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마산60

천마산의 복수초, 너도바람꽃, 꿩의바람꽃, 만주바람꽃, 앉은부채, 점현호색, 각시현호색 천마산 꽃 산행, 오늘은 참 특별한 날이다. 온라인을 통해 우연히 알게 된 H님과 오프라인에서 함께 꽃 산행을 하게 되었다. 그분이 연락을 주셨고 나도 반가워서 내 맘대로 선택한 산이 바로 천마산. 딱히 함께 할 만한 산이 생각나지 않아 그리 되었다. 먼저 예약되어 있다던 큰 산의 산.. 2016. 3. 29.
천마산의 여름 풀꽃나무들 늘 찾던 산을 또 찾는다. 가을 하늘이 저럴까 싶게 시리게 푸른데 새털구름이 드높게 두둥실 떠서 융단처럼 하늘을 장식한다. 꼬리조팝나무 신나무 열매는 지금이 가장 아름다운 모습 요 녀석은 뭘 하나...? 왕세줄나비를 처음 만난다. 앞날개 중실에 톱날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 .. 2015. 7. 30.
천마산의 선괴불주머니, 흰갈퀴, 종덩굴, 개모시풀, 하늘말나리, 털중나리, 꽃송이버섯, 돌양지꽃, 미역줄나무 천마산 입구. 숲 가장자리 양지바른 곳에 선괴불주머니가 벌써 가을을 알리는 꽃을 피우고 있다.       융단사초가 밭을 이룬 습지대,융단사초에 포위되어 흰갈퀴는 제대로 가지를 벌지 못한 채 흰 꽃을 피우고 있다.     ☞ 잘 자란 흰갈퀴가 꽃을 피운 모습 => http://blog.daum.net/kheenn/15071082    종덩굴이 열매처럼 딱딱하고 두꺼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고 하는 중이다.       개모시풀이 일제히 꽃차례를 올리고 있다.      벌써 암꽃차례가 성숙한 모습도 보인다.     풀거북꼬리도 긴 꽃차례를 올리고...     환하게 핀 어수리 흰 꽃     하늘말나리가 화려한 꽃을 피웠다.      마치 섬말나리처럼 층층이 잎이 돌려나기한 하늘말나리도 보인다.     오랜만.. 2015. 7. 21.
5월 마지막날, 천마산 풀꽃나무 산책 세상에 벌써 여름을 알리는 싸리꽃이 피었나? 등산로 입구에 조록싸리가 피어 있어 마수걸이 샷을 누른 것이 초점이 벗어나... 버렸다. 고산지대에서 보이는 흰씀바귀가 피어 있으니 지나칠 수 있겠는가. 애기세줄나비가 오전햇살을 듬뿍 받으며 에너지 충전 중! 국수나무 꽃잎이 와인처럼 붉은빛이 감돌아 눈길을 끈다. 수꽃이삭을 여럿 다는 것이 특징인 융단사초는 암꽃이삭이 성숙하면서 거의 사라져 버린 모습이다. 융단사초밭 속에서 흰갈퀴(꽃갈퀴)가 융단사초에 기대에 자라나 꽃봉오리를 달고 있다. 7월 들어야 꽃을 피우는데 올해는 유난히 무더워 두 주쯤 지나면 꽃을 피울 듯... (※ 흰갈퀴 꽃 => http://blog.daum.net/kheenn/15071082) 산골무꽃가 꽃을 피우고 있는 걸 발견하고 빠른 계절.. 2015. 6. 3.
천마산의 덜꿩나무, 윤판나물, 당개지치, 병꽃나무, 민눈양지꽃, 큰앵초, 는쟁이냉이, 시닥나무 계절이 하루가 다르게 가파르게 뜨거워진다. 이제 겨우 5월에 들어섰는데 25도를 넘어 28도에 육박하는 날씨, 여름이 성큼 다가선 듯 후텁지근하다. 제일 먼저 만난 꽃은 덜꿩나무 입구를 지나 습지에는 지난해와 같은 자리에 앵초 꽃이 피어 있다. 계곡을 오르는데 다람쥐 한 마리가 나타.. 2015. 5. 5.
풀꽃들의 천국, 천마산의 봄꽃들 다시 천마산을 찾았습니다. 좀 멀리로 떠날까 이곳 저곳 찾아보다 감기 기운도 있는 것 같아 편하게 가까운 곳으로, 바람이나 쐬고 오자는 심정으로 3주 전에 갔던 곳을 다시 찾았습니다. 직행버스가 30분만에 실어다 주니 여러 모로 편한 곳입니다.  3주만에 찾은 산은 입구부터 봄기운이 가득합니다.  진달래 등성이 숲속을 붉게 물들이고 골짜기의 버들은 가지마다 가득 노란 꽃송이들을 달았습니다.  버들    물이 졸졸거리며 흘러내리는 계곡 언덕에는 점현호색 푸른 꽃들이 가득 피었습니다.   점현호색    길가에는 서울제비꽃들이 점점이 피었고, 임도 절개지에서는 알록제비꽃도 피었습니다.  알록제비꽃    잣나무쉼터로 오르는 급한 등산로 주변 곳곳에는 태백제비꽃, 민둥뫼제비꽃, 잔털제비꽃, 털제비꽃 등 온갖 제비.. 2015. 4. 13.
각시현호색 Corydalis misandra 하늘색 꽃이 하늘하늘, 각시처럼 예쁜 꽃을 달고 있는 각시현호색! 2개의 잎에서 세 개의 작은 잎으로 갈라지는데, 타원의 작은 잎 가장자리는 붉은 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경기도와 강원도 등 중부지역에 지역에 자생한다. ※ 각시현호색 Corydalis misandra / 현호색과의 여러해살이풀 각시현.. 2015. 3. 24.
