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3580 독미나리 Cicuta virosa 독미나리는 미나리과 독미나리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이름 그대로 맹독성을 지닌 미나리다. 습지에서 자라는 모습이 미나리를 닮아 '독근(毒芹)·독물통소대·독근채화(毒芹菜花)'라고도 한다. 북방계 수생식물로 남한 내의 자생지는 매우 제한적인데 처음 발견됐던 대관령에서는 관찰되지 않고 정선 일대 자생지도 도로 건설로 크게 훼손되었고 전북 일부 지역에서 약용으로 재배하던 것이 야생 유지하는 개체들이 관찰되었다. 지금은 멸종위기 2급 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 신구대식물원 ● 독미나리 Cicuta virosa | a water hemlock ↘ 산형화목 산형과 독미나리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는 원통형으로 속이 비고 곧추서며 가는 홈줄이 있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며 잎과 더불어 털이 없다. 땅속줄기 끝.. 2012. 10. 16. 물옥잠 Monochoria korsakowi 물옥잠과 물옥잠속의 한해살이 수생식물로 물달개비(M. vaginalis)와 유사하나, 전체가 크며 꽃은 줄기 끝에서 긴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피고 더욱 큰 꽃이 많이 달리는 점으로 구분된다. ● 물옥잠 Monochoria korsakowi | Korsakow monochoria ↘ 백합목 물옥잠과 물옥잠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30cm에 달하고 전체에 털이 있다. 수염뿌리가 있다. 잎은 밑부분에서 돋은 것은 엽병이 길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며 줄기와 더불어 스폰지같은 구멍이 많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싸며 자줏빛이 난다. 엽신은 심장형이며 점첨두이고 심장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4-15cm로서 질이 연하고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9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 달리며 원뿔모양꽃차례는 길.. 2012. 10. 16. 긴잎으아리 Clematis mandshurica for. lancifoli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덩굴성 반관목이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기본종인 으아리에 비해 작은잎이 피침형으로 좁으며, 꽃받침잎은 보다 작다. 꽃받침잎이 보통 6장이라는데, 이곳에서 만난 긴잎으아리는 4장인 꽃 둘만 보인다. ● 긴잎으아리 Clematis mandshurica for. lancifolia ↘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덩굴성 관반목 2∼3m이다. 뿌리는 노란빛을 띤 갈색이며 모여서 난다. 잎은 마주나며 깃꼴겹잎으로서 5∼7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다. 작은잎은 바소꼴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는 보통 덩굴손처럼 굽는다. 꽃은 6∼8월에 흰빛으로 피는데, 으아리보다 약간 크며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없다. 꽃받침은 길이 1... 2012. 10. 15. 긴잎나비나물 Vicia unijuga var. angustifolia 긴잎나비나물은 나비나물과 비슷하지만 잎이 훨씬 좁고 길다. 유사식물로 광양나비나물(var. venusta)이 있는데, 줄기와 꽃이삭에 털이 없고 꽃이 남자색이다. ↓ 신구대식물원 ● 긴잎나비나물 Vicia unijuga for. angustifolia | Narrow two-leaf vetch ↘ 콩목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100cm이다. 줄기는 모여 나고 능선이 있어 네모지며 털이 거의 없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1쌍의 소엽으로 되며 소엽은 선형으로 길이 1.5~5.5cm, 나비 4~15mm이고 끝은 길게 뾰족하며 밑은 둔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탁엽은 2개로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꽃은 한쪽으로 치우쳐서 난다. 