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125 울릉도의 회솔나무 Taxus baccata var. latifolia 울릉도에 자생하는 주목을 회솔나무라고 부른다 주목(Taxus cuspidata)과 구별되는 점이 그리 뚜렷해 보이지 않은데... 잎의 너비가 좀더 넓다는 점, 종자가 주목보다 많이 노출되어 있는 점 등으로 구별한다고 한다. 주목나무 잎의 너비가 2~3mm인 데 비해 회솔나무는 3~4.5mm로 조금 넓은 편이다. 과육 속의 종자가 보다 많이 노출된 것이 종종 보이긴 한다. ● 회솔나무 Taxus baccata var. latifolia / 구과목 주목과 주목속 침엽 교목 수피는 적갈색이고 심재(心材)가 유달리 붉다. 잎은 나선상으로 달라지만 옆으로 뻗은 가지에서는 우상으로 보이며 선형이고 길이 1.5-2㎝, 폭 3-4.5㎜로서 끝이 뾰족한 미첨두이며 넓은 예저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에 2줄의 연한 .. 2007. 12. 10. 애기범부채 Crocosmia crocosmiiflora 울릉도의 마을에서 유난히 눈에 많이 띄는 원예종 꽃을 들라면 단연 애기범부채이다. 어떤 이는 이를 '울릉난초'라고도 부른다는데 울릉도 원산의 야생종은 아니다. Crocosmia aurea의 교배종으로 Victor Lemoine이 1880년에 처음 만들었으며, 많은 개량 품종이 있다. 제주도 등 남부지방에 자라고 있다. 동해의 심해선 밖 외딴섬이어선지 애기범부채의 유난히 선명한 꽃색이 강렬한 인상을 준다. 특히 북면 지역, 천부에서 나리분지 가는 길 주변의 마을과 섬목 석포 마을에서 본 애기범부채꽃은 야생화 못지 않은 특별한 인상으로 남는다. ● 애기범부채 Crocosmia crocosmiiflora | montbretia ↘ 외떡잎식물 백합목 붓꽃과 애기범부채속의 여러해살이풀 땅에서 기는 줄기를 뻗고 구.. 2007. 12. 10. 울릉도 마가목 Sorbus commixta 마가목은 울릉도의 가로수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도로변에 많이 심어져 있다. 여름 이후 울릉도의 해안도로에서는 마가목 붉은 열매가 달린 아름다운 풍경을 만날 수 있다. 내수전 전망대 부근의 숲속에 자생하는 마가목 나리분지 마을의 마가목 열매 ● 마가목 Sorbus commixta | mountain-ash / .. 2007. 12. 9. 말오줌나무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딱총나무와 닮은 울릉도 특산의 인동과 나무, 나무 줄기에는 두꺼운 코르크질의 나무껍질이 발달해 있다. ● 말오줌나무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 인동과의 낙엽교목 높이 약 5m이다. 원줄기에 코르크가 발달하고 흰 피목이 있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홀수 1.. 2007. 12. 9. 섬쥐똥나무 Ligustrum foliosum / 쥐똥나무 자생 6종 섬쥐똥나무는 한국 특산종으로 울릉도에서 자란다. 꽃차례에 잎 같은 포가 달리는 것이 특징이다. 잎이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매우 뾰족한 품종을 둥근잎섬쥐똥나무(for. ovale)라고 한다. 울릉도 북면 석포 마을 부근 섬쥐똥나무의 특징인, 잎을 닮은 포들이 보인다. 나리분지 ● 섬쥐똥나무 Ligustrum foliosum | Korean privet /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 쥐똥나무속 낙엽관목 높이는 대략 1∼3 m 정도이며 어린 가지에 잔털이 있거나 없는 것도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나 타원형 또는 바소꼴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은 6월에 피고 흰색이며 잎 같은 포가 달린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은 술잔모양이으로 끝에 얕은 .. 2007. 12. 9. 울릉도 특산, 섬제비꽃 Viola takesimana 처음 이 녀석을 만났을 때는 혹시 참졸방제비꽃인가 했는데 참졸방제비꽃은 함경도나 평안도 등 북한 땅에서나 자라는 것. 그래서 확인해 보았더니 졸방제비꽃을 닮은 것으로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한국 특산종 섬제비꽃이 아닌가 싶다. 그것도 꽃이 피는 시기를 한참이나 지난 한여름.. 2007. 12. 9. 선갈퀴 열매 Asperula odorata 울릉도의 숲길 주변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꼭두서니과의 풀, 보통의 갈튀류들과는 달리 아담한 키로 고르게 자라서 보기에도 아름답다. 