 자라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저지대에서 자라는 당잔대와 비슷한 모양이지만 키가 20cm 내외로 훨씬 작다. ↓ 신구대식물원 ● 섬잔대 Adenophora taquetii / 초롱꽃과 뿌리는 굵으며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20 cm 내외로 잎이 달린 자리에서 능선이 .. 2012. 10. 16.
소경불알 Codonopsis ussuriensis 더덕보다 꽃이나 식물체가 작고 꽃부리 갈래조각에 붉은 무늬가 있는 것이 소경불알의 특징이다. 만삼도 꽃이 더덕에 비해 작은 점이 비슷하지만 꽃부리에 붉은 무늬가 없다. 제주도 한라산에 자생하는 애기더덕도 비슷한 모양이지만 소경불알보다도 꽃이 더 작아 애기소경불알이라고 .. 2012. 10. 16.
섬양지꽃 Potentilla dickinsii var. glabrata 울릉도에 분포하는 양지꽃속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고유종이다. 돌양지꽃(Potentilla dickinsii)의 변종으로 돌양지꽃에 비해 전체에 털이 적고 잎이 크며, 잎 뒷면이 회청색을 띠지 않은 점으로 구별된다. 신구대식물원 ● 섬양지꽃 Potentilla dickinsii var. glabrata | Glabrous Korean cinquefoil ↘ 장미목 장미과 양지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10-20㎝. 근경은 굵고 대질(大質)이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소엽은 3개(간혹 5개)이고 사각상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2.5-5㎝, 폭 1.5-3㎝이다. 잎의 맥 위에만 털이 있다.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탁엽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10.. 2012.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