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벼과 사초과 골풀과422

구주개밀 Agropyron repens(Elymus repens) 태백산 정상부 주변에서 만난 벼과의 풀. 까락이 아주 짧고 길쭉한 열매가 촘촘하게 달려 있고 전초의 높이는 두 자쯤 되어 보인다. 구주개밀!  유럽 원산의 사료 식물로서 끈질긴 생명력으로 빠르게 번식하는 풀이라고 한다. '유럽 개밀'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구주개밀이 아닐까 생각된다. 워낙 많은 사람들이 오르는 산이라 외래종 목초가 이곳 정상부에까지 자생하게 된 모양이다.  개밀속(Agropyron)이 아닌 갯보리속(Elymus)으로도 보기도 한다. 가는보리풀과 생태 면도 유사하나 포영이 두 개씩 있어서 구분이 된다. 다년초로 황백색의 뿌리줄기는 매우 길어서 완전히 뽑아내지 않으면 뿌리줄기 조각이 다시 새롭게 자란다고 한다.    2011. 07. 07.  태백산              ● 구주개밀 Ag.. 2012. 7. 30.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산기장은 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제주, 전남, 경남 등 남부지방의 바다 가까운 숲 속에 난다고 하는데, 먼 태백산에서 만난다. ● 산기장 Phaenosperma globosa | Globose phaenosperma ↘ 사초목 벼과 기장풀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1.5m이다. 뿌리줄기는 짧으며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납작하고 줄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 30∼50cm, 나비 약 15mm이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 약 60cm, 나비 2∼3cm이며 2줄로 늘어선다. 잎혀는 바소꼴이며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고 길이 5∼10mm이다. 꽃은 5∼6월에 원추꽃차례에 달리는데, 꽃차례 길이 30∼50cm이다. 밑부분에서는 꽃줄기가 돌려나지만, 윗부분에서는 1∼2개씩 달린다. 작은이삭.. 2012. 7. 30.
왕쌀새 Melica nutans 왕쌀새는 습기가 있는 산지의 풀밭에서 자라는 벼과 쌀새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지리산이나 덕유산, 그리고 태백산 등 높은 산지의 능선 부근에서 흔히 만날 수 있다.  이름처럼 열매의 모양의 쌀과 아주 비슷하게 보인다. 쌀새(M. onoei)에 비해서 키가 작고 원추꽃차례가 거의 총상으로 보이며, 5-15개의 쌀알갱이 같은 작은 이삭이 듬성하게 달린다.      ↓ 2011. 07. 07.  태백산          ● 왕쌀새 Melica nutans | mountain-melic  ↘  벼목 벼과 쌀새속의 여러해살이풀 가는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으면서 총생하며 높이 20~50cm이다. 잎은 뿌리와 줄기에 달리고 줄 모양이며 질이 얇다. 밑부분의 잎집은 일부 붉은 자주색으로 된다.꽃은 6∼7월에 피고 총상꽃차례.. 2012. 7. 30.
도깨비사초 Carex dickinsii 산이나 들의 습지에서 자라는 사초과 사초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이삭 자루가 없이 달리는 열매의 모양이 도깨비방망이를 닮아 도깨비사초라 부르는데, 가시처럼 뾰족한 열매가 촘촘히 달려 있다. 사초류 중에서 이삭이 비교적 크면서도 길이가 짧은 점이 왕비늘사초와 닮았지만, 이삭자루가 없고 열매가 뾰족한 점이 왕비늘사초와는 확실히 구별되는 점이다.       2011. 07. 01.  태안 학암포        ● 도깨비사초 Carex dickinsii  /  사초과 사초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으며 꽃줄기는 딱딱하고 밋밋한데 윗부분이 약간 거칠다. 높이 20∼50cm이다. 잎은 나비 4∼8mm로 편평하고 가로맥이 있다. 잎몸은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약간 가늘어진다. 6∼7월에 꽃이 핀다. 작은.. 2012. 7. 22.
'애기올미', 기장대풀 Isachne globosa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의 물가나 습지에서 군락을 이루며 흔히 자라는 벼과 기장대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애기올미'라고도 한다.    ↓ 2011. 07. 01.  태안 학암포          ● 기장대풀 Isachne globosa  ↘  벼과 기장대풀속의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비스듬히 자라며 30~60cm 높이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좁은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며 길이 4∼7cm, 나비 3∼7mm이다. 잎집은 짧고 밋밋하며 잎혀는 털이 줄 모양으로 나있다. 가늘고 긴 뿌리줄기가 있다. 6∼8월에 적자색 꽃이 대 끝에 원추꽃차례로 피고, 가지를 쳐 많은 작은이삭이 달린다. 작은이삭은 작은 공 모양의 넓은 타원형으로 자줏빛을 띠고 영(穎)은 내외 2조각이 있다.     ○ 비슷한 종.. 2012. 7. 21.
