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ussurea21

버들분취 Saussurea maximowiczii 산지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라는 취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이 필 때까지 4~6쌍으로 깊게 갈라진 깃꼴 모양의 긴 타원형의 커다란 뿌리잎과 밑부분 줄기잎이 특징적이다. 한라산 고지대 볕바른 풀밭에 분포하는 고유종으로 버들분취와는 식물체의 높이가 10~20cm로 작고, 줄기 기부에 붙는 잎의 잎몸이 길이 9~13cm로 작은 것을 '한라분취(var. triceps)'라고 하는데, 버들분취의 연속적 변이에 드는 생태형으로 밝혀져 이명 처리되었다. 해남 주작산 ● 버들분취 Saussurea maximowiczii | Maximowicz's saussurea ↘ 국화목 국화과 취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50-160cm에 달하고 곧게 서며 짧은 털과 선점이 있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 2017. 12. 6.
사창분취 Saussurea calcicola 강원도 이북 석회암지대 계곡과 초지에서 자란다. 잎이 유난히 크고 잎자루에 날개가 발달한 것이 특징인데, 강원도 화천 사창리에서 처음 발견된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석병산 ● 사창분취 Saussurea calcicola | Northern saussurea ↘ 초롱꽃목 국화과 취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1m에 달하며 줄이 약간 있고 거미줄같은 털과 더불어 털이 있으며 가지가 산방상으로 갈라진다. 근경은 목질이다. 근생엽은 개화시에 쓰러지며 밑부분의 잎은 엽병과 더불어 길이 27cm이다. 줄기잎은 심장형 둔두이고 길이 17cm, 폭 15cm로서 표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에는 많고 군데군데 벗겨지며 가장자리에 치아모양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1~12cm로서 길이 4mm 정도의 날개가 있다.. 2017. 10. 5.
은분취 Saussurea gracilis , 가야산은분취 은분취는 포편이 8-11줄로 배열되는데, 6줄로 배열되는 것을 가야산은분취Saussurea pseudogracilis라고 하여 구분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의해 가야산은분취는 은분취의 종 범위 내에 포함되는 변이형이며 은분취와 가야산은분취 사이에는 형질적으로 차이가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분취Saussurea seoulensis는 포편이 3줄로 배열되는 것으로 은분취와 뚜렷이 구별된다. 석병산 ● 은분취 Saussurea gracilis | Silvery-hair saussurea ↘ 초롱꽃목 국화과 취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10-30cm이고 날개가 없으며 처음에는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근생엽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고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길이 5~12cm의 엽병이 있다. 엽신은 타원상 3각형.. 2017. 10. 5.
당분취 Saussurea tanakae 당분취는 줄기에 날개가 달려 있어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분취류로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하지만 종소명은 '다나까'라는 일본 이름이 붙어 있으니,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꼬리겨우살이에도 '다나까'라는 종소명이 붙어 있는데, 이 인물들은 메이지 시대 박물학자인 다나카요시오(田中芳男, 1838~1915), 또는 나카노현 식물을 연구했다는 田中貢一을 가리키는 이름이라고 한다.) 총포는 난상 3각형의 포편이 단정하게 5~6줄로 배열되어 있고 그 끝에 자줏빛의 꽃이 불꽃처럼 아름답게 핀다. 석병산 ● 당분취 Saussurea tanakae | Tall-wooly saussurea ↘ 초롱꽃목 국화과 취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50-100cm이고 능선과 더불어 넓은 날개가 있다. 근경은 굵으며 다소.. 2017. 10. 2.
자병취 Saussurea chabyoungsanica 자병산에서 발견되어 이름을 얻은 자병취는 1997년 임형탁에 의해 신종으로 보고되었다. 주변 지역인 석병산과 만덕봉, 육백산, 덕항산, 덕산기 계곡과 석개재 등 석회암 지대에 분포하고 있다. 잎이 좁고 길며 꽃이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리지만 뭉쳐 핀 것처럼 보이며 포편 끝이 선형으로 수평으로 일어서 있다. 석병산 ● 자병취 Saussurea chabyoungsanica | Jabyeong saussurea ↘ 초롱꽃목 국화과 취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50~70cm이다. 줄기에 털이 빽빽이 나고, 잎몸에 갈색 털이 있다. 근생엽은 꽃이 피기 전에 마른다. 밑의 줄기잎은 긴 타원형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 또는 귓불 모양이며, 길이 12cm 정도, 너비 1.5~2cm, 가장자리는 둔한 톱니 모양.. 2017. 10. 2.
