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사초과 골풀과422 털사초 열매 Carex pilosa 금강산 이북 숲속에서 자란다는 털사초를 금대봉 부근 산허릿길에서 만난다. 예전 대관령에서 꽃으로 만났던 것을 이번에는 열매로 만나는데, 무엇인지 알아보지 못해서 잘 아는 분에게 물어서 털사초임을 알게 되었다. 잎집에서 나온 이삭에 가지런히 달린 열매가 아름답다. 금대봉 ● .. 2015. 5. 22. 부리실청사초 Carex subebracteata (이명 Carex sabynensis var. rostrata) 금대봉 능선, 햇볕이 비교적 잘 드는 풀밭에서 만난 부리실청사초. 작은이삭(소수) 두세 개가 가까이 븥어서 달린 모습이 실청사초(C. sabynensis)와 비슷하나, 뻗는 줄기가 있는 점이 다르다. 분포지는 국생정에는 '금강산 이북',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남부지방'이라 서로 다르게 기재하고 있다. 백두대간을 따라 고산 지역에 분포하는 듯하다. 2015. 05. 16. 금대봉 ● 부리실청사초 Carex subebracteata | Beaked-fruit narrow mitra sedge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의 여러해살이풀 습한 초지에서 높이는 25~60cm가량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옆으로 기는 긴 땅속줄기가 있다. 줄기는 모여나고 거칠다. 잎은 줄기보다 짧고, 너비.. 2015. 5. 21. 융단사초 Carex miyabei 천마산 낮은 습지에서 만난 사초는 키도 제법 늘씬하고 튼실하여 자태가 아름다운데, 줄기 끝에 수꽃이삭이 2~3개 달려 있고 그 아래로 또 암꽃이삭이 3~4개 달린 형태만으로도 눈길을 끌었다. 이름이 융단사초란다. 때로는 암꽃이삭의 윗부분이 수꽃이삭이 되기도 하며 암술머리는 세 갈래다. 과포에 융단 모양의 털이 밀생하여 융단사초라 부르는 모양이다. 융단사초는 국가표준식물목록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 아직도 그 이름이 등재되지 않은 사초다. 제법 널리 분포하고 있는데도 2008년에야 학계에 보고되었다고 하니 무슨 연유인지... 2015. 05. 02. 천마산 ● 융단사초 Carex miyabei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의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가 발달하고 줄기는 세모 기둥 .. 2015. 5. 15. 길뚝사초 Carex bostrichostigma 2015. 05. 02. ● 길뚝사초 Carex bostrichostigma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옆으로 퍼지며 꽃줄기는 뭉쳐난다. 밑부분이 흑갈색 섬유로 덮혀 있으며 높이는 10∼4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편평하며 끝이 뾰족하고 나비 3∼4mm이다. 4∼6월에 꽃이 핀다. 작은이삭은 5∼10개이고 수꽃이삭은 꼭대기에 달리며 줄 모양의 바소꼴로 검은빛이 도는 황갈색이다. 암꽃이삭은 옆에 나고 꽃이 약간 성기게 달린다. 암꽃영(穎)은 바소꼴이고 끝이 뾰족하며 적갈색이다. 암술대는 끝이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원뿔 모양의 긴 타원 모양이며 길이 3~4mm로서 끝에 짧은 부리가 있다. 2015. 5. 8. 실포아풀 Poa acroleuca 산지의 저지대에서 가냘픈 줄기에 2개의 가지로 이삭을 달고 있는 것으로 보아 실포아풀로 보인다. 2015. 05. 02. 천마산 ● 실포아풀 Poa acroleuca | whitetopped bluegrass ↘ 벼과 포아풀속의 두해살이풀밑부분에서 굽으나 윗부분은 곧게 자라고 높이 40-50cm로서 짙은 녹색이다. 잎은 길이 10-15㎝, 나비 1.5-3㎜이며 엽초는 밋밋하고 윗부분이 편평하며 엽설은 길이 1-2㎜로서 둔두이고 잘게 갈라진다. 꽃은 5-6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길이 10-20cm이며 성기게 퍼지고 난형이며 끝이 처지고 가지는 2개씩 달리며 비스듬히 퍼지고 잔돌기가 있다. 