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과631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 원줄기 중앙에 4~7개의 잎이 돌려나기한 것처럼 달린다. 모양은 원형인데 끝이 7~11개로 얕게 갈라진다. 이렇게 생긴 잎 모양이 단풍을 닮아 단풍취라 부른다. 여름에서 초가을에 걸쳐 꽃이 핀다. 포 속에 3개의 통상화가 들어 있고 꽃부리는 길이 16~17mm로서 흰색이다. ↓ 천마산 단.. 2011. 10. 30. 큰엉겅퀴 Cirsium pendulum 큰엉겅퀴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부 이북의 들이나 야산, 강가와 같이 주로 낮은 지대에서 흔히 자란다. ↓ 남한산성 ● 큰엉겅퀴 Cirsium pendulum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2미터이나 그 이상으로 자라기도 한다. 원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거미줄 같은 .. 2011. 10. 27. 흰가시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f. alba 한라산 구 용진각 대피소 부근 골짜기에서 만난 흰가시엉겅퀴. 흰가시엉겅퀴는 흰 꽃을 피우는 가시엉겅퀴이다. 가시엉겅퀴는 엉겅퀴에 비해 잎이 다닥다닥 붙고 가시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 흰가시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f. alba ↘ 국화과 엉겅퀴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50-100cm이고 전체에 백색 털과 더불어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줄기잎보다 크며 타원형 또는 피침상 타원형이고 길이 6-10cm로서 밑부분이 좁으며 6-7쌍의 우상으로 갈라지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고 줄기잎은 피침상 타원형이며 원줄기를 감싸고 우상으로 갈라진 가장자리가 다시 갈라진다. 잎이 다닥다닥 .. 2011. 10. 15. 한라산 고산지대에 자라는 한라고들빼기 Crepidiastrum hallaisanense 한라고들빼기는 한라산 정상 주변 화산암 암석지대에서 자라는 제주도 고유종 국화과 한해살이풀이다. 줄기가 곧게 서는 다른 고들빼기류와는 달리 줄기가 땅바닥으로 기는 점이 뚜렷한 특징이다. 왕고들빼기속(Lactuca)으로 분류해왔으나 최근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에서는 고들빼기속(Crepidiastrum)으로 배치하고 있다. 민들레잎을 연상시키는 잎은 깃꼴로 땅바닥에 넓게 퍼지며, 그 위로 여러 개의 줄기가 사방으로 깔린다. 좀씀바귀를 닮은 노란 꽃은 관상화가 없고 설상화로만 구성된다. 뿌리는 가늘다. ● 한라고들빼기 Lactuca hallaisanensis ↘ 국화과 왕고들빼기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밑동에서 여러 개가 갈라져 땅에 깔리고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는 가늘다. 잎은 피침형 또는 긴 달걀모양으로.. 2011. 10. 15. 한라산 곰취 Ligularia fischeri 한라산에서 만난 곰취, 내륙에서 만나는 곰취와는 느낌이 다르다. 당당한 짧은 줄기 끝에 달린 꽃차례가 짧고 꽃자루도 짧은데, 노란 꽃잎이 단정하게 펼쳐진 꽃 모양이 ‘보물’이라는 꽃말과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 든다. 곰이 좋아하는 나물이라고 하여 곰취라고 부른다는데, 그래서 '웅소(熊蔬)'라고도 한다. ● 곰취 Ligularia fischeri | fischer's ragwort ↘ 국화목 국화과 곰취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1-2m 정도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며 홈줄이 있고 담갈색의 거미줄털이 밀생한다. 굵은 근경이 있으며, 사방으로 뿌리가 뻗어 있다. 근생엽은 길이가 85cm에 달하는 것이 있으며 콩팥모양이고, 길이 32cm, 폭 40cm로 가에는 규칙적인 거치가 있다. 엽병은 길이가 60cm 정도로 날.. 2011. 10. 15. 한라산 정상 부근에서 꽃을 피우는 구름떡쑥 8월 상순, 자욱한 안개비에 묻힌 한라산 정상에는 구름떡쑥 흰 꽃이 피어나고 있다. 국화과 다북떡쑥속의 여러해살이풀로 한라산 고유종이며 햇볕이 잘 들고 비탈지며 물 빠짐이 좋은 부엽질 토양에서 잘 자란다. 