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3580

가시여뀌 Persicaria fauriei 산지 응달에서 자라는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이며, 줄기에 가지를 많이 치는데 가지 윗부분에는 붉은 샘털이 빽빽이 난다. 대암산 ● 가시여뀌 Persicaria fauriei / 마디풀과의 한해살이 높이는 1.5 m 정도이고 가지를 많이 치며, 가지 윗부분에는 액을 분비하는 붉은 선모가 빽빽이 난다. 잎은.. 2012. 10. 14.
강활 Angelica reflexa 대암산에서 만난 산형과의 풀.  총포 조각이 보이지 않고 줄 모양의 소총포 조각은 여러 개가 보인다. 총포조각이 줄 모양으로 5개가 있고 소총포가 없다는 궁궁이와는 다른 모습이다. (궁궁이의 포편에 대하여 국생정에서는 총포는 선형으로 대개 5개라 하고 소총포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는데, 두산백과에서는 소총포가 없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식물지'에서는 궁궁이(拐芹)의 총포편은 좁은바소꼴로 1~3개이나 없기도 하며 소포편은 7~10개로 좁은 선형(总苞片1-3 或无,狭披针形,有缘毛;小苞片7-10,狭线形)으로 기록하고 있어 큰 차이를 보인다.)  소총포 조각이 있는 것으로는 강활과 왜천궁이 있는데, 강활은 바소꼴의 총포가 1~2개 있고 소총포가 6개 있으며 왜천궁은 총포가 없고 줄 모양의 소총포는 여러 .. 2012. 10. 14.
물양지꽃 Potentilla cryptotaeniae 물양지꽃은 깊은 산 속의 냇가에서 자라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대개 잎끝이 뾰족한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아래에서 보듯 어린잎은 둥근 모습을 유지한다. ↓ 대암산 ● 물양지꽃 Potentilla cryptotaeniae /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전체에 털이 있고 높이가 30∼100cm이다. 뿌리에.. 2012. 10. 14.
조밥나물 Hieracium umbellatum 대암산 ● 조밥나물 Hieracium umbellatum | Narrow-leaved hawkweed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30∼100cm이다. 자르면 흰 즙액이 나오고 위에서 가지가 약간 갈라지며 줄기잎은 어긋나고 꽃이 필 때 밑부분의 잎이 마르며, 중앙에 달린 잎은 바소꼴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 2012. 10. 14.
쇠서나물 Picris hieracioides var. koreana 쇠서나물은 잎이 거센 털이 있어 소 혓바닥처럼 깔깔하여 '소의 혀'라는 뜻의 방언 '쇠서'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그러니까 '소혀나물'이라는 뜻으로 된 말이다. 다른 이름으로 모련채(毛蓮菜)라고 한다. 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 길가, 산비탈 풀밭에서 자란다. 억센 줄기로 강인하게 자라는.. 2012. 10. 14.
흰물봉선, 그리고 꼬마물봉선(?) 물봉선과 흰물봉선 흰물봉선 꽃의 크기가 작고 꽃의 통부가 갑자기 가늘어지며 거(꿀주머니)가 펼쳐진 듯한 이 물봉선, 꼬마물봉선(Impatiens violascens)으로 봐도 되지 않을까... 2012. 10. 13.
물꽈리아재비 Mimulus nepalensis 물꽈리아재비는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응달진 물가나 습지에서 무리 지어 자란다. 평북 이남에서 자라며·일본·타이완, 중국과 히말라야 등지에서 자란다. 중부 이북에 분포하는 애기물꽈리아재비(M. tenellus)는 줄기가 퍼져서 자라며 꽃자루는 잎보다 길이가 짧고 꽃받침은 길이 5mm쯤으로서 작은 점이 다르다. ↓ 울진 금강소나무숲길, 대광천 ● 물꽈리아재비 Mimulus nepalensis | monkey flower / 현삼목 현삼과 물꽈리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비스듬히 서고 털이 없으며 연약하고 네모지며 밑 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가 10∼30cm이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1.5∼4cm의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잎자루가 있으나 윗부분의 잎에는.. 2012. 10. 13.
누린내풀 Caryopteris divaricata 중부 이남에서 자라는 마편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고약한 냄새를 풍겨 노린재풀이라고도 한다. 향기는 역하지만 보랏빛 꽃잎은 매우 아름답다. 특히 꽃잎 속 암술과 수술이 꽃부리 밖으로 길게 뻗어 나와 활처럼 휘어져 있는 모습이 나비의 더듬이 같아서 꽃송이가 보랏빛 나비가 하늘.. 2012. 10. 13.
쇠털이슬 Circaea cordata 쇠털이슬은 바늘꽃과 털이슬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숲그늘에서 자란다. 털이슬과 말털이슬에 비해 잎자루가 길고 잎의 아래쪽이 심장형으로 전체에 잔털이 밀생하며 줄기가 푸르다. 금강소나무숲길 ● 쇠털이슬 Circaea cordata | Cordata enchanter’s nightshade ↘ 도금양목 바늘꽃과 털이슬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는데, 줄기는 높이 40∼50cm이며 잎과 더불어 잔 털이 있다. 가지가 없고 마디 사이의 밑부분이 약간 굵다. 털이슬에 비해 전체적으로 털이 많다. 잎은 마주달리고 달걀 모양 심장형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끝이 날카롭다. 잎자루에는 길고 짧은 퍼진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며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 2012. 10. 13.
