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과347 하늘말나리 Lilium tsingtauense 말나리와 달리 꽃이 하늘을 향해 피어 있는 나리, 하늘나리와는 달리 잎이 돌려나기 하고 있는 나리이다. 백합과 백합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말나리가 고산지에 자라는 데 비해 하늘말나리는 비교적 낮은 산지에서 자란다. 중국에도 분포한다. 2011. 07. 20. 천마산 남한산성 ● 하늘말나리 Lilium tsingtauense ↘ 백합강 백합과 백합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곧게 서며 거의 털이 없고 높이 1m 정도이다. 비늘줄기는 지름 2∼3cm이고 달걀 모양 구형이며, 비늘조각에 환절(環節)이 없다. 잎은 돌려나거나 어긋나고, 돌려난 잎은 6∼12개로 바소꼴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의 타원형이며, 1개씩 어긋난 잎은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꽃은 7∼8월에 노란빛을 띤.. 2011. 7. 29. 죽대 Polygonatum lasianthum var. coreanum 죽대 꽃이 피기에는 아직 이른 시기이어선지 꽃봉오리가 달려 있는 상태... 덕유산 ● 죽대 Polygonatum lasianthum var. coreanum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육질이고 옆으로 자라며 마디가 있으나 잔뿌리가 더욱 많다. 원대는 곧게 자라다가 끝이 휘어서 옆으로 자라고 높이 30∼60cm이며 .. 2011. 7. 1. 숙은처녀치마 Heloniopsis tubiflora, 씨방 백합과 처녀치마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중부 이남 높은 산의 물빠짐이 좋은 경사지 모래흙 지대에서 자란다. 꽃이 지면을 향해 고개를 숙이고 핀다 하여 숙은처녀치마라 한다. 덕유산 ● 숙은처녀치마 Heloniopsis tubiflora ↘ 백합목 백합과 처녀치마속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줄기는 0.5~2.5cm이고, 마디 사이의 간격이 좁다. 아래쪽에서 자라는 잎은 땅 위에 붙어서 방사상으로 퍼져 있고 길이 8~20cm이다. 잎몸의 끝부분은 뾰족하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푸른색을 띤 보라색 또는 보라색이다. 꽃잎은 6장으로 선형이고 끝부분이 뾰족하다. 2011. 6. 30. 자주솜대 Smilacina bicolor, 풀솜대 Smilacina japonica 자주솜대는 한국 특산의 백합과 여러해살이풀이다. 1990년 이후 지리산 반야봉 정상에서 처음 발견되면서 그 존재가 알려졌다. 20여 곳 이상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도 비교적 풍부하나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처음에 꽃이 필 때는 녹색이나 점차로 자줏빛이 도는데 이 점이 풀솜대와 다른 특징이다. 그리고 전초에 털이 거의 없는 점도 풀솜대와 다른 또 하나의 특징이다. ↓ 덕유산 ● 자주솜대 Smilacina bicolor | Purple-flower solomon's seal ↘ 백합목 백합과 솜대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30-45cm로서 줄기 밑부분에서 2-3개의 초상엽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싸며 끝에 5-7개의 잎이 2줄로 달린다. 잎은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6~11㎝,.. 2011. 6. 30. 금강애기나리 Streptopus ovalis 금강애기나리는 애기나리에 비하여 화피 끝이 뾰족하며, 뒤로 젖혀지고, 꽃잎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잎과 줄기에 가시 돌기가 나타나고, 잎의 밑동은 줄기를 약간 감싼다. 열매는 약간 세모지고, 붉은색으로 익는다. ↓ 덕유산 ● Streptopus ovalis | Geumgang twisted-stalk ↘ 백합목 백합과 죽대아재비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하나가 곧게 서고, 아래쪽은 막질의 엽초 모양으로 된 잎에 싸인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고, 긴 달걀형으로 끝이 매우 뾰족하며, 밑은 심형으로 줄기를 감싸며 길이 2~5cm이다. 꽃은 4~6월에 연한 황백색으로 피고 자주색의 반점이 있으며 줄기 끝에 1~2개가 산형으로 달리고 소화경은 2cm 내외이다. 