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3580

서울제비꽃 Viola seoulensis 제비꽃에 비해 잎이 넓은 달걀형 또는 타원형이며 털이 많고 붉은 빛이 없는 녹색이다. 푸른 빛이 강한 보라색 꽃을 피우며 옆꽃잎 안에 털이 없는 점이 특징이다. 서울과 경기 지역에 주로 분포하지만 속리산, 소백산 주변 지역에도 관찰된다. 가락동 ● 서울제비꽃 Viola seoulensis / 제비꽃.. 2009. 3. 30.
섬노루귀 Hepatica maxima, 울릉도 특산 노루귀 울릉도에 자생하는 상록성 노루귀로 한국 특산종이다. 노루귀에 비해 전체가 대형이다. ● 섬노루귀 Hepatica maxima | Korean liverleaf /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목 노루귀속 상록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흰털이 있으며 뿌리줄기는 마디가 많고 비스듬히 서며 흑색의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진.. 2009. 3. 29.
까치무릇(산자고) ※ 홍릉수목원 2009. 3. 29.
미치광이풀 Scopolia japonica 미치광이풀은 '광대작약, 미친풀'로도 불리는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환경부 지정 희귀종이다. 경기, 강원, 충청 등 중부지방의 깊은 산 숲속 배수가 잘 되는 돌이 많은 반그늘 혹은 양지쪽에서 자란다. ↓ 홍릉수목원 ● 미치광이풀 Scopolia japonica | Korean scopolia / 통화식물목 가지과 미.. 2009. 3. 29.
섬노루귀 Hepatica maxima 꽃봉오리 월동한 상록의 묵은잎을 단 채 섬노루귀가 꽃봉오리를 달았다. 노루귀에 비해 잎도 훨씬 크고 포도 훨씬 큰 섬노루귀는 울릉도에 자생하는 한국 특산의 상록 노루귀이다. ● 섬노루귀 Hepatica maxima | Korean liverleaf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노루귀속 상록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흰털.. 2009. 3. 17.
미치광이풀 Scopolia japonica 홍릉수목원 ● 미치광이풀 Scopolia japonica | Korean scopolia / 통화식물목 가지과 미치광이풀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30-60cm이며 근경 끝에서 털이 없는 원줄기가 나오고 가지가 약간 갈라진다. 줄기가 연하며 성기게 갈라지고 원줄기에는 털이 없다. 근경이 옆으로 자라면서 굵어진다. 잎은 어긋.. 2009. 3. 17.
변산바람꽃 => 풍도바람꽃 Eranthis pungdoensis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으로 불려왔던 풍도의 바람꽃이 2009년 6월 풍도바람꽃(Eranthis pungdoensis)이라는 새 국명을 얻게 되었다. (논문 : <한국에서 발견된 너도바람꽃속의 1신종> : 오병운, 지성진. 식물분류학회지 39권 2호, 2009) 퇴화된 꽃잎 모양이 변산바람꽃에 비해 깔때기 모양(V.. 2009. 3. 10.
변산바람꽃 =>풍도바람꽃 Eranthis byunsanensis 변산바람꽃은 분포지에 따라 꽃의 모양이 조금씩 다른 모습을 보인다고 한다. 변산바람꽃은 꽃잎에 해당하는 밀선의 끝이 직선이 아니고 갈때기모양인데, 이는 일본에 자생하는 것과 다른 점이라고 한다. 일본에는 혼슈 관동지방 서쪽에 분포하는데, 꽃 피는 시기가 겨울과 봄 두 계절을 나눈다 하여 쎄쯔분소우=절분초((節分草, Eranthis pinnatifida)라 부른다. 석회암질의 산지 낙엽수림밑에 자생하는 점이 변산바람꽃과 비슷하다. 풍도에 자생하는 것은 꽃잎(밀선) 모양이 보다 넓은 점으로 '풍도바람꽃'이라는 새 국명을 얻게 되었다. ↓ 풍도 ● 풍도바람꽃 Eranthis pungdoensis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덩이뿌리는 지름 1~2cm이다. 잎은 방사형으로 오각형에 .. 2009. 3. 10.