산조풀 Calamagrostis epigeios / 산새풀속 14종 산조풀은 볕이 잘 드는 산지나 냇가, 바닷가의 모래땅에서 자라는 벼과 산새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화서 가지가 길고 개방형으로 구부러지는 갯조풀(C. pseudophragmites)에 비해 화서 가지가 짧고 응축되어 곧추서는 점으로 구분된다.     2011. 07. 01.  태안 학암포          ● 산조풀  Calamagrostis epigeios  ↘  벼목 벼과 산새풀속 여러해살이풀높이 60-150cm이고 곧추서며 지름 3mm가량이고 털이 없으며, 가지는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벌어진다. 짧은 땅속줄기가 가로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집을 형성한다. 엽초에는 털이 없다. 잎은 납작하며 안쪽으로 말리고 길이 20-40cm, 폭 3-4mm이며 표면과 가장자리는 거칠고 뒷면은 밋밋하다. 엽설(葉舌)은 막.. 2012. 7. 21.
잠자리피 Trisetum bifidum, 개밀과 비교하기 양지의 풀밭에서 자라는 벼과 잠자리피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2011. 06. 23.  천마산 입구          ● 잠자리피 Trisetum bifidum | Spike oatgrass  ↘  벼목 벼과 잠자리피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다소 모여나기하고 밑부분에서는 마디에서 굽지만 윗부분에서는 곧게 서며 높이 40-80cm이고 밑부분에 다음 철의 새싹이 달린다. 땅속줄기는 짧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편평하며 부드럽고 길이 10-20cm, 폭 3-5mm로서 때로는 엽초와 더불어 백색털이 있고 잎혀는 막질이며 길이 0.1~1.5mm이다. 꽃은 4-5월에 피며 원뿔모양꽃차례는 옆으로 처지고 길이 10-20cm, 지름 2-5cm로서 가지가 대개 2개씩 달린다. 화수(花穗)는 처음에 퍼졌다가 가지가 곧추서며.. 2012. 7. 16.
속털개밀 Agropyron ciliare 속털개밀은 벼과의 두해살이풀로 열매가 성숙하면 까락이 뒤로 젖혀지는 게 특징이다. 잎이 더 좁고 까락의 길이가 3~12mm 로 더 짧은 것을 ‘가는개밀’이라 한다.    2011. 06. 23.  천마산 입구           ● 속털개밀 Agropyron ciliare  /  벼과 개밀속(갯보리속)의 두해살이풀줄기는 높이 30~90cm 정도로 곧게 자란다. 편평한 잎은 길이 15~25cm, 폭 4~10mm 정도로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까끌거린다. 5~6월에 연한 녹색의 꽃이 줄기 끝에 피며 끝이 쳐진다. 5~8개의 소화가 있으며 소수축에는 털이 덮여있다. 호영은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길이 10~16mm 의 까락이 있으며 내영은 호영 보다 길이가 짧다. 잎이 더 좁고 까락의 길이가 3~12mm 로 더 짧.. 2012. 7. 16.
개찌버리사초 Carex japonica 천마산 ● 개찌버리사초 Carex japonica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벋고 꽃줄기는 높이 20∼40cm로 흔히 1개의 잎이 달리며 세모나고 윗부분이 거칠다. 잎은 편평하고 짙은 녹색 또는 연한 황록색으로 나비는 2.5∼4mm이다. 잎집은 볏짚색 바탕에 갈색이 돈다. 2∼4개의 작은이삭은 떨어져 있고 꼭대기의 작은이삭은 수꽃이며 옆쪽 작은이삭은 암꽃이다. 잎 모양의 포는 꽃줄기보다 길고 잎집이 없다. 과포(果苞)는 포영(苞潁)보다 길고 비스듬히 퍼지며 연한 녹색이다. 암술대는 곧고 밑부분이 굵으며 암술머리는 3개이다.열매는 수과로서 헐겁게 들어 있고, 길이 2mm 정도로서 넓은 달걀 모양이며 3개의 능선이 있다. ※ 개찌버리사초 : 골사초(Carex aphanol.. 2012. 7. 15.
왕비늘사초 Carex maximowiczii 왕비늘사초는 냇가나 산지의 습한 지역에서 자라는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몽당연필처럼 통통하게 잛은 작은이삭이 이삭자루에 매달려 아래로 처지는 것이 특징이다. ● 왕비늘사초 Carex maximowiczii | Maximowicz's sedge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 여러해살이풀 짧게 뻗는 뿌리줄기가 있고 세모진 줄기는 높이 40~70cm 정도로 곧거나 비스듬히 자란다. 밑부분에만 잎이 있다. 녹색의 잎은 뒷면에는 약간 흰빛이 돌고 폭 4~6mm 로 선형이며 잎집이 잘게 갈라진다. 5~6월에 2~4개의 작은이삭이 달리는데 위쪽에는 수꽃이, 옆쪽에는 암꽃이 달린다. 수꽃은 선형이고, 암꽃은 원주형이다.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회갈색의 과포는 길이 4mm 정도로 작은 돌기가 있고 열매는 수과로 난형.. 2012. 7. 11.
