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038

꼬마흙물버섯(꼬마두엄먹물버섯) Coprinopsis friesii 옥수수 대 위에 발생한 아주 작은 흰 버섯이다. 갓 표면은 흰 솜털로 덮여 있고 주름살은 유백색에서 검게 변한다. 두엄먹물버섯속(흙물버섯속)의 버섯으로 조덕현은 '꼬마가루눈물버섯'이라는 국명을 쓰고 있다.  여름~가을, 특히 장마 후 벼과 식물이나 오래된 초본류의 줄기, 짚, 새끼 썩은 곳 등에 무리지어 난다. 발생 후 곧 사그라들어서 자루만 앙상하게 마른다.     2024. 07. 21-28.  서울       ● 꼬마두엄먹물버섯 Coprinopsis friesii  ↘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두엄먹물버섯속(흙물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0.5~1cm 정도로 처음에 난형의 공 모양에서 종 모양을 거쳐 거의 평평하게 펴진다. 표면에는 미세한 털이 있고 흰색이며 중앙부는 약간 살색이나 나중에 회색을 띤다. .. 2024. 8. 6.
흑갈색광대버섯 Amanita brunneofuliginea 갓 중앙에 진한 흑갈색의 무늬가 자리잡고 갓 주변으로는 연한 갈색의 방사상의 줄무늬가 발달한 점으로 줄무늬광대버섯과 다르다. 주름살이 끝붙은형이 아니라 떨어진형이 또렷한 점으로 큰우산광대버섯과는 다르다.  1997년 Zhu L. Yang에 의해 윈난지역에서 처음으로 기록되었고 중국 남서부와 북동부의 고산지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유럽에 널리 분포하는 종인 듯하다. 식독 여부는 분명하지 않다.    2024. 07. 21-28.  서울         ● 흑갈색광대버섯 Amanita brunneofuliginea | brown-black ringless amanit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갓은 50 - 140 mm이며 볼록하거나 약간 볼록하고, 가운데는 살짝 오목하기도 한다. 흑.. 2024. 8. 5.
미친쓴맛그물버섯(미친흑보라그물버섯) Porphyrellus fumosipes(Tylopilus fumosipes) 어두워 오는 산등성이에서 미친쓴맛그물버섯을 만난다. 갓 표면은 보랏빛이 강한 암갈색~회갈색인데 흔히 비로드 모양이고 가늘게 갈라지는 모습이 흔한데 오랜 장맛비에 씻긴 탓으로 특징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살과 관공면이 공기에 노출되면 하늘 푸른빛으로 변하며 상처시 갈변하는 것이 특징이다.  진갈색쓴맛그물버섯과 함께 쓴맛그물버섯속(Tylopilus)에서 미친흑보라그물버섯속(Porphyrellus)으로 바뀌었다. 조덕현은 '미친흑보라그물버섯'이라는 국명을 쓰고 있다.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림이나 이들과 섞인 침엽수림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2024. 07. 21.  서울      ● 미친흑보라그물버섯 Porphyrellus fumosipes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흑보라그물버섯속 균.. 2024. 8. 5.
띠비늘버섯 Pholiota multicingulata 어둠이 내리는 하산길에 재목 더미에 무리지어 난 짙은 갈색 갓의 버섯들을 만난다. 살펴보니 띠비늘버섯이지 싶은데 가을이 아닌, 장마철에 때이르게 발생한 것이 놀랍다.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 버섯, 갓 표면은 갈색으로 섬유상의 인편이 있으며 가운데는 어두운 갈색 가장자리는 연한 갈색이고 가장자리는 띠 모양을 이룰 때가 많다. 주름살은 붙은형으로 크림색~연한 갈색으로 촘촘한 편이다. 우리나라와 중국 남서부, 호주와 뉴질랜드 남부와 칠레 등 남반구 태평양 지역에서 보고되고 있는 종이다. 죽은 나무 그루터기나 재목, 가지, 땅에 묻힌 나무에 다발로 나거나 무리지어 난다.    2024. 07. 21.  서울      ● 띠비늘버섯 Pholiota multicingulata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갓.. 2024. 8. 5.
은행잎버섯 Tapinella panuoides 주로 장마철에 소나무 그루터기 등에 겹겹이 무리지어 발생하는 버섯이다. 자루가 없고 갓은 불규칙한 조개형으로 조직이 가죽질이고 표면은 황갈색~담갈색으로 미세한 털이 있으나 점차 사라지고 평활해지며 주름살은 가지를 치며 곱슬머리 모양이고 주름살 사이에 연락맥이 있다. 느타리버섯을 닮아서 영명은 'oyster rollrim'이다. 조덕현 도감에서는 '은행잎원반버섯', 두산백과에서는 '은행잎우단버섯' 등 명칭이 서로 다르고, 학명과 분류 체계가 제각각이다. 전 세계 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맛이 좋은데 독성이 있어 식용하지 않는다.    2024. 07. 21.  서울          ● 은행잎버섯 Tapinella panuoidess | oyster rollrim   ↘  주름버섯목 은행잎버섯과 은행잎버.. 2024. 8. 4.