점현호색 Corydalis maculata 갈퀴 모양으로 갈라진 잎에 흰 무늬점이 점점이 박혀 있어 이름도 점현호색이다. 천마산 등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의 현호색으로 계곡 주변의 물빠짐이 좋은 반그늘 혹은 양지에서 잘 자란다. 천마산 ● 점현호색 Corydalis maculata / 현호색과의 여러해살이풀 키는 8~25.. 2015. 3. 24.
만주바람꽃 Isopyrum manshuricum 중부 이북에 자생하는 미나리아재비과 만주바람꽃속의 여러해살이풀, 만주바람꽃! 자생지와 개체수가 매우 적은 북방계 식물로 원뿌리에서 많은 가지뿌리가 나오며 보리알같은 덩이뿌리가 달린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자라고 끝에서 잎과 줄기가 자란다. 아직도 싸늘한 기운이 느껴지는 이른 봄, 건너편에 쌓인 눈을 바라보며 골짜기 볕 잘 드는 계곡 바위 틈에서 꽃을 피운다. 2015. 03. 21. 천마산 ● 만주바람꽃 Isopyrum manshuricum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키는 15~20㎝이고, 잎은 한 잎에서 3갈래로 갈라지고 다시 잎은 2~3개로 갈라진다. 뿌리부분은 마치 고구마 줄기처럼 많은 괴근이 달려 있다. 어린 싹이 올라올 때는 마치 개구리 발톱과 같은 모양으로 올라온다... 2015. 3. 24.
천마산 복수초, 너도바람꽃, 만주바람꽃, 꿩의바람꽃, 금괭이눈, 산괭이눈, 개감수, 각시현호색, 점현호색, 큰괭이밥 참으로 오랜만에 야생화를 찾아 천마산을 찾는다. 차가운 영하의 날씨가 계속되다가 사흘 전부터 갑자기 20도까지 오르는 날씨, 꽁꽁 얼어붙어 있었을 골짜기의 생명들은 화들짝 놀라 부산을 떨고 있을 것이다. 황사와 미세먼지가 짙어 비깥활동이 꺼려지는 날씨였지만 집을 나섰다. 김.. 2015. 3. 22.
천마산의 민눈양지꽃,낚시사초,는쟁이냉이,큰구슬봉이,큰앵초,금강제비꽃,시닥나무,홀아비꽃대 5월 초순 천마산에서 만난 꽃들... 여름이 성큼 다가온 듯 녹음이 짙어진 숲은 어둡고 벌써 숲속엔 봄꽃들이 많이 사라져 버린 모습이다. 졸방제비꽃 삿갓나물 나도개감채 만주바람꽃 열매 민눈양지꽃 낚시사초 미나리냉이 는쟁이냉이 큰구슬봉이 피나물 큰앵초 금강제비꽃 처녀치마 시.. 2014. 5. 11.
천마산의 점현호색, 큰괭이밥, 처녀치마, 올괴불나무, 꿩의바람꽃, 복수초, 얼레지 천마산. 계곡 입구에서는 언제나 여러 가지 제비꽃을 만나게 된다. 임도에 흔하게 피어 있는 냥 제비꽃이나 서울제비꽃 등은 그냥 지나치고... 분홍 빛이 감도는 태백제비꽃이 참 예쁘다. 민둥뫼제비꽃 잔털제비꽃 고깔제비꽃 둥근털제비꽃은 그냥 지나친다. 큰괭이밥 꽃이 제법 많이 피.. 2014. 4. 24.
천마산의 애기괭이눈, 금괭이눈, 만주바람꽃, 꿩의바람꽃, 큰괭이밥, 각시현호색,노루귀 애기괭이눈 만주바람꽃 각시현호색 만주바람꽃 금괭이눈 큰괭이밥 흰꽃을 피운 둥근털제비꽃 피나물 새싹 꽃망울을 단 는쟁이냉이 꽃망울을 단 중의무릇 아직도 고드름 달린 겨울골짜기 새싹인 듯 꽃을 피우고 있는 큰괭이밥 양지에서 꽃과 잎이 함께 자라난 앉은부채 따뜻한 골짜기 .. 2014. 3. 28.
천마산의 너도바람꽃, 복수초, 꿩의바람꽃, 둥근털제비꽃, 생강나무꽃 쌀쌀한 겨울 기운이 그대로 남아 있는 천마산 골짜기에 봄소식으로 가득합니다. 생강나무는 알싸한 향을 풍기며 핀 노란 꽃을 피우고 있고 까실쑥부쟁이는 새싹을 내밀었습니다. 산누에나방 고치는 흔적만 남았습니다. 그 골짜기로 들어서자마자 기대했던 꽃을 만납니다. 너도바람꽃! .. 2014. 3. 28.
천마산의 개다래, 큰개별꽃 뿌리, 산꿩의다리, 호골무꽃, 도깨비가지, 가시오갈피 바람이라도 쐴 겸 천마산을 찾았다. 산 입구 등산로 주변 숲에는 남양주 예술가들이 설치미술전을 벌이고 있다. 날씨가 얼마나 가문지 수량이 많았던 호평동 쪽 골짜기의 물은 흐름이 멈추어진 모습이다. 숲그늘의 새콩도 마른 땅에서 아직 이 모양으로 자라지 못하고 있다. 노루오줌이 .. 2012.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