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화과631

산민들레 Taraxacum ohwianum, 민들레 이야기 선자령에서 산민들레를 만난다. 강원도 산에서 흔히 만나는 토종 민들레이다. 산민들레는 토종 민들레인 민들레(T. platycarpum)와 사람 사는 곳 주변에 널리 퍼진 서양민들레(T. officinale)에 비해 가장자리 갈래잎 사이에 작은 갈래잎이 없는 점으로 구분된다. 또한 민들레의 꽃받침 갈래조각 끝에는 돌기가 있지만 산민들레는 돌기가 없는 점으로 구별되기도 한다. 우리 토종 민들레는 대개 민들레, 산민들레, 흰민들레가 기본을 이루고 있다. 이들 민들레는 꽃받침(총포)이 일편단심으로 젖혀짐이 없이 깍듯이 꽃을 받치고 있는 점으로 총포가 뒤로 젖혀지는 서양민들레와 구별된다. 선자령 ● 산민들레 Taraxacum ohwianum | Montane dandelion / 국화목 국화과 민들레속의 여러해살.. 2014. 5. 19.
디모르포테카 시누아타(풍차꽃) 디모르포테카 시누아타(Dimorphotheca Sinuata)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원산지는 남아프리카 케이브 서부. 영명은 황소눈데이지(Ox-eye Daisy), 아프리칸데이지 등으로 불리며, 꽃 모양이 풍차를 닮아 흔히 풍차꽃이라 부르기도 한다. 4~8월에 꽃이 피는데 꽃잎의 앞은 흰색, 뒤는 보라색인데.. 2014. 5. 11.
루비네크리스=오토나 카펜시스(Othonna capensis) 오토나 카펜시스(Othonna capensis)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원산의 다육식물이다. 루비목걸이란 뜻의 루비넥크리스(Ruby Necklace)라는 유통명으로 불려지고 있다. 황화신월(黃花新月)로 불리기도 한다. 햇빛을 받으면 잎이 붉은 루비색으로 변해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 2014. 5. 7.
금방망이 새순 금방망이는 주로 북부지방에 분포하고 남한에는 한라산에 분포하는 것으로만 알려져 왔으나, 서해 섬들에 두루 분포하고 서해안 지역에도 자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태안 솔향기길 ● 금방망이 Senecio nemorensis | groundsel ↘ 초롱꽃목 국화과 금방망이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45-100cm이고 줄기는 단일하거나 여러대가 모여나기하며 능선이 있고 털이 없다. 근생엽과 줄기밑잎은 중앙부의 잎보다 작으며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짧으며 피침형,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털이 다소 있거나 없고 길이 7-15cm, 폭 2-5c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밝은 황색이고 머리모양꽃차례는 산방상으로 달리며 지름 17-25.. 2014. 4. 23.
자주풀솜나물 Gnaphalium purpureum 자주풀솜나물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선풀솜나물속(Gnaphalium)의 한해살이풀로 일본에 귀화되었고, 현재 제주도 해안지역에도 널리 퍼져 자생하고 있다. 풀솜나물은 국화과 풀솜나물속(Euchiton)으로 동아시아 원산의 여러해살이풀이다.      2012. 3. 24 . 제주 말미오름 가는 길    2010. 3.13. 제주 신평리 환해장성 주변에서    2013. 1. 22. 법환포구 부근에서    ● 자주풀솜나물 Gnaphalium purpureum  ↘  국화목 국화과 선풀솜나물속의 한해살이풀 식물체 전체가 긴 백색의 솜털로 덮여 있다. 줄기는 높이 20-40㎝이며 기부에서 가지를 치고 곧게 자란다. 잎은 주걱형이며 길이 3-6㎝, 나비 5-10㎜로 끝이 원두이다. 잎의 표면은 털이 적으며 오.. 2014. 3. 5.
민둥산의 빗살서덜취 Saussurea odontolepis 구암정에서 민둥산 등산로를 따라 오르다가 솔밭쉼터에서 화암약수로 하산하는 길에 만난 분취 종류. 이곳에서 종종 만나는 북분취가 아닐까 생각하기도 했으나 줄기잎이 하나같이 깃꼴로 갈라진 모습이 빗살서덜취로 보는 게 맞을 듯하다. ☞ 북분취 => http://blog.daum.net/kheenn/15854993 htt.. 2013. 12. 22.
