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합과347

금강애기나리 Streptopus ovalis 높은 산 능선이 숲에서 줄기 끝에 피는 연한 황백색의 꽃잎은 자주색의 반점이 있어 더욱 신비롭다. 6갈래의 화피 조각이 길게 뾰족한데 뒤로 젖혀지는 모습이 독특하다. 6개의 수술에는 노란 꽃밥이 달려 있고, 가 가운데 3갈래로 갈라진 암술이 자리잡고 있다. 꽃의 안쪽과 씨방이 녹색.. 2014. 5. 17.
처녀치마 Heloniopsis orientalis 아직은 3월, 고요에 잠긴 능선 주변의 숲속에서 처녀치마가 꽃을 피웠다. 천마산 잎이 땅 위에 사방으로 둥글게 퍼져 있는 모습이 처녀들이 즐겨 입던 치마를 연상시켜서 처녀치마라 부른다고 한다. 하지만 알고보면 안타깝게도 우리 이름일 것 같은 이 이름은 일본어를 번역한 것이라고 .. 2014. 4. 24.
부추속(Allium) 종 분류, 검색표 ※ 부추속 Allium 분류 : 3아속 9절 ① 달래아속 => 달래절(달래) ② 산달래아속 => 산달래절(산달래) ③ 두메부추아속 => 산마늘절(산마늘, 울릉산마늘), 부추절(부추), 노랑부추절(노랑부추), 돌부추절(돌부추, 가는산부추), 두메부추절(두메부추), 산부추절(세모부추, 선부추, 강부추, 참산부추, 한라부추, 산부추, 세모산부추, 둥근산부추), 실부추절(실부추) 달래 Allium monanthum Maxim. 산달래 Allium macrostemon Bunge 산부추 Allium thunbergii G.Don 둥근산부추 Allium thunbergii var. teretifolium H.J.Choi & B.U.Oh 세모산부추 Allium thunbergii var. deltoides (S.O... 2014. 2. 6.
히아신스 꽃, 히아신스 이야기 히아신스는 백합과의 알뿌리 식물로 히아신스는 지중해 연안, 발칸 반도와 터키 등이 원산지이며 16세기 초에 유럽에 전해진 원예식물이다. 추위에 강하여 가을에 구근을 심는다. 우리 나라는 겨울철이 너무 춥고 봄이 짧아 알뿌리 생산이 어렵기 때문에 네덜란드에서 알뿌리를 수입해 .. 2013. 4. 5.
흑산도비비추 Hosta yingeri 흑산도비비추는 전남 흑산도와 홍도 등지에 자생하는 백합과의 다년초이다. 한 방향으로 피는 보통의 비비추와는 달리 꽃이 사방으로 달리는 점이 눈에 띈다. ● 흑산도비비추 Hosta yingeri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30cm 정도로 자라며 잎이 뿌리에서 모여난다. 잎은 타원형이고 두.. 2012. 10. 18.
석산(꽃무릇) Lycoris radiata 꽃과 잎이 자라고 피는 계절이 다른 점은 상사화와 같지만 강렬한 붉은 꽃이나 불꽃 같은 꽃잎의 형태가 특징적이다. 선운산나 불갑사 등 주로 남부 지방의 사찰 근처에 골짜기에 주로 분포하고, 가정에서도 흔히 가꾸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이 식물에서 추출한 녹말로 불경을 제본하고 .. 2012. 10. 17.
중나리 Lilium leichtlinii var. maximowiczii 한여름 소백산에서 만난 중나리. 야산에서 만나는 털중나리와 아주 닮은 모습이면서도 키가 크고 털중나리와 달리 꽃잎에 새겨진 점이 아주 또렷하고 선명하여 꽃이 더욱 아름다워 보인다. 훤칠한 몸매에 액세서리로 더욱 돋보이는 여인의 얼굴이라고나 할까. 털중나리에 비해 한 달 이상 늦게 꽃이 피었다. ● 중나리 Lilium leichtlinii var. maximowiczii ↘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의 여러해살이풀 비늘줄기는 둥글고 지름이 3∼4cm이며 뿌리가 내린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다가 땅 위로 나오고 새 비늘줄기를 만든다. 땅 위의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1∼2m이며 어릴 때는 흰색 솜털이 있고 밑 부분에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다닥다닥 달리며 줄 모양이고 길이가 8∼15cm, 폭.. 2012. 9. 25.
말나리 Lilium distichum 말나리는 우리나라 각처의 높은 산지에서 자라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이 하늘을 향해 피는 하늘말나리와는 달리 말나리는 꽃이 옆으로 향해 핀다. 하늘말나리에 비해서는 비교적 고산지대에서 분포한다. 반그늘지고 비옥한 활엽수 아래에서 자란다. ※ 하늘말나리 => http://b.. 2012. 9. 25.
푸른여로 Veratrum versicolor for. viride 소백산 정상의 푸른여로. 꽃의 중심부에 자색 무늬가 자리잡고 있는 파란여로와는 달리 꽃 전체가 녹색이다. ● 푸른여로 Veratrum versicolor for. viride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m 정도 자란다. 원줄기 밑부분은 잎집이 썩어서 남은 섬유로 덮여 있다. 뿌리줄기는 짧으며 밑부분에 굵은 .. 2012. 9. 17.