잔이삭은 편평하며 녹색으로서 흰빛이 돌고 3-5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길이 3-5mm이다... 2015. 5. 7. 나래사초 Carex egena 줄기 끝에 수꽃이 달리고 그 아래쪽으로 암꽃이삭이 대개 2개씩 긴 이삭자루에 매달려 늘어진 모양을 이루고 있는 사초이다. 그저 낚시사초로 생각했던 사초. 그런데 쇠낚시사초라고도 하고 나래사초라고도 하는데, 나래사초로 정리되는 모양이다. 낚시사초는 정소수인 수꽃과 첫번째 .. 2015. 5. 7. 큰개사탕수수 Saccharum arundinaceum 2005년 양재천에서 처음 발견했으며 지금도 여전히 그 주위에만 몇 개체 살고 있다. 이곳 저곳 알아봐도 정체를 아는 이가 없다. 식물의 모습이 동남아에서 본 듯한데 여행자에게 종자가 묻어서 귀화한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 나뭇잎 님의 도움으로 2011년 큰개사탕수수라는 국명을 얻은 귀화종임을 확인한다. 남해안에 자생하는 개사탕수수와 같은 속으로 인도 아샘 등 남부아시아 원산, 영명은 hardy sugar cane이다. 검색해보니 양재천 외에도 전국적으로 군데군데 자리잡고 사는 모양이다. 2014. 11. 양재천 ● 큰개사탕수수 Saccharum arundinaceum | hardy sugar cane ↘ 사초목 벼과 개사탕수수속의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단단하고, 높.. 2014. 11. 23.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산기장은 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기장속(Phaenosperma)의 유일한 종이다. 꽃차례의 가지가 돌려나고 동글동글한 영과가 꽃차례 가지에 늘어서듯이 달린다. 전남 및 경남 이남, 제주도 해안 가까운 지역에 자생하며, 중국 일본 히말라야 산지에 분포한다. 2014. 제주도 납읍 금산공원 ●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 Globose phaenosperma ↘ 사초목 벼과 산기장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1∼1.5m이다. 뿌리줄기는 짧으며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납작하고 줄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 30∼50cm, 나비 약 15mm이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 약 60cm, 나비 2∼3cm이며 2줄로 늘어선다. 잎혀는 바소꼴이며 막질(반투명질).. 2014. 7. 13.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산기장은 벼과 산기장속의 유일한 종으로 여러해살이풀이다, 층층으로 돌려나기하는 꽃차례에 작고 둥근 영과가 늘어서 달린 모습으로 눈에 띈다. 전라남도·경상남도·제주도 등지의 바다 가까운 숲 속에 자생한다. 2014. 07. 제주도 용연 ●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 Globose phaenosperma ↘ 사초목 벼과 산기장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1∼1.5m이다. 뿌리줄기는 짧으며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납작하고 줄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 30∼50cm, 나비 약 15mm이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 약 60cm, 나비 2∼3cm이며 2줄로 늘어선다. 잎혀는 바소꼴이며 막질(반투명질)이고 길이 5∼10mm이다. 꽃은 5∼6월에 원추꽃차례에.. 2014. 7. 10. 산꿩의밥 열매 Luzula multiflora 산꿩의밥은 꿩의밥과 비슷하지만 꿩의밥이 1개의 큰 머리모양꽃차례인 데 비해 여러 개의 머리모양꽃차례가 달린다. 2013. 06. 06. 