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038

진갈색멋그물버섯(황금씨그물버섯) Xanthoconium affine 갓은 균열에 의해 흰살이 노출되기도 하는데, 이 버섯 갓은 벌레 먹어 노출된 점박이 무늬로 보인다. 영명 'spotted bolete'에 잘 어울리는 모습이다. 자루에 대하여 홈 파진 관공은 작고, 유백색-옅은 오렌지색에서 황갈색이 되며 상처 시 진한 색이 된다. 자루는 그물무늬가 아닌 세로줄 무늬가 있는 황갈색이다.  여름~가을 낙엽활엽수림, 특히 자작나무 숲의 땅에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 일본, 대만, 호주 동부, 북미 동부에 분포한다.  '황금씨그물버섯'으로 널리 불려온 식용 버섯이다.    2024. 07. 31.  경기 구리        ● 진갈색멋그물버섯 Xanthoconium affine | spotted bolet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멋그물버섯속균모는 지름 5~10cm, 처음.. 2024. 8. 18.
파리버섯 Amanita melleiceps 갓은 연한 황갈색이고 사마귀점 모양의 인편이 분포한다. 턱받이가 없는 자루 속은 비고 기부는 부풀어 있다. 조직은 연하여 부서지기 쉽다. 민간에서는 밥알과 함께 비벼 놓아 파리를 잡는 살충제로 사용했다.  여름~가을 소나무, 곰솔, 참나무류 등의 나무 밑 모래땅과 점토질이 섞인 곳에 잘 발생한다. 한국과 일본에 분포한다. 독버섯이다.       2024. 07. 31.  경기 구리      ● 파리버섯 Amanita melleiceps | honey-capped amanit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균모의 지름은 3~6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평평한 모양으로 되며 중앙은 오목해진다. 표면은 황갈색 또는 황토색이며 가장자리는 연한 색이고 줄무늬홈선이 있다. 백색 또는 연한 황색 가루 같.. 2024. 8. 18.
애우산광대버섯 Amanita farinosa 광대버섯속으로는 자실체가 작은 편이다. 갓과 자루 밑부분에 회색 분질물이 덮여 있고 턱받이는 없으며 자루 밑부분이 구근 모양인 점이 특징적이다.   여름~가을철 적송 또는 침엽수와 참나무 혼합림 지역, 특히 점토질을 선호하여 홀로 또는 흩어져 발생한다. 한국, 일본, 줄국, 북미, 호주에 분포한다. 위장관 자극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이다.     2024. 07. 31.  경기 구리        ● 애우산광대버섯 Amanita farinosa | American floury amanita  ↘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갓의 직경은 3~6cm이고 구형에서 편평하게 전개된다. 갓표면은 회색~갈회색의 분말이 덮여있으며 둘레에는 방사상의 홈선이 있다. 주름살은 떨어진형이고, 백색을 띠며, 약.. 2024. 8. 18.
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tachiroei 개구리미나리는 1회 3출겹잎인 털개구리미나리에 비해 2회 3출겹잎으로 갈래조각이 보다 가늘어 보이고 꽃잎도 좁도 긴 편이다. 젓가락나물은 열매가 원주형인 점으로 구별된다.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저지대 습지에 자란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극동, 일본,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2024. 07. 31.  경기 구리      ● 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tachiroei  ↘  목련강 목련아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100cm, 가지를 치고, 아랫부분에는 퍼진 털이, 윗부분에는 누운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뿌리잎과 줄기 아래에 달리는 잎은 잎자루가 길다. 잎몸은 2회 3출겹잎이며, 갈래조각은 끝이 .. 2024. 8. 18.
미나리 Oenanthe javanica, 흰 꽃 한여름이 오고 미나리 흰 꽃이 피었다. 미나리과 미나리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이며 열대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유럽, 북미 동부 등으로 널리 퍼져 있다.  독특한 풍미가 있고 나물이나 요리 보조재료로 애용되어 왔고, 혈액의 산성화를 막고 정화하는 효과가 있는 알칼리성 건강 식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2024. 07. 31.  경기 구리      ● 미나리 Oenanthe javanica | minari, Java waterdropwortChinese celery, water celery, water dropwort,   ↘  목련강 장미아강 미나리목 미나리과 미나리속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고, 향기가 있다. 줄기는 옆으로 뻗어나가다 곧추서며, 높이 20-80cm이다. .. 2024. 8. 18.