말나리 Lilium distichum 말나리는 우리나라 각처의 높은 산지에서 자라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이 하늘을 향해 피는 하늘말나리와는 달리 말나리는 꽃이 옆으로 향해 피고 비늘줄기에 둥근 마디가 있다. 하늘말나리에 비해서는 비교적 고산지대에서 분포한다. 반그늘지고 비옥한 활엽수 아래에서 자란다. 한여름에 화려한 주황색으로 피는 꽃이 아름답다. ↓ 소백산 ● 말나리 Lilium distichum | Manchurian turk's-cap Lily ↘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의 구근식물 높이 약 80cm이다. 지름 2∼2.5cm의 둥근 비늘줄기에서 원줄기가 1개씩 나와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는 것과 돌려나는 것이 함께 돋는다. 줄기 중간의 잎은 돌려나며 4∼9개씩 달리지만 10∼20개 달리는 것도 있으며 길이 약 15cm, 나비 2.. 2012. 9. 17.
천문동 Asparagus cochinchinensis 거금도에서 천문동을 만난다.  줄기에 뾰족한 가시가 제법 촘촘히 나 있는 것(가시는 잎이 변한 것이다.)이 틀림없이 천문동이다. 다만 아쉬운 것은 열매가 달리지 않은 것으로 보아 수그루라는 것. 주변에서 열매가 달린 암그루가 있나 살펴봤지만 보이지 않는다.  천문동은 덩굴성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거의 곧게 서는 모습이었다.    ↓ 2012.  07. 26.  거금도           ● 천문동 Asparagus cochinchinensis  /  백합목 백합과 비짜루속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원줄기는 길이 1-2m로서 덩굴성이고 길게 자라며 가늘고 평활하다. 잔가지는 가는 잎모양으로 1-3개씩 모여나기하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여 가시같고 길이 1-2cm, 폭 1-1.2mm로서 활처럼 굽으며 윤채가 .. 2012. 8. 29.
백운산원추리 Hemerocallis hakuunensis 1934년 백운산에서 발견하여 일본인 식물학자 나까이가 북여놓은 학명에 따라 우리 민족이 가장 흔하게 만나오던 원추리 이름이 '백운산원추리'가 되었다. 게다가 그 '백운산'이라는 이름조차 일본식 발음을 따 'hakuunensis'라는 희한한 종소명으로 붙게 되었다. 백운산원추리의 형태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다년생 초본으로 포복하는 지하경은 없으며 뿌리 끝부분이 많이 부풀어 있다. 화서는 1~3회 분지한다. 꽃 색은 주황색이고 6월 중순에서 7월 말까지 꽃이 피며 개화 시간은 아침부터 오후 늦게까지이다. 열매는 삭과이다.      2012. 07. 14.  남한산성          ● 백운산원추리 Hemerocallis hakuunensis  ↘  백합목 백합과 원추리속 여러해살이풀 땅속으로 뻗는 뿌리.. 2012. 8. 4.
하늘말나리 Lilium tsingtauense 수레처럼 줄기를 한 바퀴 돌며 잎이 나는 말나리, 이 중 꽃이 하늘을 해 피는 것을 하늘말나리라 한다. 자생지에 따라 초장이 짧고 전체적으로 왜소한 왜성종도 나타난다. 종소명 tsingtauense는 중국에서는 산동성(청도)과 안휘성에 자생하여 중국명이 '청도백합(青岛百合)'인 것과 관련된 것이다. 영어 이름도 Tsingtao Lily)인데, Korean wheel lily라고도 한다. 하늘말나리 중에서 변종으로 화피에 자주색 반점이 없는 지리산하늘말나리(var. carneum)라는 것도 있고 짙은 노란색 꽃이 피는 누른하늘말나리(var. flavum)도 있다. ↓ 남한산성 ● 하늘말나리 Lilium tsingtauense | twilight lily ↘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 2012. 8. 4.
하늘말나리 Lilium tsingtauense '우산말나리'라고도 하는 하늘말나리는 말나리 중에서 꽃이 하늘을 향해 피는 것을 가리킨다. 한여름 따가운 햇살이 내리는 하늘을 향해 태양을 닮은 붉은 꽃을 피운다.  종소명 tsingtauense는 중국에서는 산동성(청도)과 안휘성에 자생하여 중국명이 '청도백합(青岛百合)'인 것과 관련된 것이다. 영어 이름도 Tsingtao Lily인데 Korean wheel lily라고도 한다. 하늘말나리 중에서 변종으로 화피에 자주색 반점이 없는 지리산하늘말나리(var. carneum)라는 것도 있고  짙은 노란색 꽃이 피는 누른하늘말나리(var. flavum)도 있다.    ↓ 2011. 07. 08.  태백 검룡소 주변 계곡                ● 하늘말나리 Lilium tsingtauense | twil.. 2012. 8. 2.
하늘나리 Lilium concolor 꽃이 하늘을 향해 피는 점에서 날개하늘나리와 비슷하나 줄기에 날개가 없으며 화피편이 짧고 암술대가 씨방보다 길지 않은 점에서 구분된다.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에 자라며, 일본, 중국 동북 지방, 러시아 극동 지방 등에 분포한다.     2011. 07. 08.  금대봉           ● 하늘나리 Lilium concolor  ↘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의 여러해살이풀비늘줄기는 달걀 모양 구형이며 흰색이고 다른 나리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줄기는 곧게 30∼80cm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줄 모양이며 길이 3∼7cm, 나비 3∼6mm로 비스듬히 선다. 잎자루가 없다. 꽃은 6∼7월에 피고 윗부분에 1∼5개가 위를 향하여 달리는데 지름 6∼7cm이며 붉은색 또는 노란빛을 띤 붉은색이다. .. 2012.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