원종은 다북떡쑥(Anaphalis sinica)으로 중국명은 '향청(香青)'이다. 중국, 북부지방, 설악산 지역에 자생하며 줄기가 밀생하고 가지가 없고 좁은 날개가 있다. ● 구름떡쑥 Anaphalis sinica var. morii | Asian pearly everlasting ↘ 국화과 다북떡쑥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5-20cm이고 원줄기는 면모로 덮여 있으며 끝까지 잎이 밀생한다. 근경은 옆으로 뻗으며 끝이 비늘조각같은 잎으로 덮여 있다.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거꿀피침.. 2011. 10. 15. 게박쥐나물 Cacalia adenostyloides 박쥐나물은 잎은 콩팥 모양으로 게를 닮았으며 잎자루에 날개가 없고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지 않는다. 한라산과 경북 이북 지역에 분포하며 세계적으로 분포역이 좁은 희귀식물이다. 한라산 ● 게박쥐나물 Parasenecio adenostyloides | Glandular-style Indian plantain ↘ 국화과 박쥐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60-10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원줄기에 홈이 파진 능선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콩팥모양이며 끝이 짧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길이 6~11cm, 폭 10~20c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치아모양톱니가 지고 엽병은 길이 3~13cm이다. 위로 올라가면서 잎은 포같이 되며 긴 타원형으로서 짧은 엽병이 있거나 선상 피침형이고 윗부분에 큰 잎이 2~3개.. 2011. 10. 15. 가시엉겅퀴와 바늘엉겅퀴 / 엉겅퀴속 자생종 제주도 한라산을 오르다 보면 가시엉겅퀴와 바늘엉겅퀴를 모두 만날 수 있다. 가시엉겅퀴는 보통의 엉겅퀴와 비슷하지만 엉겅퀴보다 가시가 뾰족하고 많으며 줄기에 달린 잎도 촘촘히 붙어 나는 점이 다르다. 바늘엉겅퀴는 제주도와 보길도 등에서 자라는 특산종으로 데, 꽃자루가 거의 보이지 않는 두상화를 날카로운 바늘 같은 포잎들이 철옹성처럼 에워싸고 있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소들이 이것에 가까이 갔다가 날카로운 가시 때문에 뒤로 물러서는 모습을 보고 '소왕(牛王)'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 가시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spinosissimum | Spined Japanese thistle 높이 50-100cm로서 전체에 백색 털과 더불어 거미줄같은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근생엽은 꽃.. 2011. 10. 15. 한라산의 금방망이 Senecio nemorensis 금방망이는 국화과 금방망이속(Senecio)의 여러해살이풀로 백두산 등 북부지방의 산지, 한라산과 서해안 도서지역 등에 넓게 분포한다. 한라산 ● 금방망이 Senecio nemorensis / 초롱꽃목 국화과 금방망이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5-100cm이고 줄기는 단일하거나 여러대가 모여나기하며 능선이 있고 털이 없다. 근생엽과 줄기밑잎은 중앙부의 잎보다 작으며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짧으며 피침형,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털이 다소 있거나 없고 길이 7-15cm, 폭 2-5c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밝은 황색이고 머리모양꽃차례는 산방상으로 달리며 지름 17-25mm이고 화경은 꽃이 필 때는 길이 15-20mm.. 2011. 10. 15. 가자니아 Gazania rigens(태양국) / 가자니아 종류 가자니아는 남아프리카 원산의 초롱꽃목 국화과 꽃이다. 자생지에서는 여러해살이 식물이나 우리 나라에선 한해살이풀이다. 저녁에는 꽃잎을 접었다 개인 날 낮에만 피고 흐린 날과 비오는 날에는 피지 않는다. 추위에 약하고, 또 여름의 고온다습에도 약하다. 꽃이 아름다워 Rainbow Daisy, Treasure flower라는 영명으로 불리며, 꽃말은 '수줍음'이다. 추자도 어느 민가 '태양국(G. rigens)'의 한 품종으로 꽃잎 중앙에 점박이 무늬가 있는 '골드플라워'이다. ● 가자니아 Gazania spp. ↘ 초롱꽃목 국화과 가자니아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옆으로 넘어지기 쉬우며 20~30cm로 자라며, 잎은 바소꼴로 흰 털이 난다. 7~9월에 지름 7~8cm의 등황색 꽃이 핀다. 