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미과390

한라개승마 Aruncus aethusifolius 장미과 눈개승마속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특산종으로 한라산에 분포한다. 눈개승마(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에 비해 결각이 주맥 근처까지 깊게 파여 깃꼴이고, 꽃잎이 거의 흰색을 띠는 점에서 구별된다. 신구대식물원 ● 한라개승마 Aruncus aethusifolius ↘ 장미목 장미과 눈개승마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15cm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넓은 삼각형으로 2회깃꼴겹잎이다.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이고, 끝의 갈래조각이 가장 크며 꼬리처럼 길게 뾰족하고 깊게 패어진 모양과 더불어 톱니가 있다. 꽃은 8월에 피고 노란빛을 띤 흰색이며 복총상꽃차례에 달린다. 포는 줄 모양으로 흰 털이 있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꽃자루는 꽃이 필 때는 곧게 서지만 열.. 2012. 10. 15.
터리풀, 단풍터리풀 잎 모양 비교 터리풀의 잎 단풍터리풀의 잎 2012. 10. 15.
물양지꽃 Potentilla cryptotaeniae 물양지꽃은 깊은 산 속의 냇가에서 자라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대개 잎끝이 뾰족한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아래에서 보듯 어린잎은 둥근 모습을 유지한다. ↓ 대암산 ● 물양지꽃 Potentilla cryptotaeniae /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전체에 털이 있고 높이가 30∼100cm이다. 뿌리에.. 2012. 10. 14.
사과 꽃 아하, 사과꽃이 이렇게 붉게도 피는구나! 꽃에서도 상큼한 사과향이 나는구나! 첫사랑 같이 고운 꽃이 피었구나! 샘처럼 맑은 우주가 열리는구나! 영주 순흥 2012. 10. 5.
참조팝나무 Spiraea fritschiana, 씨방 참조팝나무는 우리 나라 특산종이라고 한다. 하지만 중국에 분포하는 유사종과의 동일성 여부 등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가 더 필요하다는 학계의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덤불조팝나무, 둥근잎조팝나무, 좀조팝나무 등 유사종과의 구별도 쉽지 않다. 보통 강원도 이북에 분포하는 덤불조팝나무(S. miyabei Koidz.)에 비해서 잎 뒷면과 열매에 털이 없는 점으로 구분한다고 한다. 소백산 ● 참조팝나무 Spiraea fritschiana ↘ 장미목 장미과 조팝나무속 관목 높이가 1.5m에 달하며 가지는 능각이 있고 털이 없으며 자갈색이나, 일년생가지에는 연한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 타원형으로, 첨두, 예저이고, 길이와 폭은 각 3 ~ 8cm× 3 ~ 4cm로, 중앙 이하에 단거치 또는 겹톱니가 있으며, .. 2012. 9. 17.
만첩백도(Prunus persica for. alboplena) 꽃과 열매 만첩백도는 중국 원산의 귀화식물로 복숭아나무의 변종이다. 흰 꽃이 겹꽃으로 피는데, 그냥 흰겹꽃복숭아라 부르면 좋았을 걸, 어째서 어려운 한자어로 만첩백도라 이름 붙여 놓았는지... 참으로 어색한 이름이다. ↓ 홍릉수목원 ● 만첩백도 Prunus persica for. alboplena 높이 3~6m이며 작은 가.. 2012. 9. 8.
시베리아살구 잎 영월 2012. 8. 6.
곰딸기(붉은가시딸기) Rubus phoenicolasius, 열매 줄기가 붉고 가시가 많아서 '붉은가시딸기'라고도 불리기도 하는 한다. 영명도 이런 특성을 담아 Wine raspberry라 하는데, '와인 나무딸기'라는 뜻이다. (울릉도의 곰딸기는 줄기 색깔이 붉지 않은 것이 관찰되었다.)    2012. 07. 14.  남한산성       ● 곰딸기(붉은가시딸기)  Rubus phoenicolasius | Wine raspberry  ↘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 낙엽 활엽 관목 길이 3m 정도 자란다. 윗부분이 밑으로 처지며 길이가 3m에 달하고 줄기는 적자색이며 가시가 드문드문 있으며 적색 샘털이 밀생한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3-5개의 소엽으로 된 우상 복엽이고, 중앙의 잎이 훨씬 크며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소엽은 넓은 달걀모양이며 점첨두, 예저 또는 원저이며.. 2012. 8. 4.
좀조팝나무(Spiraea microgyna), 붉은 꽃 조팝나무 태백산에서 만난 조팝나무는 얼핏 일본조팝나무를 연상시킬 정도로 꽃잎의 색이 붉다. 주변에는 연한 홍색빛을 띤 흰 꽃잎을 단 조팝나무가 많은데 몇몇 개체만 이런 짙은 붉은 빛을 띤 꽃색을 보여준다. 잎 모양을 보면 잎가장자리 전체에 톱니가 고루 발달하고 있어 참조팝나무라기보다는 좀조팝나무라는 판단에 이르게 한다. ● 좀조팝나무 Spiraea microgyna ↘ 장미목 장미과 조팝나무속 관목 높이 대개 1m 이내이다. 나무껍질은 갈색이며, 잔가지는 단면이 원형 또는 작은 능선이 있으나 현저한 능각은 없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길이 3~5mm이다. 잎몸은 타원형으로 길이 5~6cm이고, 잎밑은 넓게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는 겹톱니 또는 결각상 톱니가 있으며, 잎끝은 점차 뾰족해진다. 잎 뒷면은 회백색으.. 2012. 7. 30.
