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화과631

두메고들빼기의 줄기잎 Lactuca triangulata 태백산 정상부에서 만난 두메고들빼기, 꽃대 끝에 꽃망울이 달렸을 뿐 아직 꽃이 피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잎 모양을 보여 주고 있다. 두메고들빼기의 잎은 삼각형이거나 삼각상 심장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다. 줄기 아래쪽의 잎은 날개가 달린 긴 잎자루가 있고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다. 줄기와 이어지는 부분은 귀 모양으로 줄기를 감싸고 있는데, 이런 점들이 산씀바귀와 다른 점이다.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상추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거나 삼각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으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다소 심장밑 모양이다. 잎은 얇은데, 앞면은 가는 털이 흩어져 나고 뒷면은 백색을 띤다. 잎.. 2012. 7. 30.
박쥐나물속 자생종, 종 검색표 ● 박쥐나물속(Parasenecio) 11종 털박쥐나물 Parasenecio hastata L. 참박쥐나물 Parasenecio hastata var. farfaraefolia (Maxim.) Ohwi 가지민박쥐 Parasenecio hastata var. ramosa (Maxim.) Kizmura 민박쥐나물 Parasenecio hastata subsp. orientalis (Kitam.) H.Koyama 게박쥐나물 Parasenecio adenostyloides (Franch. & Sav. ex Maxim.) H.Koyama 귀박쥐나물 Parasenecio auriculata (DC.) H.Koyama 박쥐나물 Parasenecio auriculata var. matsumurana Nakai 나래박쥐.. 2012. 7. 30.
두메고들빼기 뿌리잎, 뿌리 Lactuca triangulata 왕고들빼기, 산씀바귀, 상추 등과 함께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두메고들빼기는 잎이 삼각형이거나 삼각상 심장형으로 깃꼴로 깊은 결각이 생기기도 한다. 산씀바귀와 특히 유사하나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는 점으로 구별된다.      2011. 07. 07.  태백산           금대봉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Triangular Lettuce  ↘  국화목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거나 삼각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으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다소 심장밑 모양이다. 잎은 얇은데, 앞면은 가는 털이 흩어져 나고 뒷면은 백색을 띤다. 잎자루는 잎몸과 길이가 비슷하고 .. 2012. 7. 30.
버들분취(Saussurea maximowiczii) 어린풀 버들분취는 산지 풀밭에서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에도 남아 있고 긴타원형으로 4~6쌍의 깃꼴로 깊게 갈라지며 잎자루는 길이 5~22㎝이다. 줄기잎은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잎자루도 짧아져 없어지며 밑은 줄기를 반쯤 감싼다 ↓ 태안 학암포 버들분취의 .. 2012. 7. 21.
두메고들빼기 줄기잎 천마산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는 1m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거나 삼각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으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다소 심장밑 모양이다. 잎은 얇은데, 앞면은 가는 털이 흩어져 나고 뒷면은 .. 2012. 7. 16.
뻐꾹채 Rhaponticum uniflorum 뻐꾸기가 우는 5월에 꽃이 핀다고 해서 뻐꾹채라고 하는데, 꽃봉오리에 붙은 비늘잎이 뻐꾸기 가슴털 색깔처럼 보인다고 해서 뻐꾹채라 부른다고도 한다. '멍구지'라 불리기도 한다. 엉겅퀴와 비슷해 보이지만, 엉겅퀴가 여러 개의 꽃이 피는 것과 달리 단 하나의 꽃이 달린다. 엉겅퀴의 잎에 발달한 날카로운 가시가 없는 점도 구별되는 특징이다.    ↓ 2012. 06. 02.  민둥산           뻐꾹채 뿌리잎      ● 뻐꾹채 Rhaponticum uniflorum | Uniflower swisscentaury  ↘  국화목 국화과 뻐꾹채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70cm이고 흰색 털로 덮여 있다. 가지가 없고 굵은 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간다. 원줄기는 꽃줄기 같고 줄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뿌리에서.. 2012. 7. 6.
쇠채 Scorzonera albicaulis 서울 대모산 ● 쇠채 Scorzonera albicaulis / 초롱꽃목 국화과 쇠채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23-10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속이 비고 세로로 홈줄이 있으며 거미줄털 또는 솜털이 점차 적어지고 단일하거나 윗부분에서 가지를 내며 전체에 유백색의 유즙이 있다. 뿌리는 육질의 원주상이고 겉이 암.. 2012. 6. 20.
