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초과65 봄맞이꽃 Androsace umbellata, 겨울나기 로제트 아파트 단지 옆 작은 공원, 그늘진 언덕에 봄맞이꽃 어린풀들이 여기저기 꽃처럼 돋아 났다. 꽃 못지 않게 아름다운 청록색의 겨울나기 로제트! 혹독한 겨울을 저 모습으로 견뎌내고 내년 4월 초순이 되면 흰 꽃을 흐드러지게 피울 것이다. 들이나 햇빛이 잘 드는 경작지 및 숲 가장자리의 풀밭에 흔하게 자라는 앵초과의 두해살이풀이다. 잎몸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만 있는데 비해 설악산에 고산 능선에 자생하는 금강봄맞이는 잎 가장자리에 7~12개의 깊은 결각과 더불어 톱니가 있다. 고산봄맞이는 줄기에 잎이 있다.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등지에 두루 분포한다. 2024. 09. 29. 서울 ● 봄맞이꽃 Androsace umbellata | umbelled rockjasmine ↘ 목.. 2024. 10. 22. 애기봄맞이 Androsace filiformis 시골 집 마당 주변에 자라서 꽃을 피운 애기봄맞이. 우리나라 전역의 들이나 길가 습기가 많은 땅에서 자라는 앵초과 봄맞이꽃속의 한해살이풀이다. 중국 이름은 '동북점지매(东北点地梅)'이다. 비슷한 명천봄맞이(A. septentrionalis)는 북부지방에 분포하며 잎 끝에 톱니가 2~3개 있고 식물체에 털이 더 많다. 러시아 동쪽에서 서족 끝까지, 몽골, 중국 만주, 북유럽, 북미 등 북반구 온대 냉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2024. 04. 12. 합천 가회 ● 애기봄맞이 Androsace filiformis | filiform rockjasmine, slender-stemmed androsace ↘ 앵초목 앵초과 봄맞이꽃속 한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모든 잎이 뿌리에서 나오며 지면을 따라 또는.. 2024. 4. 17. 참기생꽃 Trientalis europaea 앵초과 기생꽃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까치수염과 같은 리시마키아속으로 보기도 한다) 가야산 산정에서부터 강원도 함백산, 오대산, 설악산, 북부지방 고산지대 공중 습도가 높고 부엽질이 많은 토양에서 자란다.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그 변종으로 분류되는 기생꽃(var. arctica)은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로 참기생꽃에 비해서 줄기 아래쪽 잎은 비늘처럼 되지 않으며 잎몸은 도란형으로 끝이 둔하다.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1997)로 지정되어 있다. 설악산 ● 참기생꽃 Trientalis europaea | Arctic starflower,chickweed-wintergreen ↘ 앵초목 앵초과 기생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5-25cm이고 실같은 백색 기는줄기가 뻗으며 밑부분에 .. 2022. 7. 6. 한라설앵초 Primula farinosa subsp. modesta var. hannasanensis 한라산 능선부의 양지바르고 습기가 있는 바위틈 또는 바위 곁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설앵초(var. koreana)라 불리는 종과 유사하며 같은 종으로 보기도 한다. 좀설앵초(Primula sachalinensis)는 북부지방 양강도에 분포하며 설앵초에 비해 전체가 소형이며 잎은 좁고 길며 거의 톱니가 없으므로 구별된다. ● 설앵초(雪櫻草) Primula farinosa subsp. modesta var. hannasanensis | Hallasan alpine modest primrose ↘ 앵초목 앵초과 앵초속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다. 잎은 모두 뿌리줄기에서 나오는 뿌리잎으로 잎자루는 길다. 잎몸은 대개 도피침형으로 기부는 갑자기 아래로 흘러 잎자루의 좁은 날개로 된다. 잎 가장자리는 미세.. 2022. 5. 24. 참기생꽃 Trientalis europaea 참기생꽃은 아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흰 꽃잎에 어떤 연상이 작용한 것인지 기생이란 이름이 붙었다. 꽃 모양이 기생이 쓰던 화관을 닮았다는 이유를 대기도 하고 흰 꽃잎이 기생의 분 바른 얼굴을 떠올린다는 이유를 대기도 한다. 