태안 습지의 회색사초 Carex cinerascens 중부 이북에 자란다. 암술머리가 두 개로 갈라지며, 인편이 짙은 사초속 식물 중에서 땅속줄기가 길고, 줄기 끝에 달린 이삭이 수꽃으로만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유사한 식물들 중 회색사초는 과낭의 부리가 매우 짧은 것으로 구별된다.     2011. 06. 16.  태안 학암포          ● 회색사초 Carex cinerascens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 여러해살이풀 근경은 옆으로 벋고 줄기는 약간 성글게 총생하며 3각형으로 밋밋하고 높이 60㎝ 내외이며 하부 엽초의 일부는 엽신이 없고 흑갈색이다. 잎은 편평하고 약간 굳으며 너비 2~3㎜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3~5개의 소수가 떨어져서 달린다. 정소수(頂小穗)는 선형으로 길이 2~4㎝이고 수꽃이 달리며 대가 있고 갈색이 돈다. 측소수는 .. 2012. 7. 11.
이삭사초 Carex dimorpholepis 하천변, 습지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자루에 달린 작은이삭이 밑으로 처지는데, 세모난 줄기 끝에 이삭이 4~6개 달린다. 줄기 윗부분에 붙는 이삭은 위는 암꽃, 아래는 수꽃으로 동거한다. 아래쪽 다른 이삭은 암꽃으로만 되어 있다. 태안 학암포 ● 이삭사초 Carex dimorpholepis | Dimorphous-spike sedge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40∼80cm이다. 줄기는 뭉쳐나고 단면이 삼각 모양이다. 뿌리에 달린 잎은 잎집이 없고 검은빛을 띤 계피색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 납작하며 나비 5∼7mm이고 가장자리가 거칠거칠하다. 작은이삭은 원통 모양이고 길이 3∼6cm로서 4∼6개가 촘촘히 달리고 자루가 있어 밑으로 처진다. 위에서부터 1∼4개는 윗부분에 암꽃, 밑부분이 .. 2012. 7. 11.
길뚝사초 Carex bostrichostigma 2012. 05. 27.      ● 길뚝사초 Carex bostrichostigma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 여러해살이풀뿌리줄기는 짧고 옆으로 퍼지며 꽃줄기는 뭉쳐난다. 밑부분이 흑갈색 섬유로 덮혀 있으며 높이는 10∼4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편평하며 끝이 뾰족하고 나비 3∼4mm이다. 4∼6월에 꽃이 핀다. 작은이삭은 5∼10개이고 수꽃이삭은 꼭대기에 달리며 줄 모양의 바소꼴로 검은빛이 도는 황갈색이다. 암꽃이삭은 옆에 나고 꽃이 약간 성기게 달린다. 암꽃영(穎)은 바소꼴이고 끝이 뾰족하며 적갈색이다. 암술대는 끝이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원뿔 모양의 긴 타원 모양이며 길이 3~4mm로서 끝에 짧은 부리가 있다. 2012. 6. 29.
흰꼬리사초 Carex brownii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제주, 전남, 경남북의 습한 풀밭에 난다. 지리산 둘레길, 상황마을 부근 골짜기 습지 ● 흰꼬리사초 Carex brownii 줄기는 약간 총생하고 상부는 깔깔하며 중앙에 1~2개의 잎이 달리고 밑부분의 잎집은 잎이 없으며 흑갈색이 도는 붉은색(血紫色)이고 높이 30~80㎝이다.. 2012. 6. 27.
청사초 Carex breviculmis 대모산 양지바른 언덕에서 만난 청사초. 줄기가 무더기로 자라며 높이 5∼40cm이고 기는줄기는 없다. 실청사초, 가지청사초 등과 비슷하여 구별이 어렵다. 청사초의 과낭의 윗부분은 잘록하고 부리는 상대적으로 매우 짧다. ● 청사초 Carex breviculmis | Asian shortstem sedge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가 무더기로 나와서 높이 5∼40cm이고 기는줄기는 없다. 잎은 편평하고 나비 1∼5mm이며, 밑부분의 잎집은 갈색으로 섬유처럼 갈라진다. 꽃은 4~6월에 핀다. 작은이삭은 2∼6개이고 줄기 끝에 곧게 서며, 위에는 수꽃 작은이삭, 옆에는 암꽃 작은이삭이 달린다. 포는 잎같이 생기고 잎집이 짧다. 과포는 포영(苞穎 :작은이삭 밑에 난 한 쌍의 포)보다 길고 막질이.. 2012.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