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3580

백작약 Paeonia japonica, 참작약 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 백작약은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숲이 잘 보존된 전국의 산지에 자생하나 개체수가 빈약한 귀한 풀이다. ● 백작약 Paeonia japonica / 작약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높이 40~50cm이고 밑부분이 비늘같은 잎으로 싸여 있다. 잎자루가 길고 잎은 3~4개가 어긋나며 3개씩 2회 갈라진다. .. 2009. 5. 7.
들현호색 Corydalis ternata 국생정 기재문에는 중부지방 전역에 자생한다고 하나 남부지방에도 분포하며, 산골짜기나 그 주변, 들판의 습한 땅에 잘 자란다. 홍릉수목원 ● 들현호색 Corydalis ternata / 장미목 현호색과 현호색속의 여러해살이풀 원줄기는 높이 15cm 정도로서 1개 또는 밑동에서 여러 개가 인접해 나온다.. 2009. 5. 7.
개별꽃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대모산 ● 개별꽃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 석죽목 석죽과 개별꽃속 여러해살이풀 원줄기는 1-2개씩 나오고 높이 8-12cm로서 줄로 돋은 털이 있으며 가늘고 길며 곧게 선다. 방추형의 덩이뿌리가 1-2개씩 달린다. 뿌리를 태자삼(太子蔘)이라 한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윗부분의 잎이 특히 커지.. 2009. 5. 7.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서울 대모산 ●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 Marsh marigold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동의나물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올라가고 때로 분지하다. 백색의 굵은 뿌리가 많다. 근생엽은 모여 나며 신원형 또는 난상 심원형으로 길이와 나비가 각각 5~10cm이고 물결모양의.. 2009. 5. 7.
피나물 Hylomecon vernalis 줄기를 자르면 붉은색의 액이 나오므로 피나물이라 하며 매미꽃과 비슷해서 노랑매미꽃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4갈래인 노란 꽃은 애기똥풀 꽃과 비슷한데 양귀비과의 전형적인 형태이며, 꽃이 지고 나면 길게 자라난 암술이 열매가 된다. 서울 대모산 ● 피나물 Hylomecon vernalis / 양귀비목.. 2009. 5. 7.
흰털제비꽃 Viola hirtipes 서울 대모산 ● 흰털제비꽃 Viola hirtipes / 제비꽃목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양지쪽 풀밭에서 자란다. 줄기는 없으며 뿌리는 흰색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잎자루와 꽃줄기에 퍼진털이 있다. 잎은 모두 뿌리에서 나오고 삼각상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4월에 피고.. 2009. 5. 7.
털제비꽃 Viola phalacrocarpa 서울 대모산 ● 털제비꽃 Viola phalacrocarpa /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길이 1-3cm, 폭 0.8-2.5cm로서 얕은 심장저이며 과시(果時)에는 길이가 8c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엽병은 길이3-10cm이지만 과시에는 길이 20cm이고 위쪽에 좁은 날개가 있다. 줄기는 없으며 근경이.. 2009. 5. 7.
노루귀 ※ 충북 속리산 부근 2009. 5. 6.
청노루귀, 분홍노루귀 ※ 충북 보은 2009. 5. 6.
청노루귀 꽃과 열매 ※ 충북 보은 2009. 5. 6.
깽깽이풀 Jeffersonia dubia 매자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 깽깽이라는 이름은 잎에 마취 성분이 있어 이를 먹은 강아지가 깽깽거린다는 데서 유래하였다는 이야기도 있고, 개미가 종자를 운반하는 길을 따라 떨어뜨린 씨앗이 깨금발 거리로 자라나는 데서 유래하였다는 설도 있다. 이른 봄, 잎이 나오기 전에 꽃대가 .. 2009. 5. 6.
깽깽이풀(Jeffersonia dubia) 09-3 ※ 충북 보은 깽깽이풀 Jeffersonia dubia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뿌리가 노랗고 잎의 모양이 연잎과 비슷하여 황련이라고도 불린다. 뿌리를 약재로 쓰려고 무분별하게 채취해서, 오늘날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환경부에서 법적으로 보호하는 식물이기도 하다. 속명 Jeffersonia는 미국의 3대 대통령 Th.. 2009. 5. 6.
깽깽이풀 Jeffersonia dubia 충북 보은의 어느 산기슭에서 만난 깽깽이풀. 매자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줄기가 없으며 뿌리가 노랗고 연잎처럼 잎자루가 둥근 잎 가운데에 달려 있어 황련(黃蓮)이라고도 불린다. 아름다운 꽃이라 무분별한 채취로 멸종위기종 2급으로 분류되었으나 전국적으로 자생지가 발견되면.. 2009. 5. 6.
깽깽이풀 Jeffersonia dubia 매자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 깽깽이라는 이름은 잎에 마취 성분이 있어 이를 먹은 강아지가 깽깽거린다는 데서 유래하였다는 이야기도 있고, 개미가 종자를 운반하는 길을 따라 떨어뜨린 씨앗이 깨금발 거리로 자라나는 데서 유래하였다는 설도 있다. 이른 봄, 잎이 나오기 전에 꽃대가 .. 2009. 5. 6.
남산제비꽃 ※ 속리산 입구 2009.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