뚱딴지(돼지감자) Helianthus tuberosus 뚱딴지는 '돼지감자'라고도 하는데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국화과 해바라기속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중국을 거쳐 17세기 이후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바라기처럼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키 큰 줄기의 뿌리에는 엉뚱하게도 감자 모양의 덩이줄기가 달리는 탓에 '뚱딴지 같다'는 말이 생겼다. 땅속줄기가 비대해져서 달리는 덩이줄기가 못 생긴 탓에 '돼지감자'라 불지만, 늦가을에 환하게 피우는 꽃의 아름다움은 어떤 꽃에 비해서도 손색이 없다. 2013. 09. 28. 봉평 2011. 10. 03. 무량사 ● 뚱딴지(돼지감자) Helianthus tuberosus | Jerusalem artichoke, sunroot, sunchoke, wild sunflower, topinambur ↘ 국화목 국화과 .. 2013. 11. 19.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 단풍잎돼지풀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국내에는 1970년 이후 서울 근교의 하천부지, 임진강변, 춘천 등을 시작으로 확산되어 현재는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돼지풀과 함께 꽃가루가 호흡기 질환을 일으켜 환경 위해 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고, 생태계를 교란하는 대표적인 식물이다. 돼지풀(A. artemisiaefolia)에 비해서 전체가 대형이며(원산지에서는 키가 6m까지 자람) 잎은 마주나고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므로 구분된다. 잎이 갈라지지 않는 품종을 둥근잎돼지풀(for. integrifolia)이라고 한다. ●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 ↘ 국화목 국화과 돼지풀속 한해살이풀 땅속줄기를 뻗고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센털이 있으며 높이가 1∼2... 2012. 12. 2.
가는잎한련초 Eclipta alba 국화과 한련초속의 한해살이풀로, 제주도와 경기도 이남에 분포한다. 한련초(E. prostrata)에 비해 잎이 가늘고 톱니까 뚜렷하며 잎 밑부분에 굵은 3맥이 있다. ● 가는잎한련초 Eclipta alba ↘ 초롱꽃목 국화과 한련초속 한해살이풀 높이 10-60cm이며 곧게 자라고 전체에 센털이 있으며 가지는 마주나기하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기 때문에 마주나기하고 다시 가지 끝에서 1개의 가지가 자란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이 없거나 극히 짧고 피침형이며 예두 예저이고 길이 3~10cm, 폭 5~25mm로서 양면에 굳센 털이 있으며 기부 가까이에 굵은 3맥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머리모양꽃차례는 8~9월에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지름 1cm내외이고 화경은 길이 2-4.5cm이며 총.. 2012. 11. 12.
서양등골나물 Eupatorium rugosum 서양등골나물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귀화식물로 1978년 서울의 워커힐 주변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1978년 이우철에 의하여 '서양등골나물'이란 이름으로 소개되었으며, 한때 사근초(蛇根草)라 부르기도 하였다. 뿌리가 흰 뱀처럼 생긴 모양인지 서양 사람들이 White snakeroo.. 2012. 11. 12.
가는쑥부쟁이 Aster pekinensis 북방계 쑥부쟁이라는 가는쑥부쟁이가 늦가을 고향의 선산 능선에 하나둘씩 자라나 연보랏빛 꽃을 피웠다. 경남 합천 가회 ● 가는쑥부쟁이 Aster pekinensis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70cm로 곧게 자라며 줄기의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잎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쯤 쓰.. 2012. 11. 4.
가는잎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for. indivisa) 가는잎왕고들빼기는 국화과의 한두해살이풀이다. 왕고들빼기와 달리 잎이 갈라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괴산 ● 가는잎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for. indivisa 높이 80~150cm로,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가지를 자르면 흰 즙.. 2012. 10. 27.
산막이옛길의 산비장이, 버들분취 가을이 깊어가는 산막이옛길에서 만난 산비장이와 버들분취 꽃. 같은 자주색꽃이지만 꽃의 크기가 대조적이다. ● 산비장이 ● 버들분취 2012. 10. 27.
멜람포디움 Melampodium paludosum 멜람포디움은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원산지는 미국과 중남미이다. 영명으로 스타데이지(Star Daisy)라 부른다. 봄부터 가을까지(5월~10월) 꾸준히 꽃이 피며, 건조한 곳이나 비옥한 곳에서도 잘 자라며 햇빛을 좋아하나 가믐에서도 강하다. 재배하기 쉬운 식물이다. ↓ 신구대식물원 2012. 10. 18.
빗살서덜취 Saussurea odontolepis 잎이 국화를 닮아 국화잎각시분취, 구와잎각시취(구와각시취)라 불리기도 하고 왕분취라는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황해도 이남의 산기슭과 서해안 여러 섬에 분포한다는데, 황매산 등 내륙의 높은 산에도 자생한다. ↓ 신구대식물원 ● 빗살서덜취 Saussurea odontolepis / 국화과 분취.. 2012. 10.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