꽃받침.. 2012. 10. 15. 한라개승마 Aruncus aethusifolius 장미과 눈개승마속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특산종으로 한라산에 분포한다.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에 비해 결각이 주맥 근처까지 깊게 파여 깃꼴이고, 꽃잎이 거의 흰색을 띠는 점에서 구별된다. 신구대식물원 ● 한라개승마 Aruncus aethusifolius ↘ 장미목 장미과 눈개승마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15cm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넓은 삼각형으로 2회깃꼴겹잎이다.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이고, 끝의 갈래조각이 가장 크며 꼬리처럼 길게 뾰족하고 깊게 패어진 모양과 더불어 톱니가 있다. 꽃은 8월에 피고 노란빛을 띤 흰색이며 복총상꽃차례에 달린다. 포는 줄 모양으로 흰 털이 있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꽃자루는 꽃이 필 때는 곧게 서지만 열.. 2012. 10. 15. 호장근 꽃 Fallopia japonica 호장근은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마디풀과의 식물로는 가장 큰 풀이다. '호장(虎杖)'은 '범 막대기'이니 막대기 모양의 줄기에 호피와 같은 붉은 무늬가 있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볕이 잘 드는 냇가나 산기슭에 자라는데, 곧게 벋은 굵은 줄기가 관목처럼 보이지만 초본이다. 가을이 되면 지상부의 줄기는 모두 말라 죽고 이듬해 봄 뿌리에서 굵은 새싹이 돋아나 다시 나무같은 가지를 치며 자란다. ↓ 신구대식물원 ● 호장근 Fallopia japonica | Asian knotweed ↘ 마디풀목 마디풀과 닭의덩굴속의 여러해살이풀 키는 1m 정도이고 곤봉 모양의 뿌리줄기는 목질로 속이 비어 있다. 넓은 달걀형의 잎은 어긋나는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잎밑은 자른 듯한 모양인데, 잎밑이 둥근 감절대와 다른 특징이.. 2012. 10. 15. 누린내풀 Caryopteris divaricata, 역한 냄새를 풍기는 청초한 꽃 누린내풀은 층꽃나무와 함께 마편초과 층꽃나무속에 속하는 자생 2종으로 경기, 강원 이남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에서는 누린내풀속 Tripora으로 따로 분리하고 있다.) 잎과 꽃에서 역한 누린내를 풍기는 풀이라 하여 누린내풀이라 한다. 꽃이 필 때 냄새는 더욱 심해진다. 같은 마편초과로 '누린내나무'라고 불리는 누리장나무와 가히 쌍벽을 이룰 만한 역한 냄새의 강자이다. 하지만 맑은 보랏빛의 꽃은 곱기만하다. 역한 체취를 감추고 있는 미인의 모습이라고나 할까... ↓ 신구대식물원 ● 누린내풀 Caryopteris divaricata | Odor bluebeard ↘ 꿀풀목 마편초과 층꽃나무속 여러해살이풀 줄기가 모여 나는데 1m 정도의 높이로 자란다. 원줄기는 네모지.. 2012. 10. 15. 구와꼬리풀 Veronica dahurica? 부산꼬리풀 Veronica pusanensis? 신구대식물원에서 만난 꼬리풀은 잎이 국화잎과 닮은 구와꼬리풀류이다. 그런데 잎이 깊게 갈라지지 않은 것으로 보면 큰구와꼬리풀은 아님이 확실한데, 그냥 구와꼬리풀인지 부산꼬리풀인지 구별하기가 난감하다. 구와꼬리풀은 비교적 키가 크고 가지도 늘씬한 편인데, 부산 해안가에서 발견된, 잎이 두텁고 누워서 자라는 게 특징이라는 부산꼬리풀(V. pusanensis)은 키가 작고 누워자라며 촘촘한 총상꽃차례를 보인다. 줄기에는 흰색의 잔털이 많이 나 있다는데 이건 잘 보이지 않는다. 구와꼬리풀이 바닷가에서 자라다보니 적응과정에서 생긴 특성일 뿐 바다가 아닌 곳에서 자라다보니 그특성이 사라진 걸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누워 있는 듯 작은 것이 일반적인데 또 제법 곧게 서서 가지를 벌고 있는 개체도 보인다. 어느.. 2012. 10. 15. 눈빛승마 Cimicifuga davurica 눈빛승마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한여름 녹음 짙은 숲 속에서 눈꽃을 피운 듯 하얀 순백의 꽃차례를 터뜨리는 눈빛승마의 모습은 가히 장관이다. 승마(升摩)는 '양기를 돋우는(升) 삼 잎(麻)'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한 이름인데, 뿌리줄기를 승마라 하여 잎이 삼잎과 유사하고 염증을 가라앉히고 양기를 돋우는 효능이 있다고 한다. ● 눈빛승마 Cimicifuga davurica | Dahurian bugbane ↘ 미나리아재비과 승마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2.4m이다. 