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3580

자주조희풀 꽃과 씨앗 ※ 남한산 자주조희풀 꽃 자주조희풀 씨앗 자주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var. davidiana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낙엽소관목 자지조희풀·목단초(牧丹草)라고도 한다. 산지 숲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잎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작은잎이 3장씩 나오는 겹잎이다. 작은잎의 가장자리에는.. 2009. 1. 23.
꽃며느리밥풀 꽃과 열매 Melampyrum roseum 꽃며느리밥풀은 며느리밥물속의 대표적인 기본종으로 꽃차례가 비교적 길어 포 간의 간격이 넓다. 포엽에 가시털이 없거나 아랫부분에 약간 있는 점으로 포엽 전체에 가시털이 발달한 알며느리밥풀이나 포엽을 포함한 꽃차례에 부드러운 털이 있고 가시털이 있는 수염며느리밥풀과 구.. 2009. 1. 23.
까치깨(Corchoropsis psilocarpa) 꽃과 열매 ※ 남한산 까치깨의 열매 까치깨 Corchoropsis psilocarpa | GlabrousFruit Corchoropsis 벽오동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30-90cm이고 원줄기에 수평으로 퍼진 긴 털과 꼬부라진 잔털이 있으며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곧게 선다. 잎은 호생하며 엽병은 털이 있고 밑부분의 것은 길지만 위로 갈수록 잎과 더불어 점점 짧아.. 2009. 1. 23.
풀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var. unicuspis 풀거북꼬리는 거북꼬리(Boehmeria tricuspis)의 변종v(ar. unicuspis)으로 잎 끝이 3개로 갈라지지 않으며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좀깨잎나무와 닮았으나 줄기 아래쪽에 목질부가 없다. 남한산성 ● 풀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var. unicuspis / 쐐기풀목 쐐기풀과 모시풀속 높이가 .. 2009. 1. 22.
대암개발나물 Sium heterophyllum 감자개발나물과 닮았으나, 서로 다른 모양의 홑잎과 겹잎이 동시에 달리고 가을철에 구슬눈(珠芽)이 생기지 않으며 기는줄기 마디에서 방추형의 뿌리가 내린다. 남한산 ● 대암개발나물 Sium heterophyllum Y.N.Lee /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서는 것과 눕는 것이 있으며 높이는 40-100cm이.. 2009. 1. 22.
쥐깨풀 Mosla dianthera 들깨풀(M. punctulata)에 비해서 잎은 난형으로 얇고, 털이 거의 없고 잎 가장자리의 톱니는 4-6쌍으로 적으며 꽃받침잎의 끝이 둔하다. 줄기와 꽃받침에 긴 흰 털이 있고 꽃받침조각 끝이 뾰족한 것을 털쥐깨풀(var. nana )이라 한다. 남한산 ● 쥐깨풀 Mosla dianthera / 통화식물목 꿀풀과 쥐깨풀속 .. 2009. 1. 22.
장구채 Silene firma 암술과 수술, 씨앗 늦가을 고향(합천 가회)에서 만난 장구채. 대부분 마른 열매를 단 모습이지만 이따금 꽃을 단 녀석들도 보인다. 서울에서 만나는 장구채보다 꽃통이 더 실하고 붉게 물든 꽃색도 더 아름답다. 장구채는 줄기는 곧추서고 털이 없는 점에서 전체에 잔털이 매우 많은 애기장구채 및 갯장구채.. 2009. 1. 12.
고들빼기 Crepidiastrum sonchifolium 전초와 꽃 흔히 쓴나물이라고 부르며 황화채(黃花菜)라고도 하는 국화과 고들빼기속의 두해살이풀이다. 쓴 맛을 내는 흰 유즙이 나오지만 독이 없어 뿌리와 잎을 김치나 나물로 먹는다. 줄기에 붙는 잎몸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깊은 결각상 톱니가 새깃꼴로 갈리는 점에서 잎몸의 끝이 둔하.. 2009. 1. 12.
가을 양지꽃 ※ 남한산 2009. 1. 12.
