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울릉도125

검팽나무 Celtis choseniana 울릉도에서 만난 팽나무속의 나무!  오랜 검토 끝에 잎 하반부가 상반부보다 넓고 잎 밑부분까지 톱니가 있으며 잎끝이 꼬리 모양으로 길다는 점으로 풍게나무와 검팽나무, 노랑팽나무 중 하나라는 결론에 이른다. 검팽나무는 주로 남서해안이 자생지이고, 풍게나무는 울릉도가 주된 자생지라 하여 풍게나무나 노랑팽나무일까 했는데, 잎맥을 들여다 보니 털이 보이지 않아 검팽나무로 동정한다. (풍게나무는 잎 뒷면 맥에 털이 있고 노랑팽나무는 잎 뒷면에 잔털이 있다고 한다.) 열매가 검게 달려서 검팽나무라 하며, 팽나무에 비해 잎이 좀 길고 끝이 꼬리처럼 길며 뾰족하며 톱니가 잎의 하부에까지 있는 점이 다르다.    2007. 07. 25. 울릉도            잎 앞면 뒷면 세부(클릭 확대)       ● 검팽나무 .. 2007. 12. 11.
섬뽕나무 섬뽕나무 Morus bombycis var. maritima Koidz. 뽕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 높이 7-8m, 지름 1m에 이르며 줄기가 곧고 많은 가지가 뻗어 나오며 작은가지는 잔털이 있거나 없고 점차 흑갈색으로 된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잎은 길이 2-22㎝, 나비 1.5-14.0㎝로서 두껍고 윤채가 있다. 잎은 달걀꼴 또는 넓은 달걀꼴이.. 2007. 12. 11.
바늘꽃 Epilobium pyrricholophum 나리분지 ● 바늘꽃 Epilobium pyrricholophum / 도금양목 바늘꽃과 바늘꽃속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30∼90cm이며 밑 부분에 굽은 잔털이 있고 윗부분에 선모가 있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가을에 붉게 단풍이 든다. 꽃은 7∼8월에 연한 분홍색으로 피고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꽃의 지름은 10mm이고, 꽃받침조각은 4개이며, 꽃잎은 4개이고 끝이 2개로 얕게 갈라진다. 수술은 8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는 크고 방망이 모양이다. 씨방은 하위이고 선모가 빽빽이 난다. 열매는 길이 3∼8cm인 삭과이고 4개로 갈라진다. 종자에 고동색 .. 2007. 12. 11.
돌소리쟁이 Rumex obtusifolius 처음에는 참소리쟁이일까 생각했는데, 다시 보니 뿌리잎이 타원상이고 잎자루가 아주 길며, 줄기잎의 경우에도 잎자루가 비교적 긴 점으로 보아 돌소리쟁이로 동정한다. 돌소리쟁이 줄기가 대개 곧고 당당한 모습이었던 점으로 이것은 줄기가 연약해서 돌소리쟁이로 미처 생각지 못했다. ● 돌소리쟁이 Rumex obtusifolius / 마디풀목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며 세로로 능각되있고 중간부터 갈라져 있다. 잎은 어긋나고 연변에 주름이 지며, 뒷면 맥 위에 원주상 돌기모가 있다. 아래쪽 잎과 근생엽은 장 타원형이거나 피침형이고, 엽병은 길며, 길이 20~35cm 정도, 너비 8~15cm 정도의 크기이다. 끝은 둔두 또는 예두이고, 밑은 심장저이다. 줄기잎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고 엽.. 2007. 12. 11.
뱀무 꽃, 열매, 잎 Geum japonicum 육지에서 흔히 만나는 큰뱀무와는 달리 뱀무의 자생지는 제주도와 울릉도, 광릉 등에 제한되어 있어서 만나보기 쉽지 않다. 뱀무는 큰뱀무(G. aleppicum)에 비해 키가 작고 뿌리잎의 정소엽은 난형 또는 넓은 도란형으로 끝이 보통 둥글며 줄기 위쪽에 난 잎이 홑잎인 점으로 구분된다. 울릉도 숲속에서 만난 뱀무는 꽃이 큰뱀무에 비해서 성기게 달리고 꽃이 달린 줄기도 가늘고 길어 보인다. ● 뱀무 Geum japonicum | Japanese Avens / 장미목 장미과 뱀무속 여러해살이풀 줄기의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25-100cm이고 전체에 털이 있다. 뿌리잎(根生葉)은 잎자루가 길고 두대우열(頭大羽裂)되어 측열편(側裂片)은 소형으로 1-2쌍이고 작은잎 같은 부속체가 있고 가운데작은잎은 크.. 2007. 12. 11.
헐떡이풀 Tiarella polyphylla 한방에서 천식에 사용하였다 해서 헐떡이풀이라고 한다는데, 성인봉 헐떡이는 가파른 고갯길에 자생하고 있어서 유래한 이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 풀이다. ● 헐떡이풀 Tiarella polyphylla /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가 옆으로 자라고 잎이 무더기로 나온다. 잎자루가.. 2007. 12. 11.
개다래 Actinidia polygama 성인봉을 넘어 나리분지로 내려가며 만난 개다래 꽃. ● 개다래 Actinidia polygama | silver vine / 다래나무과의 낙엽성 덩굴식물 길이 약 5m로 줄기 속이 희다. 잔가지에는 어릴 때 연한 갈색 털이 나는데 드물게 가시 같은 억센 털이 나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고 막질(膜質)이며 넓은 달걀 모양 .. 2007. 12. 10.