영어 이름은 chick-weed wintergreen, '늘 푸른 병아리풀'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 기생꽃은 참기생꽃의 변종(var. arctica)으로 등록되어 있는데 구분이 명확한지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지리산, 가야산 이북 고산지역 공중 습도가 유지되고 햇볕을 직접 받지 않는 부엽질 토양에서 자란다. 설악산 ● 참기생꽃 Trientalis europaea ↘ 앵초목 앵초과 기생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5-25cm이고 실같은 백색 기는줄기가 뻗으며 밑부분에 .. 2017. 6. 15. 큰앵초 Primula jesoana 큰앵초는 고산이나 고위도 지역에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로 잎이 크고 둥글며 잎끝은 얕게 갈라져 있는 점으로 다른 앵초들과 쉽게 구별된다. 2017. 05. 21. 포천 광덕산 ● 큰앵초 Primula jesoana | Yalu River Primrose ↘ 앵초목 앵초과 앵초속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잔털이 있고 원줄기는 없다. 근경이 짧게 옆으로 벋는다. 잎은 근생하며 원신형 또는 콩팥모양이고 가장자리가 얕게 7~9개로 갈라지며 치아모양톱니가 있고 길이 4~18cm, 폭 6~18cm로서 짧은 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30cm이다. 꽃은 홍자색으로 통꽃이고 7-8월에 피며 지름 1.5-2.5cm로서 잎 사이에서 엽병의 2배 정도되는 꽃대가 나와 그 끝에 1-4층의 꽃이 달리며 각 층에.. 2017. 5. 25. 설앵초 Primula modesta var. hannasanensis 설앵초는 한라산과 경남 가야산, 신불산 등 해발 800m 이상 고산지대 바위 틈이나 풀밭에서 자란다. '눈깨풀'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앵두와 비슷한 꽃과 눈처럼 흰 잎 뒷면을 가진 특징으로 설앵초(雪櫻草)라 불린다. 뜨거운 여름에는 은빛 잎을 뒤집어서 햇빛을 반사시켜 주변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막는다.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지구 온난화로 멸종될 수도 있는 '국가 기후 변화 생물 지표' 100종의 하나로 선정하기도 했다. 가야산 ● 설앵초 Primula modesta var. koreana ↘ 앵초목 앵초과 앵초속 여러해살이풀 근경은 짧고 모든잎은 뿌리에서 모여 난다. 초장 10cm 정도로 자라며 사각상 난원형이고 엽신이 길다. 잎은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는 것이 있고 얕고 둔한 톱니가 있으며 잎 뒷면은 은황색.. 2017. 5. 10. 앵초 Primula sieboldii 꽃이 앵두 꽃처럼 생겨서 앵초(櫻草)라고 하는데, 전국의산지에 분포하지만 그리 흔하지는 않은 꽃이다. 앵초속 식물들이 대개 고산지대나 고위도지역에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이지만 앵초는 비교적 낮은 산지에서도 자생한다. 보은 ● 앵초 Primula sieboldii / 앵초목 앵초과 앵초속 숙근성 .. 2017. 4. 26. 참기생꽃 Trientalis europaea 참기생꽃은 가야산, 지리산 이북의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앵초과 기생꽃속의 여러해살이풀로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1997). 공중 습도가 높고 부엽질이 많은 토양에서 자란다. 2016. 06. 04. 설악산 ● 참기생꽃 Trientalis europaea | Arctic starflower,chickweed-wintergreen ↘ 앵초목 앵초과 기생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5-25cm이고 실같은 백색 기는줄기가 뻗으며 밑부분에 비늘 같은 잎이 달리고 끝부분에서 5-10개의 큰 잎이 돌려나기상으로 돋는다. 잎은 얇고 넓은 거꿀피침모양, 피침형,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며 길이 2-7cm, 나비 1-2.5cm로서 끝이 뾰족하.. 2016. 6. 11. 금강봄맞이 Androsace cortusaefolia 금강봄맞이는 설악산과 금강산의 그늘진 암벽과 주변 땅에서 자생하는 앵초과 봄맞이꽃속(Androsace)의 여러해살이풀로 국내에만 분포하는 특산 식물이다. 봄맞이나 애기봄맞이가 해넘이살이풀인 데 비하여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의 결각이 둥근 콩팥형이고 털이 거의 없는 점으로 다른 봄맞이꽃들과 구별된다. 2016. 05. 21. 