뻐꾹채, 뻐꾸기 우는 계절에 피는 꽃 참으로 오랜만에 뻐꾹채를 만납니다. 도담삼봉에서 석문이 있는 능선길을 걷던 중입니다. 어린 시절을 보냈던 고향의 산과 들에서도 보지 못했던 뻐꾹채를 처음 본 것은 8년 전 돌아가신 큰이모님을 영영 떠나보내던 무덤가에서였습니다. 엉겅퀴와 닮았는데 가시가 없고 통통하고 긴 꽃대에 엉겅퀴보다 훨씬 큰 꽃이 딱 한 송이밖에 달리지 않는 것이 너무 신기해 한 동안 바라보았는데, 그것이 뻐꾹채라는 것을 안 것은 몇 년 뒤였습니다. 야생화에 관심을 가지게 된 뒤 많은 산과 들을 다녔지만 뻐국채를 만날 기회는 그리 많지 않았습니다. 전국의 산과 들, 볕 잘 드는 메마른 땅에서 자생한다고 하지만 흔하게 만날 수 있는 꽃은 아닙니다. 뻐꾹 뻐꾹 봄이 가네. 뻐꾸기 소리 잘 가란 인사 복사꽃이 떨어지네. 뻐꾹 뻐꾹 여름이 .. 2012. 6. 15.
물솜방망이 Tephroseris pseudosonchus 국화과 솜방망이속 여러해살이풀로 한라산, 지리산 등 높은 산지 습지 부근에 자생한다. 솜방망이와 닮았지만 꽃차례가 가지런한 솜방망이와는 달리 산방상으로 흩어지는 점이 다르고 키도 솜방망이에 비해 훨씬 크다. 남부 지방 고산지대 골짜기나 습지에 자라고 잎과 줄기에 솜털 같은 흰털이 밀생하므로 물솜방망이라 한다.     2012. 05. 19.  소백산         ● 물솜방망이 Tephroseris pseudosonchus  ↘  국화목 국화과 솜방망이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없으며 전체에 거미줄 같은 털이 덮이고 높이가 55∼65cm이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줄기 밑에 달린 잎과 함께 줄 모양의 주걱형 또는 바소꼴이며 밑 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의 날개가 되고 양면에 거미줄 같은 털이 .. 2012. 6. 6.
병풍쌈 Parasenecio firmus 병풍쌈은 국화과 박쥐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태백산과 가리왕산 등 강원도와 경북 등지의 깊은 산속에 자라지만 자생지가 제한되어 있고 개체수가 많지 않다. ● 병풍쌈 Parasenecio firmus / 초롱꽃목 국화과 박쥐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1~2m이다. 줄기는 종선이 있다. 전주가 장대하.. 2012. 5. 14.
참나무 숲속에서 자라는 북분취 Saussurea mongolica 북분취는 주로 북부지방에 분포하므로 북분취라 부른다. 높이 1m에 달하고 줄기 아랫부분의 잎은 달걀 모양으로 밑부분이 깊게 패이거나 깃꼴이며 뿌리잎은 잎자루가 있는데 꽃이 필 때 마른다. 붉은보라색으로 꽃이 피며 총포는 5줄로 배열되고 외편이 장타원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한 .. 2011. 12. 13.
조밥나물(Hieracium umbellatum) 민둥산에서 만난 조밥나물. 우리나라 산과 들에서 흔히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30~100cm이고, 잎은 바소꼴로 약간 두껍고 거칠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은 가을에 가지 끝에 샛노란 꽃잎이 민들레꽃처럼 화려하게 펼쳐지며 핀다. 2011. 12. 13.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고려엉겅퀴는 엉겅퀴의 일종으로 전국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구멍이·도깨비엉겅퀴·고려가시나물·곤드레나물라고도 한다. 어린 잎과 줄기를 곤드레나물이라 하여 산채로 식용하는데, 다른 산채들이 주로 봄철에 잎이나 줄기가 연할 때 채취하여 식용하는 반면 곤드레.. 2011. 12. 13.
당분취 Saussurea tanakae 당분취는 제주도, 금강산, 오대산 등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으로 줄기에 넓은 날개를 단 모습이 뚜렷한 특징이다. 100cm 까지 자라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며 곧게 자란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밑부분의 줄기잎은 잎자루는 길고 윗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져 없어진다. 잎몸.. 2011. 12. 13.
북분취 Saussurea mongolica 민둥산에서 만난 북분취. 북부지방에 분포하는 분취이므로 북분취라한다. 종소명 '몽골리카'도 몽골이 분포지임을 나타낸다. 높이 1m에 달하고 밑 부분의 잎은 달걀 모양으로 깊게 패이거나 깃꼴이며 뿌리잎은 꽃이 필 때 마른다. 꽃은 지름 1cm 정도로서 붉은보라색이며, 총포는 5줄로 배.. 20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