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울릉도125

울릉도의 산층층이 Clinopodium chinense var. shibetchense 산층층이로 보이는 이 꽃은 얼핏 탑꽃과 비슷해 보이는데, 줄기가 비스듬히 자라지 않고 가지를 치지 않으며 꼬불꼬불한 털이 보이지 않는 점이 탑꽃과는 다르다. 울릉도 나리분지 ● 산층층이 Clinopodium chinense var. shibetchense /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5-40cm로 줄기 전체에 짧은 털이 .. 2007. 12. 14.
울릉도의 애기탑꽃 Clinopodium gracile 비가 몹시 쏟아지는 날 울릉도 성인봉 오르는 숲길에서 만난 애기탑꽃, 키는 한 뼘 내외로 아주 작은데 길가에 많이 피어 있었다. 7월말 현재 꽃이 거의 다 지고 있는 상태... 비를 피하느라 이미지가 제대로 잡히지도 않았고 잎부분을 담지 못해서 아쉽다. 탑꽃과 비슷하나 줄기가 연약하.. 2007. 12. 14.
울릉도의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개맥문동(L.spicata)은 본종과 비슷하나 잎맥의 수가 7∼11개로 11∼15개의 맥이 있는 맥문동과 구분된다. 도동 행남봉 기슭에 자생하는 맥문동 도동초등학교 화단의 맥문동 ● 맥문동(麥門冬) Liriope platyphylla | snake's beard / 백합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짧고 굵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모여 나와.. 2007. 12. 14.
울릉도 왜젓가락나물=왜젓가락풀 Ranunculus silerifolius 열매가 둥글고 털이 보이지 않으니 개구리미나리를 닮았는데, 암술대 끝이 구부러져 있어 나를 혼란에 빠뜨리는 풀. 개구리미나리는 "암술대 끝이 거의 구부러지지 않는다."고 설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울릉도 특유의 개구리미나리로 봐야 하나... 검색하다 보니 왜젓가락나물이라는 게 있다. 열매가 둥글고 암술대는 약간 가늘고 뒤로 젖혀진다고 하는데, 울릉도와 제주도 그리고 일부 남부지방에 분포한다고 하니 이 이미지에 잘 부합하는 사실로 보인다. 봉래폭포 가는 길 이름은 줄기가 젓가락처럼 가늘고 억센 데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털개구리미나리에 비해 줄기에 비스듬히 나는 털이 있거나 거의 없으며 암술은 약간 가늘고 끝부분이 밖으로 굽는다. 유독성 식물이다. 나리분지 ● 왜젓가락나물 Ranunculus silerif.. 2007. 12. 14.
사철란(알록난초) Goodyera schlechtendaliana 사철란은 잎에 무늬가 있어 '알록난초'라고도 하며 충청도 이남과 울릉도 제주도 등지의 건조한 숲속에서 자생하는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울릉도와 제주도에서 나는 섬사철란은 꽃이 연한 자홍색으로 핀다. ● 사철란 Goodyera schlechtendaliana | Schlechtendal's rattlesnake plantain / 난초과 사철란속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높이 12∼25cm이다. 밑부분이 옆으로 벋으면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밑부분에 모여 달리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2∼4cm, 나비 1∼2.5cm이다. 밑부분이 꽃줄기를 감싸며 좁은 달걀 모양이다.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짙은 녹색 바탕에 흰 무늬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2cm이고 밑동에 막질(膜質)의 잎집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흰.. 2007. 12. 14.
두메고들빼기(울릉도) Lactuca triangulata 나리분지에서 만난 두메고들빼기, 아직 꽃이 피지 않은 모습이다. 산씀바귀와 달리 날개가 있는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고 있으며 잎은 삼각형이고 갈라지지 않는다.    2007. 07. 24.  울릉도 나리분지    꽃맹아리가 움직거리고 있다.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초롱꽃목 국화과 산씀바귀속의 두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거나 삼각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으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다소 심장밑 모양이다. 잎은 얇은데, 앞면은 가는 털이 흩어져 나고 뒷면은 백색을 띤다.잎자루는 잎몸과 길이가 비슷하고 날개가 있는데, 잎자루 밑은 귀 모양으로 줄기를 싸고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다. 꽃은 7∼8월에 노란색으.. 2007. 12. 14.
섬고사리(참고비, 울릉고사리) Athyrium acutipinulum 울릉도에 자생하는 한국 특산종 양치식물로 을릉도에서는 '참고비' 또는 '울릉고사리'라고 부른다. 울릉도 외에 태백산·제천 지방에서도 자란다고 한다. 나리분지의 넓은 밭에는 더덕, 눈개승마(삼나물)과 더불어 가장 많이 재배하는 작물이기도 하다. 새순을 나물로 식용하고 특산품으로 판매하기도 한다. 울릉도 ● 섬고사리 Athyrium acutipinulum / 고사리목 꼬리고사리과 개고사리속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덩어리처럼 짧고 잎이 모여 나며 높이 80cm 내외이다. 잎자루는 잎몸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밑부분에 검은 비늘조각이 있다. 잎몸은 2회 깃꼴로 갈라지고 잎조각은 선상 바소꼴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다. 작은잎조각은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고 밑부분이 우축(羽軸)으로 흘러서 약간 날개같이 되며 앞쪽 .. 2007. 12. 14.