설악산 ● 금강봄맞이 Androsace cortusaefolia | Geumgang rockjasmine ↘ 앵초목 앵초과 봄맞이꽃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8cm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끝에 분해된 잎자루의 섬유가 남아 있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둥근 신장형이며 7∼11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중앙까지 3개로 갈라지기도 하며 톱니가 있거나 또는.. 2016. 5. 26. 큰앵초 Primula jesoana 큰앵초는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손바닥 모양의 둥근 잎 모양으로 타원형의 잎을 가진 앵초와 쉽게 구분된다. 고산지대나 고위도 지역에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로 높은산의 그늘진 비탈이나 습기 있는 숲속에서 자란다. 국가표준식물에서는 큰앵초(Primula jesoana)와 털큰앵초(Primula jesoana var. pubescens)를 구분하고 있는데, 국가생물다양성정보공유체계에서는 큰앵초의 학명을 Primula jesoana var. pubescens로 기록하고 있다. 설악산 공룡능선 ● 큰앵초 Primula jesoana | Yalu River Primrose ↘ 앵초목 앵초과 앵초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없고 전체에 잔털이 있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잎자루는 길며 .. 2016. 5. 26. 꽃잎에 결각이 있는 애기봄맞이, Androsace filiformis 4월 말부터 5월 초순, 고향 집 마당과 주변 빈 터와 논에는 애기봄맞이꽃이 피어 있는 모습을 흔하게 만난다. 애기봄맞이는 앵초과의 한해살이풀로 만주 등 동북아 대륙에 분포하는 냉온대성 식물이다. 일본 열도에는 아예 분포하지 않고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도 아주 드물게 볼 수 있다고 하는데, 내 고향집에는 아주 흔하게 자라고 있다. 꽃이 좁쌀보다도 더 작아 가느다란 실처럼 생긴 꽃차례에서 필리포르미스(filiformis)란 종소명이 붙었다. 전체에 흰 털이 있는 봄맞이꽃과 달리 애기봄맞이는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2016. 05. 07. 합천 가회 ● 애기봄맞이 Androsace filiformis | Filiform androsace ↘ 앵초목 앵초과 봄맞이꽃속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약 15cm이며, 전체.. 2016. 5. 16. 큰앵초 새순, 꽃망울 Primula jesoana 곰배령 꽃대를 올리고 꽃망울이 맺힌 큰앵초 ● 큰앵초 Primula jesoana /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없고 전체에 잔털이 있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잎자루는 길며 비스듬히 선다. 잎몸은 둥글며 밑 부분이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손바닥 모양으.. 2016. 4. 27. 큰까치수염과 까치수염, 두 종의 교잡종(?) 남한산성 성곽 부근에서 큰까치수염과 까치수염이 혼생하는 곳에서 그 교잡종으로 보이는 어중간한 형태의 까치수염이 함께 자라고 있는 것을 발견하여 기록해 둔다. 2015. 07. 02. 남한산성 ● 큰까치수염 Lysimachia clethroides 전체에 털이 별로 없어 잎이나 줄기가 매끈하며, 잎은 넓고 끝이 뾰족하며 잎자루와 줄기가 이어지는 부분에 붉은 무늬가 있다. ● 까치수염 Lysimachia barystachys 전체에 털이 많으며 큰까치수염에 비해 잎이 좁고 끝은 둔하다. ● 두 종의 교잡종으로 보이는 것 1 잎이 좁기는 하지만 형태와 빛깔이 큰까치수염과 닮았으며 까치수염에 비해 털이 훨씬 적다. 두 종의 교잡으로 의심된다. ● 두.. 2015. 7. 21. 설앵초 Primula modesta var. hannasanensis 운이 좋게도 철이 한참 지나서 꽃을 피운 설앵초를 만난다. 고산지대 바위틈에서 자라는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북방계식물이지만 한라산이나 가야산, 신불산 등 남부지방의 아고산지대에 분포하고 있다. 한라산 ● 설앵초 Primula modesta var. hannasanensis /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 2015. 7. 19.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