이질풀 Geranium thunbergii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2개가 붙고 지름은 1~1.5cm 정도로 주로 홍자색(드물게 연분홍)이다. 쥐손이풀은 잎겨드랑이에 꽃이 1개가 붙으며, 자루에 퍼진 털이 거의 없는 세잎쥐손이와 달리 퍼진 털이 많다.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북미 동부 등에 분포한다.    2024. 07. 31.  경기 구리      ● 이질풀 Geranium hunbergii | Korean geranium or Korean cranesbill, dew-drop crane's-bill  ↘  목련강 장미아강 쥐손이풀목 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옆으로 비스듬히 또는 기어가면서 길이 50cm 정도 뻗으며 위로 퍼진 털이 있고 곳곳에 마디가 있다. 뿌리가 여러 개로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이 있고 장상으로.. 2024. 8. 18.
메꽃버섯부치(메꽃송편버섯) Trametes vernicipes(Microporus vernicipes) 부채꼴-반원형 형태의 갓 표면은 황백색-크림갈색으로 희미한 고리 무늬가 있고 짧은 자루는 측생 또는 중심생으로 기주에 넓게 확장되어 붙어 있다. 자실층은 황백색-크림색으로 관공은 아주 미세하여 잘 보이지 않는다.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으로 북한 이름은 '반들부채버섯'이다.  활엽수 죽은 나무 또는 넘어진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우리나라와 일본, 동남아시아, 인도 열대아프리카에 분포하는 남방계 버섯이다.    2024. 07. 31.  경기 구리    2024. 08. 29.  경기 구리     2024. 10. 02.  경기 구리     ● 메꽃송편버섯 Trametes vernicipes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균모는 2~6x1~3cm 크기로 콩팥형-반원형, 단단한 가죽질로 옆에.. 2024. 8. 17.
귀무당버섯 Russula earlei 귀무당버섯으로 보이는 담갈색의 버섯. 주변에는 절구무당버섯ㄱ과 유사한 형태의 중간적 형질로 보이는 버섯들이 보이기도 한다. 이곳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절구무당버섯아재비와 귀무당버섯, 그 사이에 스펙트럼을 보이는 버섯들이 있어 동정하기에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절구무당버섯의 이명인 Russula eccentrica와 비슷하기도 하나 갓 가장자리의 주름선이 나타나는 점이 다르다. 어쩌면 두 종의 교잡종인가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연한 밀짚황색∼황갈색의 갓과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줄무늬가 생기는 귀무당버섯의 특징을 보인다.  여름~가을 활엽수림 땅에서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식용 버섯인지 독버섯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2024. 07. 31.  경기 구리   가까운 곳에는 절.. 2024. 8. 17.
푸른유액젖버섯 => '회록색털젖버섯'(임시명) Lactifluus viridilacteus 흰 갓에 매우 촘촘한 주름살, 하얗게 분출되는 유액 등의 특징으로 '굴털이'로 불려 왔던 털젖버섯속의 버섯이다. 굴털이는 변색하지 않는데, 이 버섯은 처음에는 흰 유액이 서서히 녹색으로 변색한다. 이런 특징을 보였던 것을 푸른유액젖버섯(Lactifluus glaucescens)이라 불러 왔는데, 이는 포자가 더 큰 종으로 유럽에 분포하는 종이라 한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버섯(경기도 광주시 태화산)은 포자 크기가 더 작은 것으로 밝혀지며 Lactifluus viridilacteus라는 신종 학명으로 기록되었다.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에서는 '회록색털젖버섯'이라는 소통명을 쓰고 있다.  참나무가 우세한 숲에서 난다. (아래 참고 자료)    2024. 07. 31.  경기 구리         .. 2024. 8. 17.
음란주름버섯 Agaricus impudicus 갓 중심의 짙은 갈색 인편을 둘러싼 동심원상으로 늘어선 갈색 인편, 작은 원반 모양의 턱받이, 변색하지 않는 자루 등이 특징이다. 안타깝게도 국내 관련 도감이나 백과사전의 기재문들이 이런 특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부정확하게 기록하고 있는 듯.. 종명 impudicus는 남성 성기를 뜻하는 말인데 당당한 모양에서 말미암은 듯하다. 국명은 '음란'이라는 음란한 이름을 붙였다.  여름~가을에 낙엽수림이나 침엽수림, 대나무 숲의 부식토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식용 버섯이나 흙맛이 나고 상한 듯한 무 맛이 난다고 한다.    2024. 07. 29.  서울      2024. 08. 30.  서울       ● 음란주름버섯 Agaricus impudicus | tufted wood mushroom  ↘.. 2024. 8. 16.