변산바람꽃 => 풍도바람꽃 Eranthis pungdoensis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으로 불려왔던 풍도의 바람꽃이 2009년 6월 풍도바람꽃(Eranthis pungdoensis)이라는 새 국명을 얻게 되었다. (논문 : <한국에서 발견된 너도바람꽃속의 1신종> : 오병운, 지성진. 식물분류학회지 39권 2호, 2009) 퇴화된 꽃잎 모양이 변산바람꽃에 비해 깔때기 모양(V.. 2009. 3. 10.
변산바람꽃 Eranthis byunsanensis =>풍도바람꽃 Eranthis pungdoensis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으로 불려왔던 풍도의 바람꽃이 2009년 6월 풍도바람꽃(Eranthis pungdoensis)이라는 새 국명을 얻게 되었다. (논문 : <한국에서 발견된 너도바람꽃속의 1신종> : 오병운, 지성진. 식물분류학회지 39권 2호, 2009) 퇴화된 꽃잎 모양이 변산바람꽃에 비해 깔때기 모양(V.. 2009. 3. 10.
변산바람꽃 => 풍도바람꽃 Eranthis pungdoensis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으로 불려왔던 풍도의 바람꽃이 2009년 6월 풍도바람꽃(Eranthis pungdoensis)이라는 새 국명을 얻게 되었다. (논문 : <한국에서 발견된 너도바람꽃속의 1신종> : 오병운, 지성진. 식물분류학회지 39권 2호, 2009) 퇴화된 꽃잎 모양이 변산바람꽃에 비해 깔때기 모양(V.. 2009. 3. 10.
변산바람꽃 Eranthis byunsanensis => 풍도바람꽃 Eranthis pungdoensis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으로 불려왔던 풍도의 바람꽃이 2009년 6월 풍도바람꽃(Eranthis pungdoensis)이라는 새 국명을 얻었다. (논문 : <한국에서 발견된 너도바람꽃속의 1신종> : 오병운, 지성진. 식물분류학회지 39권 2호, 2009) 퇴화된 꽃잎 모양이 변산바람꽃에 비해 깔때기 모양(V자형).. 2009. 3. 10.
붉은대극(풍도대극) Euphorbia ebracteolata (var. coreana) 붉은대극은 이른 봄 새순이 돋을 때 전체가 붉은빛을 띠며, 씨방과 열매는 겉에 사마귀 같은 돌기가 없은 점으로 다른 대극속 식물들과 구분된다. 풍도대극은 울릉도에서 나는 붉은대극(Euphorbia ebracteolata)의 씨방에 털이 있는 변종(var. coreana)으로 등록되었다. 하지만 풍도대극의 씨방은 .. 2009. 3. 9.
개복수초 Adonis pseudoamurensis 풍도에서 만난 개복수초. 가지가 벌어지고 꽃과 잎이 동시에 피고 꽃잎보다 짧은 꽃받침이 5~6개인 것을 개복수초라 한다. 일본에 자생하는 가지복수초(Adonis ramosa)는 복수초처럼 꽃받침이 8개로 꽃잎보다 길지만 가지가 벌어지고 꽃고 잎이 동시에 피는 점이 개복수초와 같다. 그런데 국.. 2009. 3. 5.
개복수초 Adonis pseudoamurensis 복수초와 달리 개복수초는 가지가 갈라지고 꽃이 2개 이상이며 개화와 함께 어린잎이 나온다. 꽃받침이 8개인 복수초에 비해 평균 5-6개이며 꽃받침이 꽃잎보다 긴 복수초에 비해 꽃받침의 길이가 꽃잎보다 짧다. 백두대간의 옾은 산지에 주로 분포하는 복수초와 달리 우리나라의 저지대.. 2009.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