줄기는 크고 곧게 서며 많은 가지를 낸다. 잎은 2회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타원형이고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 1m이고,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 2012. 10. 15. 눈빛승마 Cimicifuga davurica 눈빛승마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승마(升摩)는 잎이 마(麻)와 비슷하고 성질과 효능이 위로 상승(升)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한다. 특히 뿌리줄기 부분을 승마라 하고 각종 염증성 질환을 다스리고 해독을 하는 등 효험이 있다. 8월 한여름, 녹음 짙은 숲 속에서 눈꽃처럼 순백으로 피어난 눈빛승마의 꽃차례가 눈부시다. ↓ 대암산 ● 눈빛승마 Cimicifuga davurica | Dahurian bugbane ↘ 미나리아재비과 승마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2.4m이다. 줄기는 크고 곧게 서며 많은 가지를 낸다. 잎은 2회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타원형이고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 1m이.. 2012. 10. 15. 난쟁이바위솔 Meterostachys sikokiana / 바위솔 자생 15종 난쟁이바위솔은 돌나물과 난쟁이바위솔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이름 그대로 바위솔에 비해 잎과 꽃이 작은 난쟁이바위솔이다. 잎이 선형으로 끝이 가시 모양이다. 깊은 산속 바위에서 안개와 같은 습기를 섭취하면 푸른 잎과 흰 꽃을 피우는데, 습기가 없는 곳에서는 꽃이 연분홍색으로 핀다고 한다. 일본과 한반도에만 자라는 희귀식물이다. ↓ 대암산 ● 난쟁이바위솔 Meterostachys sikokiana | Dwarf rock pine ↘ 장미목 돌나물과 난쟁이바위솔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높이는 12cm 정도이다. 잎은 뭉쳐나고 줄 모양이며 다소 편평하고 육질(肉質)이다. 털은 없으며 길이 7∼12mm, 나비 2mm 정도로 가시 같은 끝으로 되어 있다. 8∼9월에 흰색 또는 홍색을 띤 꽃이 취산꽃차.. 2012. 10. 15. 곰취 대암산 2012. 10. 15. 알며느리밥풀 Melampyrum roseum var. ovalifolium 알며느리밥풀은 꽃며느리밥풀의 변종으로 꽃며느리밥풀에 비해 꽃차례가 밀집한 모양이며 녹색 포엽에 가시털 같은 톱니가 발달한 것이 특징이다. 중부 이남과 동해안을 따라 분포하고 주로 반그늘 습기 많은 곳에 자란다는데, 중부지방의 최북단 동해안 가까운 고산 습지에서 만난다. .. 2012. 10. 15. 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ica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된 청사초롱을 닮은 꽃, 그래서 금강초롱꽃이라 부른다.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명지산 이북에 분포하는 북방계 풀꽃이다. 대암산 ● 금강초롱 Hanabusaya asiatica /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90cm이며 뿌리는 굵고 .. 2012. 10. 15. '양산같이 생긴 노란 꽃', 마타리 Patrinia scabiosaefolia 아직도 따가운 햇살이 내리는 들녁과 산길, 양산 같은 마타리 노란 꽃이 피기 시작하면 가을이 온 것이다. 코스모스나 구절초와 함께 마타리는 가을을 알리는 대표적인 꽃이다. 산이 가까워졌다. 단풍이 눈에 따가웠다. "야아!" 소녀가 산을 향해 달려갔다. 이번은 소년이 뒤따라 달리지 않았다. 그러고도 곧 소녀보다 더 많은 꽃을 꺾었다. "이게 들국화, 이게 싸리꽃, 이게 도라지꽃,……." "도라지꽃이 이렇게 예쁜 줄은 몰랐네. 난 보랏빛이 좋아! …… 그런데, 이 양산 같이 생긴 노란 꽃이 뭐지?" "마타리꽃." 소녀는 마타리꽃을 양산 받듯이 해 보인다. 약간 상기된 얼굴에 살포시 보조개를 떠올리며. 다시 소년은 꽃 한 옴큼을 꺾어 왔다. 싱싱한 꽃가지만 골라 소녀에게 건넨다. 그러나 소녀는 "하나도 버리지.. 2012. 10. 14. 이전 1 ··· 61 62 63 64 65 66 67 ··· 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