사창분취 Saussurea calcicola 강원도 이북 석회암지대 계곡과 초지에서 자란다. 잎이 유난히 크고 잎자루에 날개가 발달한 것이 특징인데, 강원도 화천 사창리에서 처음 발견된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석병산 ● 사창분취 Saussurea calcicola | Northern saussurea ↘ 초롱꽃목 국화과 취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1m에 달하며 줄이 약간 있고 거미줄같은 털과 더불어 털이 있으며 가지가 산방상으로 갈라진다. 근경은 목질이다. 근생엽은 개화시에 쓰러지며 밑부분의 잎은 엽병과 더불어 길이 27cm이다. 줄기잎은 심장형 둔두이고 길이 17cm, 폭 15cm로서 표면에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에는 많고 군데군데 벗겨지며 가장자리에 치아모양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1~12cm로서 길이 4mm 정도의 날개가 있다.. 2017. 10. 2.
서덜취 Saussurea grandifolia / 서덜취 7종 / 취나물속 자생종 '서덜'이나 '너덜'은 돌이 많은 곳을 뜻하는 말이어서 자생지 환경이 돌이 많은 곳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보이지만 서덜취는 실제로 부엽질이 많은 반그늘 토양에서 자란다. 석병산 포편이 7~10줄로 배열하고 끝이 길게 뾰족하며 흑색이고 젖혀지지 않는다. 젖혀지면 꼬리서덜취. ● 서덜취 Saussurea grandifolia ↘ 초롱꽃목 국화과 취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30-50cm이고 곧게 서며 윗부분에 갈색 털이 산재한다. 근생엽은 개화시에 없어지며 밑부분의 잎은 날개가 없고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짧아지며 엽병은 길이 5~12cm이다. 줄기잎은 달걀모양 또는 난상 3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절저이고 길이 10~15cm로서 양며넹 털이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에 약간 흰빛이 돌며 가.. 2017. 10. 2.
각시취 Saussurea pulchella 어린 풀 초가을 높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산등성이에 피는 자주색 꽃이 매우 아름다운 국화과 취나물속의 두해살이풀이다. 중국명으로는 '미화풍모국(美花風毛菊)'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아름다운 꽃을 가진 국화’라는 뜻이며, 잎에 털이 있어서 '참솜나물'이라고도 한다. 양지에서 흔히 자라며 배수가 잘되는 사질 양토에서 잘 자란다. 태백 ● 각시취 Saussurea pulchella | Maiden sawwort ↘ 초롱꽃목 국화과 취나물속 두해살이풀 높이 30-150cm이고 줄기는 곧추서며 세로로 줄이 있고 홍갈색을 띠며 짧은 털과 샘털이 있거나 거의 없으며 날개가 있거나 없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거나 없어지며 엽병이 길다. 줄기잎은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 2016. 7. 5.
가야산은분취 Saussurea pseudo-gracilis 꽃과 열매 설악산에서 만나는 은분취는 거의 가야산은분취로 보인다. 가야산은분취는 포편이 6줄로 8줄 이상인 은분취에 비해 적고 잎이 좁고 긴 특징이 있다. 하지만 최근 형질을 분석한 연구에서 다른 점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국가표준식물록록과 국생정에는 아직 은분취와 따로 등재되어 있다. 열매 ● 가야산은분취 Saussurea pseudo-gracilis ↘ 국화과 취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5~70cm이고 줄기에 흰색의 털이 있으며 곧 없어진다. 뿌리잎은 바소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잎의 앞면은 붉은색을 띤 녹색이고 뒷면은 흰색의 털이 있고 잎자루가 길며 꽃이 필 때까지 남아있다. 줄기잎은 바소 모양으로 잎자루가 없다. 꽃은 8~9월에 피며 산방화서로 줄기의 끝부분과 가지의 끝부분에 달린다. 총포는 종 모양으.. 2015. 10. 20.
태백취 Saussurea grandicapitula 아쉽게도 꽃철을 넘겨 만난 태백취~. 태백산맥 지대에서 발견된 종이라 하여 태백취로 명명되었으며 설악산 대청봉, 화악산 등 강원도 태백산맥 일대에 자생하는 종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등재되어 있지만 국생정에는 기재문이 등재되어 있지 않은 취나물속의 한국 특산종으로 2007년 이우철, 임형탁의 이라는 논문이 식물분류학회지37권 제4호에 발표됨으로써 공식화되었다. 학명은 Saussurea grandicapitula. 종소명 grandicapitula는 '큰 두상화를 가진'의 뜻을 담은 이름이다. 줄기 끝에 몇 송이씩 달리는 두상화의 총포 포편이 화축과는 수직으로 젖혀져 있고 전초에 거센 털이 많은 점이 특징이다. 설악산 ● 태백취 Saussurea grandicapitula ↘ 국화과 취나물속의 여러해살이.. 2015. 10. 20.
