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화과631

각시취 Saussurea pulchella 각시취는 산지의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두해살이풀이다. 세계적으로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에도 분포하는 분포역이 넓은 식물이다. ↓ 민둥산 총포조각 사이에 꽃잎과 비슷한 막질로 담홍색 부속체가 있는 점이 특이하다. ● 각시취 Saussurea pulchella / 국화과 분취속의 두.. 2011. 12. 13.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왕고들빼기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산씀비귀와 유사하나 잎이 줄기를 감싸는 점이 다르다. 잎은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며 깃꼴로 깊은 결각이 생기기도 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 등 종북아시아와 베트남에 분포한다.    2011. 09. 25. 지리산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Triangular Lettuce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상추속(왕고들빼기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높이 60~130cm로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다. 잎은 밑이 날개처럼 되어 잎자루로 넓게 이어져서 불룩하게 되거나 줄기를 감싼다. 꽃은 7~8월에 피며, 노란색 머리 모양 꽃이 모여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머리 모양.. 2011. 11. 15.
지리산의 은분취(Saussurea gracilis) 햇볕이 잘 드는 건조한 풀밭에서 잘 자란다는 은분취, 지리산 천왕봉과 주변 능선의 등산로에서도 흔하게 만날 수 있었다. 꽃이 필 때에도 싱싱한 뿌리잎이 남아 있으며 이등변삼각형 모양의 잎은 뒷면이 은색이다. 숯불처럼 꽃이 아름다운 은분취는 참서덜취라고도 불린다. 2011. 11. 15.
각시서덜취 Saussurea macrolepis 각시서덜취는 한국 특산종으로 깊은 산 숲속에서 자란다. 비교적 넓은 잎은 둥근데 잎끝이 꼬리가 길게 나 있는 점이 서덜취와 뚜렷이 구별된다. 잎가장자리에는 뾰족한 톱니가 불규칙하게 나 있고 잎 윗면과 아랫면이 모두 녹색이다. 총포가 대롱 모양으로 길고 포편이 6~7줄로 배열한다.. 2011. 11. 15.
천왕봉 은분취 Saussurea gracilis 지리산 ● 은분취 Saussurea gracilis / 국화과 분취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0∼30cm이다. 줄기에는 흰 털이 빽빽이 나지만 나중에는 없어진다. 잎은 밑에서는 잎자루가 길고 타원 모양 삼각형이거나 삼각형이며 길이 6∼8cm이다.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겉면은 붉은.. 2011. 11. 15.
은분취 Saussurea gracilis 지리산의 은분취. 천왕봉 주변 능선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다. 양지바른 풀밭에서 잘 자란다는 풀이지만 서늘한 고산지역 바위를 의지하고 바람을 피하여 볕바라기하며 피어 있다. ● 은분취 Saussurea gracilis / 국화과 분취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0∼30cm이다. 줄기에는 흰 털이 빽빽이 나.. 2011. 11. 15.
은분취 Saussurea gracilis 전국의 산지 볕이 잘 드는 건조한 풀밭에서 흔히 자라는 국화과 분취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지리산 수리취 ● 은분취 Saussurea gracilis / 국화과 취나물속 높이 10∼30cm이다. 줄기에는 흰 털이 빽빽이 나지만 나중에는 없어진다. 잎은 밑에서는 잎자루가 길고 타원 모양 삼각형이거나 삼각형.. 2011. 11. 15.
왕씀배 Prenanthes ochroleuca 지리산 고산 능선 수풀 속에서 뜻밖에 노란 꽃이 흐드러지게 핀 왕씀배를 만난다. 왕씀배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씀바귀아재비, 호랑이씀바귀, 왕씀바귀아재비' 등 딴이름으로도 불리기도 한다. 산지의 응달에서 자라는데, 국내 취약종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만나기 쉽지 않은 풀이다. 광릉, 양평, 포천, 태안, 제주도, 지리산 등지에 제한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높이 70~100cm로 곧게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줄기에는 자주색 털이 있다. 잎은 화살촉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9월에 줄기 끝에서 원뿔 모양의 꽃차례로 노란 꽃이 핀다. '국생정'에서는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고 하였는데, 지리산의 왕씀배는 뿌리잎을 간직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잎은 깊게 3갈래로 갈라지고, 긴 잎.. 2011. 11. 14.
수리취 Synurus deltoides 정월이라고 달떡범벅, 이월에는 시래기범벅, 삼월삼짇날은 쑥범벅, 사월에는 느티범벅, 오월에는 수리취범벅, 유월에는 밀범벅, 칠월에는 호박범벅, 팔월달에는 꿀범벅, 구월에는 귀리범벅, 시월에는 무시루범벅... 범벅타령이 있다. 수리취는 연한 잎을 떡과 버무려 먹기도 했는데, 이를 수리취범벅이라 하였다. 예전에는 성숙한 잎을 말려 부싯돌로 쳐서 불을 켤 때 부싯깃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지리산 ● 수리취 Synurus deltoides | a kind of marsh plant ↘ 국화목 국화과 수리취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40-100cm로 길며 원줄기는 굵고 종선이 있으며 백색 털이 밀생한다. 윗부분은 가지를 적게 치며 암자색을 띤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거나 남아 있고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밑부분의.. 2011. 11. 14.
정영엉겅퀴(Cirsium chanroenicum), 흰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for. alba) 세석평전에서 만난 엉겅퀴는 정영엉겅퀴일까, 흰고려엉겅퀴일까? 어느 쪽이든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인데, 정영엉겅퀴는 지리산 정령치에서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둘이 비슷해 하나로 보려는 견해도 있다. 흰고려엉겅퀴의 잎이 잎패임이 없고 톱니가 비교적 고른 것과는 달.. 2011. 11. 6.
까치고들빼기(Crepidiastrum chelidoniifolium) 지리산 골짜기의 9월은 까치고들빼기의 계절이다. 까치고들빼기는 깊은 산 숲가장자리에서 자란다. 첫나들이폭포에서 가네소폭포에 이르는 한신계곡의 물가 언덕은 온통 까치고들빼기 노란 꽃으로 가득하다. 지리산이니 까치고들빼기와 고들빼기의 잡종이라고 하는 지리고들빼.. 2011. 11. 6.
고산 산등성이 가을의 '추억', 산비장이(Serratula coronata var. insularis) 오뉴월에 피는 엉겅퀴나 뻐꾹채를 닮은 꽃이 선들선들한 바람이 부는 높은 산 양지쪽 풀밭에 피었다. 그러나 엉겅퀴처럼 날카로운 가시가 없고 풀잎과 나뭇잎들이 시들어가는 가을날 꽃다발처럼 환하게 무리지어 피는 산비장이 붉은 꽃은 보기만 하여도 금방 마음이 화사해진다. 파란 .. 2011. 11. 1.
은분취(Saussurea gracilis) 높이 10~30cm 정도로 20~80cm 정도인 특산식물인 분취에 비해 키가 작은 편이다. 날개가 없으며 처음에는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 천마산 2011. 10. 30.
은분취(Saussurea gracilis) 높이 10~30cm 정도로 20~80cm 정도인 특산식물인 분취에 비해 키가 작은 편이다. 날개가 없으며 처음에는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2011. 10. 30.
두메담배풀(Carpesium triste) 두메담배풀은 뿌리잎이 꽃이 필 때에도 남아 있다. 난상 긴 타원형의 잎은 밑부분이 둥글며 양면에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에 넓은 날개가 있는 것이 다른 담배풀과 구별되는 뚜렷한 특징이다. ↓ 천마산 2011. 10.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