태안 ● 산꿩의밥 Luzula multiflora | Common woodrush ↘ 골풀목 골풀과 꿩의밥속 여러해살이풀 모여나기하고 전체에 털이 많다. 근생엽은 길이 6-15㎝, 나비 2-5mm로서 가장자리에 긴 백색 털이 있고 끝이 굳다. 꽃은 5월에 피며 꽃대는 높이 20-40cm로서 꽃차례 밑에 긴 포가 있고 작은 머리모양꽃차례는 5-10개이며 지름 6mm로서 15개 정도의 꽃이 들어있다. 화피열편은 6개이고 넓은 피침형으로 적갈색이며 예두이다. 수술은 6개이고 꽃밥은 수술대보다 길거나 같다. 열매는 짙은 갈색이고 길이 2.5-3mm.. 2014. 6. 14. 괭이사초 Carex neurocarpa 괭이사초는 습한산기슭이나 풀밭에서 흔하게 자라는 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 끝에 고양이 꼬리처럼 생긴 잔이삭이 달린다. 작은이삭(꼬마이삭)에 암꽃과 수꽃이 함께 있는 괭이사초아속(Vignea)에 속한다. 괭이사초는 애괭이사초(C. laevissima), 산괭이사초(C. leiorhyncha)와 같이 작은이삭의 윗부분에 수꽃이 있지만, 과낭에 날개가 있는 점에서 구분된다. 태안 학암포 ● 괭이사초 Carex neurocarpa | Nerved-fruit sedge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 여러해살이풀 짧은 뿌리줄기에 세모진 줄기가 높이 30~60cm 정도로 모여서 자란다. 잎의 폭은 2~3mm 로 납작하고 황록색이며 가장자리가 껄끄럽다. 황갈색의 잎집이 있다. 꽃은 5-6월에 핀다. 꽃차례는 길이 2... 2014. 6. 14. 이삭사초 Carex dimorpholepis 하천변, 습지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자루에 달린 작은이삭이 밑으로 처지는 것이 특징적이다. '방울사초'라고도 하며, 세모난 줄기 끝에 이삭이 4~6개 달린다. 이삭자루가 있고 이삭은 밑으로 처지며 길이는 3~6㎝다. 줄기 끝에 붙는 이삭은 윗부분이 암꽃, 아랫부분이 수꽃이다. 다른 이삭은 모두 암꽃이다. 비슷한 비늘사초(= 쥐방울사초 C. phacota)는 이삭사초에 비해 줄기 밑부분의 잎집이 연한 갈색이고 정소수와 측소수 모두 드물게 자웅성이다. 2013. 태안 학암포 ● 이삭사초 Carex dimorpholepis | Dimorphous-spike sedge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40∼80cm이다. 줄기는 뭉쳐나고 단면이 삼각 모양이다. 뿌리에 달린.. 2014. 6. 14. 개피 Beckmannia syzigachne 개피는 벼과의 두해살이풀로 논둑이나 늪지, 도랑 근처 등 습지에서 자란다. 늪피·물피·묘초(苗草)·수패자라고도 한다. 2013. 06. 02. 신구대식물원 ● 개피 Beckmannia syzigachne | American sloughgrass ↘ 사초목 벼과 개피속 두해살이풀 줄기는 원기둥형으로 뭉쳐나고 곧게 선다. 높이는 30∼90cm로 다소 연하며 녹색이다. 잎은 넓은 줄 모양으로 길이는 6∼20cm, 나비는 5∼10mm이고, 끝이 뾰족하며 털이 없다. 잎혀는 달걀 모양 또는 삼각형이고 잎집은 마디 사이보다 길다. 꽃은 5월에 피는데 수상꽃차례는 가늘고 길며 길이 15∼35cm이다. 작은이삭이 2줄로 달리고 꽃자루는 삼각형이다. 포영(苞穎)은 배[舟] 모양이고 3맥이 있으.. 2014. 6. 13. 나래사초 Carex egena 줄기 끝에 수꽃이 달리고 그 아래쪽으로 암꽃이삭이 대개 2개씩 긴 이삭자루에 매달려 늘어진 모양을 이루고 있는 사초이다. 낚시하는 듯한 모습으로 이삭을 드리우고 있어 낚시사초로 알았는데, 낚시사초가 아니라 나래사초라고 한다. 국가표준식물목록과 네이처(국생정)에는 이와 비.. 2014. 5. 19. 가는잎그늘사초(Carex humilis) 예전에 산거울이라 불렸던 사초과의 풀이다. 그늘사초에 비해 잎이 보다 좁고 줄기는 짧아 잎 사이에 가리워지며 작은이삭이 작고 잎이 섬세하다. ↓ 남한산성 ● 가는잎그늘사초 Carex humilis /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줄기는 모여나며 둔한 3각형으로 밋밋하고 높이 3~6㎝.. 2014. 4. 25.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