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과390 덤불조팝나무 Spiraea miyabei 덤불조팝나무와 참조팝나무 구분이 쉽지 않다. 설악산 흘림골에서 만난 이 조팝나무를 보고 갈등에 빠진다. 대개 참조팝나무의 꽃잎을 붉은빛이 도는 흰색이라 하지만 흰 꽃잎이라고 설명하고 있는 도감도 있고, 1.5m 정도로 자라는 줄기에 능각이 있는 점이나 수술이 꽃잎의 2~배로 긴 점이 비슷하기 때문이다.참조팝나무 줄기가 갈색인데 비해 덤불조팜나무 줄기는 노란색으로 설명되어 있고, 참조팝나무의 잎 뒷면과 잎자루에 털이 없고 덤불조팝나무는 털이 있다고 하는데, 실물을 보면 이 특성이 섞여져 있어 구분이 아득해진다. 일단 덤불조팝나무가 대군락을 이룬 곳에서 본 것이라 덤불조팝나무로 보기로 한다. 2015. 06. 13. 설악산 ● 덤불조팝나무 Spiraea miyabei ↘ 목련강 장미목 .. 2015. 6. 21. 멍덕딸기 Rubus idaeus var. microphyllus 멍덕딸기는 세 장씩 달린 잎 모양이나 붉은 가시가 달린 모습이 곰딸기와 아주 닮았다. 그런데 멍덕딸기는 곰딸기처럼 줄기에 가느다란 갈색 가시는 있지만 곰딸기에 많은 샘털이 없다. 그리고 정소엽이 측소옆보다 두 배 정도 큰 곰딸기와는 달리 세 개의 작은잎의 크기가 거의 비슷하.. 2015. 6. 20. 눈개승마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눈개승마는 한라개승마와 함께 장미과 개승마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암수딴그루로 자란다. 울릉도에서 '삼나물'이라 불리는 맛있는 산나물로 재배되고 있다. 봄에 꽃이 피는 미나리아재비과 승마속의 눈빛승마와 꽃차례가 비슷하나 꽃 피는 시기와 잎 모양으로 쉽게 구별된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나며,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동북부에 분포한다.종명 dioicus는 암수딴그루임을 나타낸다. 2015. 05. 31 눈개승마 암꽃 - 꽃이 지고나면 열매가 달리게 된다. 수꽃 - 꽃이 지고 나면 꽃차례가 말라버린다. ● 눈개승마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 장미목 장미과 개승마속의 여러해살이풀높이 30∼100cm이다. 뿌리줄기는 나무처럼 단단하고 굵.. 2015. 6. 4.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국수나무는 등산로 주변에서 잔가지가 덤불을 이루고 있는 모습으로 흔히 만나게 되는 장미과의 관목이다. 국수나무 덤불은 온갖 산새들의 서식처일뿐 아니라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처로서 생태계의 순환을 이어주는 장소를 제공한다. 가지를 벗기면 국수 같은 하얀 줄기가 나온다고 국수나무라고 부른다. 총상꽃차례로 꽃이 피고 열매에 샘털이 촘촘히 달리는 나도국수나무(Neillia uekii)에 비해서 꽃은 원추꽃차례에 피며, 열매에는 보통 1-2개의 씨가 들어 있는 점으로 구분된다 2015. 05. 31. 천마산 ●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 Lace shrub ↘ 장미목 장미과 국수나무속 낙엽활엽 관목 높이는 1∼2m이고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잔가지는 둥글.. 2015. 6. 4.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잎새 뒤에 숨어 숨어 익은 산딸기지나가던 나그네가 보았습니다.딸까 말까 망설이다 그냥 갑니다. 5월에 꽃이 피어 6월이면 붉게 익는 산딸기, 누렇게 익어가는 보리를 수확하는 계절이면 어느새 탐스럽게 잎새 뒤에 붉게 익은 산딸기를 찾아 다니는 아이들의 마음은 바빴다. 꽃이 지고 한 달이 지나면 먹을 수 있는 초 속성 맛과 영양 만점의 과실이 산딸기다. 2015. 05. 23. 남한산성 ●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의 낙엽관목 높이 약 2m이다. 뿌리가 길게 옆으로 뻗고, 밑에서 싹이 돋아 커다란 군집으로 발달하며, 줄기 전체에 가시가 드문드문 난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 4∼10cm, 너비 3.5∼8cm이다. 끝은.. 2015. 5. 27. 야광나무(분주령) Malus baccata 분주령 고개에서 새하얀 꽃등을 달고 녹음 짙어가는 산을 환하게 밝히고 선 야광나무! 고갯마루를 넘는 산들바람에 탐스런 꽃에선 상큼한 사과향이 번진다. 사과와 비슷하지만 열매는 지름 1cm 정도로 아주 작다. 2015. 05. 16. 태백시 분주령 야광나무 줄기와 수피 ● 야광나무 Malus baccata | Siberian crap-apple ↘ 장미목 장미과 사과나무속의 소교목 수고 12m이고 수피는 회색빛을 띤 갈색이며 가지는 갈라지며 털이 없다. 햇가지는 붉은 갈색을 띠며 잔털이 없으며 윤기가 있고 묵으면 회갈색이 되며 껍질눈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3~8cm 끝이 점점 뾰족해지는 타원모양 또는 달걀모양이고 잎의 앞면에는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에는 흐릿한 잔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2015. 5. 25. 아구장나무 Spiraea pubescens 아구장나무는 중부 이북에 자생한다. 당조팝나무(Spiraea chinensis)와 잎이나 꽃의 모양이 아주 유사하여 구별이 쉽지 않다.당조팝나무는 아구장나무에 비해 잎이 두껍고 털이 밀생하며 꽃자루에 털이 없는 아구장나무와 달리 털이 밀생한다. 또한 당조팝나무의 잎자루가 4~12mm로 비교적 긴 데 비하여 3mm가 되지 않을 정도로 아주 짧은 점으로도 구별된다. 2015. 05. 16. 태백 대덕산 ● 아구장나무 Spiraea pubescens | Pubescent Spiraea ↘ 장미목 장미과 조팝나무속의 관목 높이는 1.5-2m쯤이다. 묵은가지는 회갈색이며, 어린 가지는 연한 갈색으로 짧고 부드러운 털이 있다. 줄기는 곧게 자란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모양 또는 거꾸로 .. 2015. 5. 24. 