금강소나무숲길의 애기며느리밥풀 Melampyrum setaceum 금강소나무숲길에서 만난 며느리밥풀은 애기며느리밥풀과 새며느리밥풀인지 잠시 혼동되었다. 아직 본격적으로 꽃을 피우기 전의 모습이어서 특징이 잘 드러나지 않는데, 애기며느리밥풀로 보기엔 잎이 벼과의 풀처럼 길어 새며느리밥풀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보통 애기며느리밥풀은 잎의 길이가 2~3cm인데 새며느리밥풀은 10cm 안팎이니까... 하지만 꽃을 피운 녀석이 있어 살펴보니 포가 잎처럼 길고 녹색인 것이 애기며느리밥풀의 특징 그대로이다. (새며느리밥풀의 포는 붉고 달걀형이다.) 보통의 애기며느리밥풀에 비해 잎이 훨씬 긴 이 며느리밥풀은 아마도 예전에 큰애기며느리밥풀로 불렸던 종이지 싶다. ● 애기며느리밥풀 Melampyrum setaceum | Lanceolate-leaf cow-wheat ↘ 현삼과 꽃.. 2012. 10. 13.
개잠자리난초 Habenaria cruciformis 개잠자리난초는 난초과 방울난초속으로 중부 이남의 산지 습지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종이다. 옆꽃잎이 옆으로 활짝 펼쳐져 날아가는 잠자리 모양인 잠자리난초와 달리 옆꽃잎이 뒤로 완전히 젖혀져 있어 마치 새끼오리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 점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잠자리난초보다 키가 크고 꽃도 풍성하게 달린다. ↓ 울진 ● 개잠자리난초 Habenaria cruciformis | Cruciform habenaria ↘ 난초과 해오라비난초속의 여러해살이풀 키는 약 70㎝ 내외이고, 잎은 길이 5~7㎝, 폭 0.5㎝ 가량이며 뿌리에서 발달한 줄기를 따라 올라오고 뾰족하다. 8월에 흰 꽃이 총상꽃차례로 피는데, 꽃의 길이는 약 1㎝이다. 위쪽의 꽃받침조각은 서고, 양쪽 옆의 것은 달걀 모양이며 퍼진다. 가운데 꽃잎.. 2012. 10. 8.
땅귀개 Utricularia bifida 계곡에서 대군락을 이룬 땅귀개를 만난다. 멀쩡하던 귓속이 갑자기 간지러워진다. 땅귀개는 통발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0㎝ 정도로 가늘고 길게 뻗은 줄기에 성냥알처럼 둥근 꽃받침이 달려 있는 모습이 귀이개와 닮았다. 그리고 성냥에 붙은 불꽃인 듯 노란색 꽃이 피었다. 물 속 미생물을 잡아 먹는 식충식물로 벌레 주머니를 가지고 있으며, 습지가 줄어들면서 취약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자주색 꽃을 피우는 비슷한 종으로 거가 앞으로 향하는 이삭귀개와 거가 아래로 처지는 자주땅귀개가 있다. 울진 ● 땅귀개 Utricularia bifida | Bifid bladderwort ↘ 통화식물목 통발과 통발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0cm 내외이다. 실같이 가는 흰색의 땅속줄기가 땅 속을 기면서 .. 2012. 10. 8.
개잠자리난초 Habenaria cruciformis 개잠자리난초는 중부 이남의 산지 습지에서 자라는 해오라비난초속의 한국 특산종 난초이다. 옆꽃잎이 옆으로 활짝 펼쳐져 날아가는 잠자리 모양인 잠자리난초와 달리 옆꽃잎이 뒤로 완전히 젖혀져 있어 마치 새끼오리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 점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잠자리난초보다 키가 크고 꽃의 크기는 작지만 풍성하게 달린다. 울진 ● 개잠자리난초 Habenaria cruciformis | Cruciform habenaria ↘ 난초목 난초과 해오라비난초속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5~80cm 정도이다. 뿌리는 덩이뿌리에서 나며 가늘고 육질이다. 덩이뿌리는 난형 또는 구형이며 길이 1.5~2cm이다. 잎은 곧게 서는 줄기에 어긋나게 달리며, 선형이고, 길이 10~20cm, 너비 3~6mm 정도, 끝이 뾰족하다. .. 2012. 10. 7.
고마리 Persicaria thunbergii 전국의 하천이나 습지에 널리 분포하는 마디풀과 여뀌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물고기들이나 수중생물들의 서식처 역할도 톡톡히 하는 흔한 풀이지만 가을 바람이 불기 시작할 때 점점이 피어나는 꽃들을 들여다보면 그 아름다움에 절로 탄성을 터뜨리게 된다. 꽃잎처럼 보이는 것은 실은 꽃받침으로 여뀌속 풀들은 꽃잎이 없다. 울진 ● 고마리 Persicaria thunbergii | Ditch persicaria ↘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높이 약 1m이다. 줄기의 능선을 따라 가시가 나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나, 윗부분의 것에는 잎자루가 없다. 잎 모양은 서양 방패처럼 생겼으며 길이 4∼7cm, 나비 3∼7cm이다. 가운뎃잎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곁잎 갈래조.. 2012. 10. 7.
고추나물 Hypericum erectum 물레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고추나물이라는 이름은 꽃이 진 뒤 열매 모양이 고추를 연상시켜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잎과 곷에 검은 점이 흩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울진 ● 고추나물 Hypericum erectum / 물레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키는 20~60㎝이고, 줄기는 둥글고 가지가 갈라지.. 2012. 1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