특이한 것은 이 선갈퀴의 열매를 맥주의 향료로 쓴다는데 호프 열매처럼 선갈퀴 마른 열매가 독특한 향을 낸다는 것이다. 학명 Asperula odorata의 종소.. 2007. 12. 9. 큰연령초의 열매 Trillium tschonoskii 나리분지 큰두루미꽃이 숲 그늘을 가득 채우고 있는 곳에 큰연령초가 더러 보인다. ● 큰연령초 Trillium tschonoskii /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30cm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굵다. 줄기는 곧추서고 밑동은 비늘잎으로 싸인다. 줄기 끝에 3개의 잎이 돌려나며 둥그스름.. 2007. 12. 9. 큰두루미꽃 열매 Majanthemum dilatatum 울릉도 나리분지 숲속의 지피식물로 기능하다시피 하는 것이 바로 큰두루미꽃이다. 오뉴월에 피었던 흰 꽃이 진 자리에 머루송이 같은 열매들이 탐스럽게 익었다. ● 큰두루미꽃 Majanthemum dilatatum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고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줄기는 .. 2007. 12. 8. 섬남성(우산천남성) Arisaema takesimense 나리분지 숲속 성인봉 부근 ● 섬남성(우산천남성) Arisaema takesimense /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구형을 띤 모습이나 약간 찌그러져 있다. 지름은 3~6㎝, 높이는 70㎝ 정도이며 하부에 비늘잎이 있다. 잎은 2개로 나는데 거의 같은 크기의 소엽 9~15개가 양쪽으로 퍼져 나며 녹색을 띤 .. 2007. 12. 8. 섬남성(우산천남성) Arisaema takesimense 섬남성은 울릉도에, 섬천남성은 거문도에 자생하는 천남성을 일컫는데 서로 닮은 모습인데도 다른 종이다. 섬남성 Arisaema takesimense Nakai 섬천남성 Arisaema negishii Makino 섬천남성을 다룬 정보는 많으나 섬남성을 제대로 다룬 자료는 잘 보이지 않는다. 이창복 도감에서는 '점박이천남성' 항목.. 2007. 12. 8. 동백나무 열매 선운사에 가신 적이 있나요. 바람 불어 설운 날에 말이에요. 동백꽃을 보신 적이 있나요. 눈물처럼 후두둑 지는 꽃 말이에요. 나를 버리고 가시려는 님아 선운사 동백꽃 숲으로 가요. 떨어지는 꽃 송이가 내 맘처럼 하도 슬퍼서 당신은 그만 당신은 그만 못 떠나실 거예요. 시들지 않은 선연한 붉은 꽃송.. 2007. 12. 8. 애기쐐기풀 Urtica laetevirens 섬쐐기풀 Urtica laetevirens var. robusta 애기쐐기풀로 동정한 것이나, 애기쐐기풀의 변종으로 울릉도와 제주도, 거문도에 자생하는 섬쐐기풀 Urtica laetevirens var. robusta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섬쐐기풀은 잎몸 길이 9~16cm, 폭 9~12cm로 큰 점에서 잎몸의 길이 4~10cm, 폭 2~6cm로 작은 원변종인 애기쐐기풀과 구별된다. 울릉도 ● 애기쐐기풀 Urtica laetevirens | Small-leaf nettle / 쐐기풀목 쐐기풀과 쐐기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여러 개가 한군데에서 나와 가지를 쳐서 큰 포기를 이루고 단면이 사각형이며 높이가 50∼100cm이고 잔털과 자모(刺毛:쏘는 성질의 액을 분비하는 가시 모양의 털)가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5∼10cm의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 2007. 12. 8. 모시풀 Boehmeria nivea 울릉도 도동의 동쪽 행남봉 너머 쪽에 자리잡은 저동(苧洞). 원래 모시풀이 많이 자라서 모시개로 불리다 '모시저(苧)'를 쓴 저동이란 이름이 유래되었다 한다. 섬모시풀이라는 것이 따로 있는데, 울릉도가 아닌 홍도 특산의 모시풀이다. ● 모시풀 Boehmeria nivea | ramie / 쐐기풀과의 여러해.. 2007. 12. 8. 섬괴불나무 Lonicera insularis 섬괴불나무는 인동과의 관목으로 울릉도 특산종이다. 천연기념물 섬댕강나무 군락지 안내판이 있는 부근에서 만나 섬댕강나무인가 생각했는데 특징을 살펴보니 잎끝의 톱니가 보이지 않고 가장자리가 밋밋한 것이 섬괴불나무이다. 5∼6월에 연한 황색으로 2개씩 피는 꽃이 진 자리에 성.. 2007. 12. 8.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