가죽밤그물버섯 Boletellus emodensis 이 산에서 한번도 만나본 적 없는 버섯을 딱 두 개체 마주한다. 한 게체는 자실층이 온전치 못한데 성한 것을 만지니 자루가 부러져 버린다. 상처 시 청색으로 변한다는데 비에 젖은 탓인지 청변이 쉽게 나타나지 않는 점이 의아하다. 자루속은 차 있고 단단하나 부러지기 쉽고 기부는 굵으며 흰 균사가 감싸고 있다.  귀신그물버섯과에서 그물버섯과로 이동되었다. 여름~가을 숲 속의 땅에서 자란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미국 남부, 호주 동부에 분포한다.      2024. 07. 29.  서울      ● 가죽밤그물버섯 Boletellus emodensis | shaggy cap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밤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5~10cm, 구형이었다가 둥근 산 모양-위가 편평한 둥근 산 모양. 자라면서 표.. 2024. 8. 15.
유리버섯? 유사종? 그루터기 구멍 속에 발생한 극소형 흰 버섯. 반투명하고 엉성한 주름살이 유리버섯처럼 보이나 갓 가장자리에 인편조각 같은 것이 규칙적으로 늘어서 있는 모습이 좀 낯설다.    2024. 07. 29.  서울      ●    ↘   높이     ○     ※ 참고 자료 :   •  ☞ 더 보기 => 2024. 8. 15.
애기젖버섯 Lactarius gerardii 짙은 갈색의 갓과 자루, 알맞게 성기고 가지런한 흰 주름살의 대비가 선명하고 해서 깔끔한 이미지를 주는 버섯이다. 하얀 유액도 풍부하게 분출된다. 표면은 점성이 없고 비로드상이며 흑갈색~암황갈색을 띠고 살은 흰색이고 변색성이 없다. 주름살은 흰색으로 흔히 날 부분은 암갈색을 띠고 폭이 넓고 성기며 대에 끝붙은형에서 점차 내리붙은형이 된다. 대 속이 비어 있다.  여름~가을 활엽수림의 땅에 여기저기 흩어져 자라거나 한 개씩 자란다. 참나무류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우리나라, 일본, 북미, 동남아에 분포한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24. 07. 29.  서울       2024. 09. 16.  남한산성     ● 애기젖버섯 Lactarius gerardii | Gerard's milky  ↘  .. 2024. 8. 15.
백황색광대버섯 Amanita alboflavescens 성숙한 버섯은 갓과 대가 모두 황색이 두드러지는데 어린 버섯은 백색에 황색이 부분적으로 드러나는 모습이다. 흰색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 살은 백색이나 상처를 받으면 황색이나 오렌지색으로 변한다. 뿌리는 긴뿌리광대버섯처럼 끝이 긴 모습이다.  여름~가을 참나무류의 숲속의 땅에 단생한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07. 29.  서울    2024. 08. 27.  서울     ● 백황색광대버섯 Amanita alboflavescens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4~6.5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편평하게 펴진다. 표면은 가루상이고 거의 백색에서 나중에 연한 황색으로 되며 백색-황색의 반점들이 있거나 막질의 크고 작은 외피막 파편이 부착한다... 2024. 8. 15.
톱니겨우살이버섯 Coltricia cinnamomea 산길 등산로 따라 이끼 낀 사질 땅에서 종종 발견되는 독특한 버섯이다. 갓 표면은 광택이 있고 계피 갈색의 동심원 띠무늬가 아름다운데, 살이 질긴 가죽질이다. 북한 이름은 '반들깔때기버섯'이다. 일 년 내내 등산로의 땅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식용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2024. 07. 29.  서울      ● 톱니겨우살이버섯 Coltricia cinnamomea | Shiny Cinnamon Polypore ↘  소나무비늘버섯목 소나무비늘버섯과 겨우살이버섯속 균모는 지름 1~4cm, 두께 1.5~3mm로 원형이다가 편평해지지만 중앙은 오목하다. 표면은 녹슨 갈색, 방사상의 섬유 무늬를 나타낸다. 비단 광택이 나며 동심원상으로 고리 모양이 있다. 살은 얇고 부서지기 쉬운 가죽질, 갈색. 균모.. 2024.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