화피편은 6개이고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뒤로 젖.. 2011. 6. 30. 산마늘(Allium microdictyon) 산마늘(Allium microdictyon)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강원도 높은 산지에 자라나 남획되어 개체수가 매우 적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울릉산마늘(Allium ochotense)과는 분류학적으로 구별된다. 꽃은 5~7월에 피며 높이 40~70cm의 꽃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달걀모양으로 2.. 2011. 6. 7. 은방울꽃 Convallaria keiskei ↓↓↓↓ 홍릉수목원 ● 은방울꽃 Convallaria keiskei 높이는 25∼35cm이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새순이 나오고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밑부분에서는 칼집 모양의 잎이 있고 그 가운데에서 2개의 잎이 나와 마주 감싼다. 잎몸은 긴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 타.. 2011. 6. 7. 흰얼레지(Erythronium japonicum for. album) 씨앗이 땅에 떨어져 꽃으로 피어나기까지 6년을 기다려야 한다는 얼레지. 그 얼레지 꽃에서 흰 꽃을 만나기는 그리 쉽지 않다. 흰얼레지 꽃을 천마산에서 6년만에 만났다. 꽃은 4~5월에 백색으로 피고 화경 끝에 1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린다. 화피편은 6개이고 피침형으로 길이 4~5cm이며 강하게 뒤로 말.. 2011. 6. 1. 달래(Allium monanthum) 달래는 들달래, 쇠달래, 애기달래라고도 불리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알뿌리식물이다. 달래는 대개는 산지 초입 양지바른 계곡 주변 다소 습하고 서늘한 곳에서 무리를 이루어 자란다. 중부 이북 지역에서 자생하며 남부지역에서는 만나보기 어려운 작은 풀이다. 4월에 부추보다도 훨씬 .. 2011. 6. 1. 중의무릇, 연약한 줄기에 별처럼 빛나는 노란 꽃 불경스럽게도 이름이 왜 하필 '중의무릇'일까요? '중무릇'이라고도 부르는 중의무릇은 들판이 아니라 산골짜기 습한 땅에서 자라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들에서 자라는 무릇과 견준 이름일까요? 과연 볕 좋은 봄날, 스님들이 기거하는 절 주변 산골짜기에서 종종 볼 수 있는 꽃.. 2011. 6. 1. 나도개감채 Lloydia triflora 깊은 산골짜기 비슷하게 생긴 백합과의 두 풀꽃이 꽃을 피운다. 가느다란 잎과 줄기 끝에 여섯 장의 작은 꽃잎을 단 풀꽃은 하나가 노란 꽃을 피운다면 다른 하나는 흰 꽃을 피운다. 노란 꽃은 중의무릇이고 흰 꽃은 나도개감채이다. 다 같이 가는 꽃이지만 중의무릇은 드러누운 모습이 .. 2011. 6. 1. 천마산의 얼레지꽃들 2011. 5. 31. 처녀치마 Heloniopsis koreana 처녀치마는 백합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이 방석처럼 넓게 퍼지는 모습이 처녀들의 치마폭을 연상하게 하여 처녀치마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고산지역 습기 있는 부엽토에서 자라는 한국의 특산식물로 종소명이 'koreana'인데 일본에도 분포하고 있다. 꽃은 4월에 피기 시작하.. 2011. 5. 26. 층층갈고리둥굴레 어린풀 층층갈고리둥굴레는 기다란 잎이 돌려나고 잎끝이 갈고리처럼 살짝 안으로 굽는 것이 특징이다. 꽃자루가 짧아 줄기에 바짝 붙어 꽃이 달리는 층층둥굴레와 달리 꽃자루가 길어서 아래를 향해 꽃자루가 늘어져 달리는 전이 또하나의 특징을 이룬다. 아직 갓 자라난 어린 개체라 이런 특징을 보려면 5.. 2011. 5. 1. 포도송이처럼 피는 꽃, 무스카리(Muscari) 무스카리는 백합과의 알뿌리식물로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며 작은 비늘줄기를 지니고 있다. 잎이 없는 꽃줄기 끝에 파란색, 흰색, 또는 분홍색을 띠는 항아리처럼 생긴 꽃들이 빽빽하게 무리지어 핀다. 잎은 길고 가늘며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몇 종은 사향 비슷한 냄새를 풍기며, .. 2011. 5. 1. 이전 1 ··· 5 6 7 8 9 10 11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