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 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 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뭉쳐나고 높이는 1m에 달하며 뭉뚝하게 네모지고,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잎자루와 더불어 붉은색이 돈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끝이 3갈래로 갈라지고 가운데의 갈라진 조각은 길이 2∼5cm로 거북꼬리처럼 된다... 2007. 12. 10.
왕호장근 Fallopia sachalinensis 울릉도 해안이나 숲속에서 가장 흔하게 만나게 되는 풀이 왕호장근이다. 육지에서 보는 호장근에 비해서 잎의 크기가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크다. 호장근 비슷하지만 보다 크고 잎의 밑부분이 심장의 밑처럼 생겼으며 뒷면에 흰빛이 도는 것이 다르다. 일본과 사할린 쪽의 섬에도 자생하.. 2007. 12. 10.
섬꼬리풀 Veronica nakaiana 현삼과 개불알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울릉도에 자생하는 고유종이다. 흔히 보는 긴산꼬리풀 등의 꼬리풀 종류와는 달리 섬꼬리풀은 잎이 둥글고 결각에 가까운 불규칙한 톱니가 발달해 있다. 울릉도 ● 섬꼬리풀 Veronica nakaiana /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섬꼬리풀은 길가의 풀밭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며 전체에 털이 있다. 가지가 갈라져서 비스듬히 서고 높이 30 cm 내외이다. 줄기잎은 마주나며 달걀 모양이고 길이 3.5∼5 c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과 더불어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3 cm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하늘색이며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포(苞)는 작은잎처럼 생기고 밑으로 좁아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있다. 꽃이삭과 작은꽃줄기에 털이 있고 꽃.. 2007. 12. 10.
물엉겅퀴(섬엉겅퀴) Cirsium nipponicum 물엉겅퀴는 섬엉겅퀴라고도 한다. 울릉도의 엉겅퀴로 잎에 가시가 없는 것이 특징인데 울릉도의 밭 곳곳에서 채소로 기르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산지의 길가에서 자란다. 작은 멋장이나비가 꿀을 빨고 있다. ● 물엉겅퀴 Cirsium nipponicum /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골이 파진 능선이 있으며 자줏빛이 돌고 높이가 1∼2m이며 거미줄 같은 털이 있는 것도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꽃이 필 때 말라 없어지고, 줄기에서 나온 잎은 어긋나며 길이 20∼30cm의 바소꼴의 타원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고 때로는 5∼6쌍의 깃꼴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 꽃은 8∼11월에 자줏빛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두상화(頭.. 2007. 12. 10.
바위수국 Schizophragma hydrangeoides 바위면에 붙어서 자라는 바위수국은 울릉도와 남쪽 섬에 자생한다. 등수국과 비슷한 모습이나 헛꽃잎이 넷인 등수국과는 달리 하나만 있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 바위수국 Schizophragma hydrangeoides /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엽 덩굴식물 줄기에서 기근이 돋아 나무와 바위면에 붙어서 길이 10m 내외로 벋어간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 길이와 나비가 각각 5∼12cm로서 양면에 털이 거의 없거나 간혹 잎맥 위에 잔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3∼7cm로서 붉은빛이 돈다. 꽃은 7월에 피고 가지 끝에 지름 20cm 정도의 잔 털이 있는 큰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중성화는 1개의 꽃받침으로 되고 달걀 모양 원형으로 톱니가 없고 흰색이다. 양성화는 꽃잎이 .. 2007. 12. 10.
등수국과 바위수국 울릉도의 산지에는 등수국과 바위수국이 모두 자생하고 있다. 등수국이건 바위수국이건 모두 나무를 타고 오르는 모습이 일반적이고 가끔은 바위를 타고 있는 녀석도 보인다. 꽃철은 많이 지났지만 간간이 헛꽃이 달려 있는 모습이 눈에 띄기도 했다. 둘은 전체적으로 비슷한 모습이긴 하지만 바위수국의 헛꽃은 꽃잎이 하나인데 등수국의 헛꽃은 꽃잎이 넷이어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등수국 (천부 가까운 산기슭 언덕) 등수국의 꽃 (다음 카페 에서 인용) 등수국의 열매 (제주도 한라산) ● 등수국 Hydrangea petiolaris / 장미목 범의귀과 수국속 가지에서 땅위로 나와 있는 뿌리를 내려서 암벽과 나무줄기를 타고 20m 정도 자란다. 나무껍질은 갈색이고 세로로 얇게 벗겨진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 또는.. 2007. 12. 10.
섬쑥부쟁이(부지깽이나물) Aster glehni 울릉도에서는 부지깽이나물이라고 부르는데, 섬 곳곳 마을 주변이나 산속의 밭에는 나물로 먹기 위해 재배하고 있다. 꽃이 피기에는 많이 이른 시기였지만 아래의 꽃을 만날 수 있었다. ● 섬쑥부쟁이 Aster glehni /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 m 내외로서 줄기에는 잔털이 있고, 뿌리줄기가 옆으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꽃이 필 때 밑부분의 잎은 스러지며 타원형으로서 짧은 대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하고 긴 타원형으로 길이 13∼19cm, 나비 4∼6cm이다. 또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에 선점(腺點)이 있다. 꽃은 8∼10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 1.5 cm 정도로서 원줄기와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총포(總苞)는 통형이고 포조각은 2∼3줄로 배열되.. 2007. 12. 10.
개곽향 Teucrium japonicum 울릉도 나리분지의 숲속에서 흔치 않게 보이는 풀꽃이다. 울릉도에는 덩굴곽향(덩굴개곽향)도 자생한다는데, 이것은 줄기에 털이 빽빽히 나고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 달린다는 덩굴곽향과는 다른 모습으로 그냥 개곽향으로 보인다. ● 개곽향 Teucrium japonicum /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07.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