인가목조팝나무 Spiraea chamaedryfolia var. pilosa 함경도에서 강원도 및 경북, 울릉도, 북부 백두대간에 분포하는 조팝나무로 수술이 길고 달걀형의 긴 잎 가장자리 겹톱니인 점이 특징이다. 잎 모양이 느릅나무잎을 닮아 영명은 Elm-leaf spiraea이다. 2015. 05. 16. 태백 대덕산 ● 인가목조팝나무 Spiraea chamaedryfolia | Elm-leaf spiraea ↘ 징미목 장미과 조팝나무속의 관목 높이 약 1m이다. 가지를 많이 내며 어린 가지에 모서리각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3∼6cm, 나비 1.5∼3.5cm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둥근 모양이다. 양면에 부드러운 털이 나고 뒷면은 연둣빛이다. 가장자리는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 2015. 5. 24. 야광나무 Malus baccata 꽃이 피면 새하얀 꽃이 나무를 뒤덮어 봄날 밤을 환하게 비춘다고 야광나무라고 부른다. 사과나무와 비슷하지만 열매는 지름 1cm 정도로 아주 작으며 새콤한 사과맛이 난다. 천마산 야광나무 줄기와 수피 ● 야광나무 Malus baccata | Siberian crap-apple / 장미과의 소교목 수고 12m이고 수피는 회.. 2015. 5. 11. 귀룽나무 Prunus padus 꽃이 핀 모습이 구름처럼 보여 '구름나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자생 벚나무속 나무 가운데 가장 많은 꽃들이 달린 긴 총상꽃차례를 가지는 나무이다. 귀룽나무는 가지가 분산형으로 수형이 원개형인 기본종으로, 가지가 아래로 처지고 작은꽃자루의 길이가 긴 변종을 서울귀룽나무(var. seoulensis)라고 한다. 천마산 ● 귀룽나무 Prunus padus | european bird cherry ↘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의 교목 높이 10∼15m 정도이며 어린 가지를 꺾으면 냄새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밑은 둥글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불규칙하게 있다. 잎 표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에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1∼1.5cm로 털이 없고 꿀샘이 있다. 5.. 2015. 5. 9. 이스라지 Prunus japonica var. nakaii / 이스라지 유사종 비교 북부지방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산이스라지(Prunus ishidoyana)에 비해 꽃자루는 1cm 이상으로 길고 잎자루, 잎 뒷면, 꽃자루에 털이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 천마산 ● 이스라지 Prunus japonica var. nakaii | Korean bush cherry ↘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 관목 높이는 1.5m가량. 줄기는 회갈색이며 회색의 띠를 갖는다. 긴 타원형이고 급한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예저이고 길이 3~7cm, 폭 2~2.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깊은 겹톱니가 있다.턱잎은 선형이고, 결각 없으며 잎자루 길이는 3.5mm이다. 꽃은 5월에 잎보다 먼저 또는 같이 피며 연홍색이고 2~4개가 산형으로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1.7~2.2.. 2015. 5. 8. 민눈양지꽃 Potentilla yokusaiana 민눈양지꽃은 양지꽃속의 여러해살이풀로 깊은 산 반그늘에서 자란다. 기는 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고 잎은 날카로운 톱니가 고르게 나 있는데, 뱀딸기를 연상시킨다. 꽃의 중앙에 주황색 무늬가 눈길을 끈다. 2015. 05. 02. ● 민눈양지꽃 Potentilla yokusaiana ↘ 장미과 양지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0∼20cm이고, 기는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는다. 잎은 세 장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지고, 뿌리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길며 줄기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짧다. 작은잎은 잎자루가 없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가 1.5∼4cm, 폭이 1.2∼3cm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흰색의 누운 털이 있다. 턱잎은 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하다. 꽃은 5∼6월에 노란 .. 2015. 5. 7. 터리풀 뿌리잎 천마산 2015. 5. 7. 가침박달 Exochorda serratifolia 장미과의 관목으로 변종인 털가침박달과 함께 가침박달속의 2종의 자생종이다. 가침박달이 눈처럼 새하얀 꽃을 피웠다. 화사하고 우아한 꽃도 아름답거니와 향기 또한 은은하다. 전세계에 널리 분포하는 수종이나 우리 나라에서는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1997)'로 선정되어 있다. ● 가침.. 2015. 5. 3. 섬개야광나무 Cotoneaster wilsonii 울릉도 바닷가에 자생하는 장미과의 관목으로 한국 특산종이다. 백자단, 흑자단과 같은 속으로 잎에 톱니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멸종위기종 1급으로 천연기념물 제51호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 섬개야광나무 Cotoneaster wilsonii / 장미과의 관목 높이 1.5 m 내외에 달하고 나무껍질은 다소 .. 2015. 5. 2. 이전 1 2 3 4 5 6 7 8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