참조팝나무 Spiraea fritschiana 참조팝나무는 중부 이북의 산 중턱 이상이나 산골짜기에서 나는 조팝나무속의 낙엽 관목이다. 강원도 이북에 분포하는 덤불조팝나무(S. miyabei)에 비해서 잎 뒷면과 열매에 털이 없으므로 구분된다. ↓ 태백산 ● 참조팝나무 Spiraea fritschiana | Fritsch Spiraea ↘ 장미목 장미과 조팝나무속의 관목 높이 1.5m 정도로 자란다. 가지는 붉은갈색으로 모서리각이 있으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으로 양 끝이 좁아들며 중앙 이하에는 톱니가 없고 뒷면에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7∼9mm이며 흰색 바탕에 연분홍색이 돌고 겹산방꽃차례를 이룬다. 꽃이삭은 지름 10cm 정도이고 꽃받침조각은 뒤로 젖혀진다. 꽃잎은 둥글고 수술은 꽃잎 길이의 2.. 2012. 7. 30.
터리풀 Filipendula glaberrima 산방꽃차례에 흰 꽃이 피는 한국 특산종으로서, 습도가 높고 반그늘인 중부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털이풀'이라고도 했는데 꽃차례가 털이개의 모양을 닮아 터리풀이라 부른다. 속명 Filipendula는 라틴어 filum(실)과 folium(잎)의 합성어로 잎이 실처럼 가늘다는 뜻이며, 종명의 glaberrima는 털이 없음을 나타낸다. 한자 이름으로는 '광합엽자(光合葉子)'라고 하고 영어 이름은 'meadowsweet' 이다.  터리풀의 유사종으로 5~7개로 갈라지는 잎 뒷면에 흰털이 많고 꽃잎 끝이 둥근 단풍터리풀, 지리산 지역에 자라며 꽃빛이 분홍색이 뚜렷한 지리터리풀, 붉은 꽃이 피는 붉은터리풀, 강계지방에서 자라는 강계터리풀 등 여러 종류가 있다.    2011. 07. 07.  태백산      .. 2012. 7. 30.
좀딸기 Potentilla centigrana 민둥산 능선의 어느 작은 돌리네에서 무더기로 자라고 있는 좀딸기꽃을 만난다.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피는 작고 노란 꽃이 앙증스럽다.  양지꽃속의 여러해살이풀로 경북 이북의 산지에 자생한다. 줄기는 옆으로 뻗으면서 뿌리를 내리고 작은 잎 3장이 달리는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2012. 06. 02.  민둥산              ● 좀딸기 Potentilla centigrana   ↘  장미과 양지꽃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옆으로 기면서 마디에서 뿌리를 내리고 퍼진 털이 있다. 잎은 3출엽으로 작은잎은 거꿀달걀꼴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2.5㎝, 너비 7~20㎜이고 뒷면은 녹백색이며 맥 위에 누운털이 약간 있고 6~11쌍의 톱니가 있다. 턱잎은 바소꼴 또는 달걀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 2012. 7. 7.
당조팝나무(Spiraea chinensis), 산조팝나무(Spiraea blumei), 당조팝나무는 산속 양지바른 비탈이나 언덕에 주로 서식한다. 민둥산에서 만난 이 조팝나무는 은행잎 모양을 이루고 있어 산조팝나무를 연상시키는데 잎에 잔주름이 많고 까칠하며 두꺼워보이는 것이 당조팝나무로 보인다. 잎자루가 길고 잎이 불규칙하고 둥글게 갈라지며 무딘 톱니가 드문드문 있는 점도 당조팝나무의 특징이다. 다만 잎자루나 꽃자루에 털이 그리 많지 않아 아구장나무와 구별이 그리 쉽지 않아 보인다. ● 당조팝나무 Spiraea chinensis | Chinese spirea ↘ 장미목 장미과 조팝나무속 관목 가지는 옆으로 휘며 어릴 때는 황갈색 털이 빽빽히 난다. 높이는 1.5m 정도이다. 줄기는 한 포기에 여러개가 올라오며 나무껍질은 황갈색으로서 오래되면 흑갈색으로 변하고 줄기에서 가는 가지가 많이 나온.. 2012. 7. 6.
붉은뱀무 Geum chiloense 시중에 유통되는 뱀무 원예종으로 꽃뱀무와 붉은뱀무가 있다. 꽃뱀무(코키네움뱀무)는 혿꽃으로 학명이 Geum coccineum이며 터키와 발칸 반도 지역이 원산지다. 붉은뱀무는 겹꽃으로 학명이 Geum chiloense(또는Geum quellyon)이며 칠레 중부 지역이 원산지다. 붉은뱀무의 영명은 Scarlet avens. Chilea.. 2012. 6. 20.
당양지꽃 Potentilla rugulosa 당양지꽃은 충북 이북의 석회암 지대 바위 틈에서 자라는 양지꽃의 한 종류이다. 뿌리로부터 뭉쳐나는 잎 모양은 돌양지꽃과 비슷한 형태이지만 잎이 훨씬 크다. 잎은 대개 세 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 또는 깃꼴겹잎으로 2∼4쌍이 있다. 엽축에 누운털이 많다. ↓ 단양 ● 당양지꽃 Potentilla.. 2012.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