관상화를 긴 꽃잎의 .. 2011. 9. 30. 홍도고들빼기 Crepidiastrixeris denticulatoplatyphylla 추자도에서 만난 고들빼기류는 이고들빼기 비슷하면서도 다른 듯하고 갯고들빼기로 보자니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발달되어 있다. 흔히 이고들빼기와 갯고들빼기의 교잡종이라고 하는 홍도고들빼기(Crepidiastrixeris denticulatoplatyphylla) 이미지에 가까워 보인다. 추자도 ● 홍도고들빼기 Crepidiastrixeris denticulatoplatyphylla / 초롱꽃목 국화과 홍도고들빼기속 두해살이풀 줄기는 직립하고 둥글며 부드럽고 연한 담록색으로 지름이 대략 1cm 정도로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가지는 위를 향해 뻗고 가늘며 70cm에 달하며 잔가지가 많다.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엽병이 없고 기저부에 짧고 둥근 엽이를 가지며 줄기를 둘.. 2011. 9. 30. 가는금불초 Inula britannica var. linariifolia 고향 뒷산 그늘지고 축축한 임도에서 만난 금불초. 줄 모양으로 가느다란 잎이 잎자루처럼 좁아지며 줄기에 듬성듬성 달린 점, 줄기 끝에 하나씩 핀 꽃이 지름 20mm도 안 되게 작은 점 등이 틀림없이 가는금불초의 특성이다. 금불초나 버들금불초라면 훨씬 넓은 잎이 줄기에 더 촘촘하게 .. 2011. 9. 4. 북채 닮은 둥둥방망이, 절굿대(Echinops setifer) 절굿대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절굿대처럼 둥근 열매의 모양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꽃봉오리와 잎의 모양 등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둥둥방망이', '개수리취', '분취아재비' 등의 재미있는 딴이름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속명 Echinops는 희랍어에서 'echinos(고슴도치)'와 'pos(발)'의 합성어로 둥근 두상꽃차례의 모양이 가시가 돋은 고슴도치의 발처럼 생겼다고 하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햇볕이 잘 쬐는 풀밭에서 1m 정도로 자라는데, 가지가 약간 갈라지며 줄기는 흰 털로 덮여 있다. 엉겅퀴나 뻐꾹채를 닮은 잎은 어긋나는데 깊게 깃털처럼 갈라졌고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5cm 정도로서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푸른 보라색으로 달리는데, 아직 푸른 꽃.. 2011. 8. 26. '고결'한 '고집쟁이', 리아트리스(Liatris) 리아트리스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통상화(筒狀花)뿐이고 분홍빛이 도는 자줏빛 또는 흰빛으로 수상꽃차례 또는 총상꽃차례로 밀생한다. 비늘잎처럼 생긴 많은 포(苞)가 꽃을 둘러싼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10개의 능선과 털이 있다. 뿌리가 굵고 어떤 것은 덩이줄기 모양인 것도 있으며 1개 또는 여러 대가 나와서 1m 내외로 자란다. 가지가 다소 갈라지고 잎은 솔잎 모양의 가는 잎이 나선형으로 둘러싼다. 잎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밑에서는 밀생하지만 위로 올라가면서 성겨지는 것도 있다. 영명은 Blazing Star. 꽃말은 '고집쟁이'와 '고결'인데, 위를 향해서 곧게 자라난 꽃대에서 꽃을 피우는 특징에서 나온 꽃말인 듯하다. ↓ 함평자연생태공원 리아트리스는 30여 종.. 2011. 8. 26. 미국미역취 Solidago serotina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주로 가을에 피는 양미역취와 달리 꽃이 여름에 피며 잎에 톱니가 있다. 중남부지방에 분포하며 인가 주위에서 자란다. 가평 ● 미국미역취 Solidago serotina / 초롱꽃목 국화과 미역취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1m이상에 달하며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 2011. 8. 13.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