왕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왕매발톱나무는 본종인 매발톱나무(B. amurensis)에 비해 잎 모양이 둥근 것이 특징으로 강원도 및 울릉도에 분포한다. 매발톱나무는 잎이 타원형 또는 거꾸로 선 달걀 모양 타원형으로 울릉도를 제외한 내륙 지역에 분포한다. 울릉도 ● 왕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의 낙엽관목 낙엽관목으로 높이 2m에 달하고 작은가지에 홈이 있으며 2년지는 노란빛을 띤 회색이고 가시는 3개로 갈라지며 길이 1∼2cm이다. 잎이 원형 또는 둥그달걀형이며, 새가지에는 어긋나고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나는 것 같이 보이며 3∼8cm이고, 규칙적인 바늘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주름이 많고 연한 녹색이다. 꽃은 4∼5월에 황색으로 피고 짧은 가지.. 2007. 12. 13.
비쑥 Artemisia scoparia 바닷가 모래땅에 자라는 국화과 쑥속의 한두해살이풀이다. 사철쑥(A. capillaris)과 아주 비슷한데, 여러해살이인 사철쑥에 비해 한두해살이 초본으로 왜소하고 줄기 밑부분이 목질화되지 않으며 머리모양꽃의 지름이 1mm로 작다. 울릉도 ● 비쑥 Artemisia scoparia / 국화과 쑥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는 방추형이고 흔히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는 곧추서며 때로 붉은빛을 띠고 상부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진다. 높이는 50∼100cm이고 기부에 때로 다음해의 새싹이 나며 새싹은 끝에 잎이 로제트상으로 난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에 마르고 줄기잎은 어긋나며 길이 3∼5cm이고 1∼2회 깃꼴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실같이 가늘고 잎자루는 2∼6.5cm이며 위로 갈수록 잎은 작아진다. 꽃은 8∼.. 2007. 12. 13.
곰의말채 Cornus brachypoda 열매 나리분지에서 만난 곰의말채는 꽃이 지고 작은 열매가 달려 있고, 저동에서 만난 곰의말채는 벌써 열매가 검붉은 빛으로 성숙하고 있는 중이다. 꽃은 대개 6월에 핀다. 층층나무는 잎이 어긋나기하고 말채나무와 곰의말채는 마주나기하는 것으로 구별되며, 말채나무는 잎의 측맥이 4~5쌍.. 2007. 12. 13.
섬단풍나무 Acer takesimense 섬단풍나무는 당단풍나무와 비슷하나 잎이 11∼14개로 훨씬 많은 갈래로 갈라진다. 울릉도 ● 섬단풍나무 Acer takesimense / 단풍나무과의 낙엽 소교목 가지는 털이 없고 녹색이며 끝에 붉은빛이 돈다. 잎은 마주달리고 둥글며 밑은 심장형이다. 길이 10 cm, 나비 12 cm이고 11∼14개로 갈라진다. .. 2007. 12. 13.
우산고로쇠(섬고로쇠) Acer okamotoanum 우산고로쇠는 '울릉도에서 자라는 고로쇠'라는 뜻으로 섬고로쇠라고도 하며, 한국 특산종이다. 울릉도 ● 우산고로쇠 Acer okamotoanum / 단풍나무과의 낙엽교목 가지에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길며 고로쇠나무와 비슷하지만, 가장자리가 손바닥 모양으로 6∼9갈래로 갈라지고 갈.. 2007. 12. 13.
너도밤나무 수피 Fagus japonica var. multinervis 참나무과의 교목으로 울릉도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종이다. ● 너도밤나무 Fagus japonica var. multinervis | Japanese Beech / 참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 울릉도의 바닷가에서 해발 900m까지 자라는 특산수종으로 높이는 약 20m에 달한다.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이 둥글고 물.. 2007. 12. 13.
섬자리공 Phytolacca insularis, 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 섬자리공은 울릉도 특산 식물로 자리공이나 미국자리공과는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꽃이삭이 짧고 통통하며 곧게 서고 열매가 8개로 갈라져 있는 모습은 자리공과 비슷하지만, 꽃이삭에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있고 꽃밥이 흰색인 것이 다르다. (자리공의 꽃밥은 분홍색이다.) 섬자리.. 2007. 12. 13.
서양개보리뺑이 Lapsana communis 처음 이 녀석들을 만났을 때는 적잖이 당황스러웠다. 개보리뺑이도 아니고 그렇다고 그늘보리뺑이와도 다른 듯한데 본 적이 없는 낯선 모습에 도무지 그 이름을 떠올릴 수가 없었다. 그러다가 울릉도의 식물들에 대한 여러 자료들을 찾다가 바로 서양개보리뺑이라는 것이 나타나는 것이 아닌가. 잎이나 줄기의 모습도 비슷한데다 결정적으로는 열매가 회갈색의 방추형이라는 설명을 보고는 무릎을 쳤다. 내가 담은 이미지 자료 모습 그대로다.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한해살이풀이다. 유럽 원산이나 북·남아메리카, 하와이, 호주, 일본에 귀화되었고, 경기도 안산시 수인산업 도로변에서 채집되기도 하였다고 하며, 울릉도에도 야생화로 귀화한 것이 확인되었다. 서양개보리뺑이의 꽃 서양개보리뺑이의 열매 서양개보리뺑이의 줄기와 줄기잎 꽃이 핀.. 2007.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