왜떡쑥 Gnaphalium uliginosum 전국 습기가 있는 밭이나 들에서 자란다. 풀솜나물(Euchiton japonicus = Gnaphalium japonicum)에 비해 한해살이풀로 뿌리잎은 꽃이 필 때 마르고,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떡쑥을 '서국초(鼠麴草)'라 하는데, 왜떡쑥 전초는 '습서국초(濕鼠麴草)' 또는 '무심초(無心草)'라 하며 약용한다. 대모산 ● 왜떡쑥 Gnaphalium uliginosum | Marsh cudweed / 국화목 국화과 왜떡쑥속의 한해살이풀 높이 15-30cm이고 여러 대가 한군데에서 나오며 잎이 원줄기 끝까지 달리고 전체가 백색 털로 덮여 있다. 근생엽은 경생엽보다 작으며 꽃이 필 때 쓰러지고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도피침상 선형이고 끝이 둔두이며 길이 4-5cm, 나비 3-5mm로서 양면에.. 2009. 1. 12.
패랭이꽃 Dianthus sinensis, 패랭이꽃을 노래한 한시 2편 돌 틈에서 자라는 대나무란 뜻의 석죽(石竹), 지여죽(枝如竹)이란 별칭에서 알 수 있듯이 줄기가 가는 대나무처럼 마디가 있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양지바른 산허리, 바위 틈과 같이 메마르고 척박한 곳에서 자라고 청초한 꽃을 피운다. 꽃 모양이 옛날 민초들이 쓰던 모자인 패랭이 비슷한 데서 유래한 이름으로 패랭이꽃은 흔히 소시민에 비유되기도 한다. 기독교에서는 패랭이꽃을 십자가에 박힌 그리스도를 보고 성모마리아가 흘린 눈물에서 피어난 꽃이라 하여 귀히 여기며, 꽃말은 ‘영원하고 순결한 사랑’이다. 대모산 ● 패랭이꽃 Dianthus sinensis | Chinese pink, Rainbow pink / 중심자목 석죽과 패랭이꽃속 높이 30cm로서 하나 또는 여러 대가 같이 나와 곧게 자라며 가늘고 전체에 분백.. 2009. 1. 12.
뽕모시풀(뽕잎풀) Fatoua villosa 경기도 이남에 분포하며 풀과 잎의 모습이 뽕나무를 닮아 뽕잎풀이라고도 불린다. 국내에 분포하는 뽕나무과(Moraceae) 식물 중에서 유일한 초본으로 한해살이풀이며, 취산꽃차례인 점이 다르다. 서울 가락동 아파트 공터 뽕모시풀 암꽃과 수꽃 ● 뽕모시풀(뽕잎풀) Fatoua villosa | Mulberry-weed .. 2009. 1. 11.
자주쓴풀 ※ 창녕 우포 주변 산지 자주쓴풀 Swertia pseudo-chinensis 쌍떡잎식물 용담목 용담과의 두해살이풀 자지쓴풀·쓴풀·어담초·장아채·수황연·당약이라고도 한다. 산지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높이 15∼30cm로 곧추 서고 다소 네모지며 검은 자주색이 돈다. 뿌리는 노란색이고 매우 쓰며 전체에 털이 없다. .. 2009. 1. 11.
울산도깨비바늘 Bidens pilosa. var. pilosa 울산 장생포, 방어진과 경북 포항에서 발견된 외래종으로 흰도깨비바늘의 변종으로 설상화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창녕 우포늪 ● 울산도깨비바늘 Bidens pilosa. var. pilosa | Railway Beggarticks /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높이가 50-110㎝이다. 줄기는 가는털로 덮힌다. 잎은 마주나나 위쪽으로 가면서.. 2009. 1. 10.
바위솔 Orostachys japonica 바위솔은 돌나물과의 다육성 여러해살이풀로 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면 죽어 버린다. 기와지붕 위에 널리 자생하였으므로 와송(瓦松)이라 불리기도 한다.     2008. 10. 31.  경남 합천 가회                ● 바위솔 Orostachys japonica  /  장미목 돌나물과 바위솔속 여러해살이풀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납작하게 퍼져 자라며 끝이 굳어져 가시처럼 된다. 원줄기에 잎이 다닥다닥 달리며 엽병이 없고 여름철에 나오는 근생엽과 더불어 끝이 굳어지지 않고 다만 뾰족해질 뿐이며 피침형으로서 주로 녹색이지만 때로 자주색 또는 흰분을 바른 듯한 백색을 띤다. 꽃은 9월에 피고 백색이며 총상꽃차례는 길이 6-15cm로서 꽃자루가 없는 꽃이 밀착하고 포는 피침형이며 예두이다. 꽃받침조각은 5개.. 2009.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