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3580 산괴불주머니 ※ 속리산 입구 2009. 5. 6. 꽃마리 Pedunculate Trigo-notis ※ 속리산 입구 꽃마리 Pedunculate Trigo-notis | Pedunculate Trigo-notis 꽃은 4-7월에 피고 지름 2mm로 연한 하늘색이다. 줄기나 가지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태엽처럼 풀리면서 자라며 길이 5-20cm로서 밑부분에 흔히 잎이 있다. 꽃자루는 길이 3-9mm로서 처음에는 비스듬히 위를 향하지만 점차 옆으로 퍼진다. 꽃.. 2009. 5. 6. 할미꽃 Pulsatilla koreana 흰털 보송한 짙붉은 꽃을 피우는 할미꽃은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그래서 종명도 'koreana'. 꽃은 밑을 향해 꼬부라져 피고, 꽃이 지고난 자리에 흰 털실처럼 달려 있는 수많은 암술대가 할머니의 백발 같아서 할미꽃이라 불리운다. ↓ 속리산 부근 산자락 ● 할미꽃 Pulsatilla korea.. 2009. 5. 6. 꽃다지 Draba nemorosa ※ 속리산 입구 꽃다지 Draba nemorosa Cruciferae(십자화과)과의 두해살이풀 높이가 20cm에 달하고 줄기는 곧추서며 흔히 가지가 갈라지고 하부에 단모(單毛), 분지모(分枝毛), 성상모(星狀毛)가 있다. 뿌리잎은 많이 나와서 방석처럼 퍼지고 주걱형 비슷한 긴 타원형이며 길이 2-4cm, 폭 8-15mm로서 톱니가 약간 .. 2009. 5. 6. 회리바람꽃 어린풀 Anemone reflexa 대관령, 설악산 이북에 분포한다는 회리바람꽃을 속리산 근처에서 만난다. 이제 겨우 꽃망울이 맺히기 시작한 상태다. 확인해 보니 문경 주흘산에도 회리바람꽃이 자생한다 하니 국생정의 분포 정보는 잘못된 것이렷다. 회리바람꽃은 국내 자생하는 바람꽃속(Anemone) 식물 가운데 가장 작.. 2009. 5. 5. 남산제비꽃의 교잡종, 가칭 '속리제비꽃' 남산제비꽃이 군락을 이루어 흐드러지게 핀 곳에 태백제비꽃도 단풍제비꽃도 아닌 독특한 잎모양의 제비꽃이 몇 개체 보인다. 잎모양으로 보면 화엄제비꽃 비슷하긴 한데 남산제비꽃과 자주잎제비꽃의 잡종이라는 화엄제비꽃이이 위해서는 주변에 자주잎제비꽃이 있어야 하는데 자주.. 2009. 5. 5. 노랑제비꽃 Viola orientalis ↓ 속리산 근처 야산 ● 노랑제비꽃 Viola orientalis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10-20cm이고 줄기는 가늘며 잎은 제외하고는 털이 거의 없거나 잔털이 약간 있다. 땅속줄기가 거의 곧추서며 근경은 밑으로 뻗는다. 근생엽은 심장형이고 폭과 길이가 각각 2.5-4cm로서 가장.. 2009. 5. 5. 민둥뫼제비꽃, 줄민둥뫼제비꽃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줄민둥뫼제비꽃은 민둥뫼제비꽃과 닮았으나 짙은녹색의 잎표면에 잎맥을 따라 흰 줄무늬가 있다. 속리산 입구 줄민둥뫼제비꽃 민둥뫼제비꽃 ● 민둥뫼제비꽃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줄민둥뫼제비꽃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for. variegata / 제비꽃과 제비꽃속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세모.. 2009. 4. 23. 중의무릇 Gagea lutea 속리산 입구 ● 중의무릇 Gagea lutea | yellow star of Bethlehem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비늘줄기는 달걀 모양이고 길이가 10∼15mm이며 황색을 띠고 줄기와 잎이 각각 1개씩 나온다. 줄기는 높이가 15∼25cm이고, 잎은 줄 모양이며 길이가 15∼35cm, 폭이 5∼9mm이고 약간 안쪽으로 말리며 밑 부분이 줄.. 2009. 4. 23. 연복초 Adoxa moschatellina 연복초(連福草)라는 이름은 복수초가 피고 진 뒤에 이어서 꽃이 피는 데서 비롯되었다고도 하고 복수초를 채집할 때 묻어 나온 데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가야산 이북 지역에서 자라는 연복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비옥하고 습기 있는 숲그늘에서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녹색으로 피는 .. 2009. 4. 23. 애기봄맞이 아지랑이 피어오르는 봄의 들판 어디에서나 쉽게 만나는 봄맞이꽃, 그런데 애기봄맞이는 얼마나 귀한 것이길래 단 한번도 만나보지 못해 얼마나 애태웠는지. 등잔 밑이 어둡다던가... 며칠 전 찾은 고향집 마당에서 우산살 같은 꽃대 끝에 별 같은 하얀 꽃을 피운 애기봄맞이를 발견한다. 유감스럽게.. 2009. 4. 12. 솜나물 Leibnitzia anandria 국화과 솜나물속의 유일한 자생종이다. 식물체 전체에 거미줄 같은 흰색 털이 촘촘히 나 있어 솜나물이라 부르며, 솜이 귀할 때에 이 풀의 잎을 말려서 부싯깃솜으로 쓴다고 해서 부싯깃나물이라고도 한다. 또 잎으로 떡을 만들어 먹기도 해 떡취라고 하며 까치취라고도 한다. 대모산 ● .. 2009. 4. 12. 노루귀(흰노루귀,청노루귀) Hepatica asiatica 꽃이 필 때 꽃을 받치고 있는 세 갈래 포엽의 모습이 노루의 귀를 연상시켜서 노루귀라 하며 속명 Hepatica는 잎이 간과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남한산성 ● 노루귀 Hepatica asiatic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노루귀속 여러해살이풀 근경이 비스듬히 자라고 많은 마디에서 잔.. 2009. 4. 12. 꽃잎에 자주색 무늬가 있는 흰괭이눈(큰괭이눈=흰털괭이눈) 흰괭이눈은 중부 이남에서 자라는 괭이눈으로 꽃이 커서 큰괭이눈이라고도 하고 전체에 흰 털이 많아 흰털괭이눈이라고도 부른다. 아랫부분에는 밤빛 털이 난 것도 있다. 남한산에서 만난 흰괭이눈은 노란 꽃잎에 자주색 무늬가 있어 눈길을 끈다. ● 흰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2009. 4. 11. 산괭이눈 Chrysosplenium japonicum 범의귀과 괭이눈속 여러해살이풀로 경기도 이북의 응달 습지에서 자란다. 다른 괭이눈에 비해 줄기가 비스듬히 서고 4개의 꽃받침은 네모형이 아닌 납작하고 둥근 모양인 점이 특징이다. 꽃잎은 없고 8개의 짧은 수술과 2개의 암술대가 있다. 남한산 ● 산괭이눈 Chrysosplenium japonicum /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0∼15cm이다. 꽃이 진 다음, 포기 밑동에 작은 구슬눈이 생기며 옆으로 벋는 가지가 없다. 뿌리에서 3∼4개의 잎이 자라는데, 심장 모양이며 길이 5∼20mm, 나비 8∼30mm이다.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가 길며 털이 난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난다. 꽃은 3∼5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며 꽃줄기 끝에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납작하고 둥근 모양으로서 길이.. 2009. 4. 11. 이전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