가야산은분취 Saussurea pseudo-gracilis = 분취 Saussurea gracilis 설악산 서북능선에서 만난 은분취는 총포가 8열 이상으로 배열하는 보통의 은분취와는 달리 6열로 배열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가야산은분취의 특성이다. 다소 긴 뿌리잎 모양도 가야산은분취의 특성에 가깝다. 하지만 가야산은분취는 2014년 식물분류학회지에 실린 '가야산은분취의 분류학적 재검토'라는 논문에 의해 은분취(Saussurea gracilis)와 형질이 다름없다는 것이 밝혀짐으로서 은분취에 통합될 것으로 보인다.    2015. 10. 04.  설악산         줄기잎은 바소 모양으로 잎자루가 없으며 꽃이삭의 잎은 줄 모양이다.         ● 가야산은분취 Saussurea pseudo-gracilis  ↘  국화과 분취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5~70cm이고 줄기에 흰색의 털이 있으며 곧 없.. 2015. 10. 20.
설악산의 가야산은분취 Saussurea pseudo-gracilis 설악산 마등령을 넘어 비선대로 가는 등산로 주변에서 만난 은분취. 은분취와 비슷한 듯하면서도 뭔가 다른 느낌이다. 살펴보니 뿌리잎이 좀더 크고 길어 보이며 총포가 공처럼 둥글고 포편이 6열 배열하고 있는데 이는 총포가 길쭉하고 포편이 보통 8열 이상으로 배열하는 은분취와 다르다. 이런 특성을 가진 종은 바로 가야산은분취인데, 가야산은분취가 설악산까지 분포하는 모양이다.  그런데 가야산은분취는 작년 4월 식물분류학회지에 실린 '가야산은분취의 분류학적 재검토'라는 논문에 의해 은분취(Saussurea gracilis)와 형질이 다름없다는 것을 밝혀냄으로서 앞으로 은분취에 통합될 것으로 보인다.    2015. 08. 22.  설악산               ● 가야산은분취 Saussurea pseudo-gr.. 2015. 9. 19.
솜분취 Saussurea eriophylla 잘못 단 이름표 때문에 홍릉수목원의 솜나물이 솜분취로 둔갑하여 인터넷을 장식한 적이 있다. 초보 시절 나 자신도 그걸 솜분취로 이름표를 달았다 이내 솜나물이라는 걸 눈치챘지만 한동안 솜분취의 실체가 밝혀지지 않아 궁금증을 자아냈다. 최근에야 솜분취의 실체가 밝혀져 제법 많은 사진들이 실리고 있다. 두메분취처럼 줄기에 골과 능선이 있고 개체당 두화가 1~3개로 적게 달리며 총포는 종형으로 포편이 7줄로 배열하는 한국 특산종으로 계룡산과 강원도 이북 건조한 풀밭에서 자란다.     2015. 08. 08.  함백산         뿌리잎 뒷면      ● 솜분취 Saussurea eriophylla | Woolly-leaf saussurea  ↘  초롱꽃목 국화과 취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15-75cm이며 .. 2015. 9. 8.
산각시취 Saussurea umbrosa, 두메분취 Saussurea alpicola 산각시취와 두메분취는 분취속(Saussurea)의 여러해살이풀로 북부지방 고산지대에 자란다. 두메분취가 줄기 끝에 꽃이 한 송이만 달리는 데 비해 산각시취는 여러 송이의 꽃이 달리며, 두메분취 줄기잎 모양이 피침형이라면 산각시취는 달걀형인 것으로 구별된다. 산각시취에는 날개와 줄이 있다. 백두산 ● 산각시취 Saussurea umbrosa | Mountain maiden saussurea ↘ 국화과 취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60∼75cm이다. 원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날개와 줄이 있으며 털이 난다.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스러진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20cm이다. 끝은 뾰족하며 밑은 잎자루와 원줄기로 흐른다. 겉면과 뒷면에 털이 나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 2015. 8. 17.
서덜취(Saussurea grandifolia), 새 뿌리잎과 묵은 씨방 천마산 골짜기 현호색이 꽃밭을 이룬 골짜기에 지난해의 씨방을 단 묵은 꽃대 자리에 서덜취 새 잎이 자라났다. 서덜취는 각시서덜취(S. macrolepis)에 비해 잎 끝이 꼬리처럼 길어지지 않은 점으로 구별된다. 천마산 종 모양의 총포는 갈래조각이 7~10줄로 붙는다. 우산털은 새털 모양 흰색이다. ● 서덜취 Saussurea grandifolia | Large-flower saussurea ↘ 국화목 국화과 취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30-50cm이고 곧게 서며 윗부분에 갈색 털이 산재한다. 근생엽은 개화시에 없어지며 밑부분의 잎은 날개가 없고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짧아지며 엽병은 길이 5~12cm이다. 줄기잎은 달걀모양 또는 난상 3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절저이고 길이 10~15.. 2015.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