긴황고무버섯 Dicephalospora rufocornea 팽이 모양의 자낭반을 가진 팽이술잔고무버섯과는 다르고, 자루가 긴 진노란술잔고무버섯과도 다르다. 진황고무버섯이나 황색황고무버섯으로 보기에는 자낭반이 크고 여름에 발생한 점에서 긴황고무버섯으로 판단된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와 열대아메리카에 분포한다.    2024. 07. 21.  서울      ● 긴황고무버섯 Dicephalospora rufocornea  ↘  살갗버섯목 물두건버섯과 긴황고무버섯속자실체는 높이 1∼4mm의 극소형, 접시모양이다가 술잔 모양이 되며, 자낭반의 폭은 1∼5mm, 자실층은 오렌지황색, 가장자리와 바깥면은 자실층과 같은 색이나 백색의 미모가 있다. 대는 1∼2mm, 직경 0.5∼1mm, 원통형, 아래쪽으로 다소 좁아진다. 표면은 담황색이다가 백색이 된다. 백색의 .. 2024. 8. 4.
황색황고무버섯 Calycina citrina(Bisporella citrina) 자실체 지름이 1~3㎜인 극소형 접시 모양의 황색 버섯으로 표면은 밋밋하고 선황색이며 가장자리가 위로 말리는 경우가 많다. 자루가 없는 것이 있지만 대개 짧은 자루가 있다. 진황고무버섯(Bisporella sulfurina)과 아주 비슷한 모습으로 여름철에 난다. 진황고무버섯은 가을에 발생하며 흔히 위로 접히는 모습이 있어서 구별된다.  여름~가을 각종 활엽수의 나무껍질이 없는 썩은 고목이나 죽은 가지에 무리를 지어 전체를 노랗게 덮는 목재부후균이다.     2024. 07. 21.  서울    2024. 08. 27.  서울     ● 황색황고무버섯 Bisporella citrina | yellow fairy cups, lemon discos  ↘  살갗버섯목 물두건버섯과 황고무버섯속 자실체의 지름은 .. 2024. 8. 4.
벽돌빛주름살낙엽버섯 Marasmius graminicola 주름살에 갈색 날이 또렷하게 보이는 벽돌빛주름살낙엽버섯이다. 애기낙엽버섯의 갓이 좀 넓게 펼쳐지는 데 비해 버섯 갓이 조금 작고 펼쳐진 각도가 좁으며 갓에 비해 자루의 길이가 길어 보인다. 라틴아메리카에 분포한다.    2024. 07. 21.  서울      ● 벽돌빛주름살낙엽버섯 Marasmius graminicola   ↘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낙엽버섯속 주름살 날이 갈색이다. 애기낙엽버섯과 유사하며 갓이 조금 작고 펼쳐진 각도가 좁으며 자루의 비율이 길다.     ※ 참고 자료 :     • 애기낙엽버섯(Marasmius siccus (Schwein.) Fr.) : 1936년 홍릉 숲에서 발견. 전국적 분포 • 앵두낙엽버섯(Marasmius pulcherripes Peck) : 1991년 치악.. 2024. 8. 4.
'황갈색주름털젖버섯'(임시명) Lactifluus sp. 낙엽송(일본잎갈나무)이 드문드문 늘어선 활엽수림에 홀로 발생한 털젖버섯속 버섯이다. 배젖버섯에 비해 주름이 성기고 이나 노란주름털젖버섯에 비해 갓 표면에 주름이 많다. 유사한 종으로 아직 학명과 국명을 얻지 못한 신종으로 보인다.    2024. 07. 21.  서울      ●    ↘   높이     ○     ※ 참고 자료 :   •  ☞ 더 보기 => 2024. 8. 4.
흰삿갓깔때기버섯 Clitocybe fragrans 리기다소나무가 늘어선 야산 등성이에 소수 무리로 발생한 버섯이다. 비단빛깔때기버섯과 아주 유사하나 깔때기모양이 더 뚜렷하고 갓이 물결형이며 침엽수가 있는 혼합림에 발생하는 점이 다르다. 흰깔때기소낭버섯은 주름살이 성긴 점으로 구별된다.  북한명은 '흰냄새깔때기버섯'이다. 여름~가을 임내 땅 위에 무리지어 나거나 몇 개씩 다발로 발생한다. 유럽, 북미, 러시아, 일본, 오세아니아에 분포한다. 무스카린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이다.     2024. 07. 21.  서울          ● 흰삿갓깔때기버섯 Clitocybe fragrans | fragrant funnel  ↘  주름버섯목 송이과 깔때기버섯속 갓은 3~5cm의 소형으로 깔때기 형을 띠며 갓 중심부가 오목하게 들어간다. 흡습성, 갓 주변이 물결 .. 2024. 8. 2.
'봄주름버섯', 여름양송이 Agaricus bitorquis 작년에 두 번에 걸쳐 홀로 발생했던 풀밭에서  올해도 한 송이의 버섯이 돋아났다. 고온성 재배 주름버섯인 여름양송이(A. bisporus)로 보인다. 이 버섯은 자루에 두 개의 턱받이 고리 모양이 있는데, 종명 bitorquis는 라틴어 '두 개의 고리를 가진'을 뜻하는 이름으로 이 버섯의 특징을 표현한 것이다.  우리는 여름양송이라 부르지만 영명은 'spring agaric'(봄주름버섯)이고 그 외에도 urban agaricus(도시주름버섯), 포장길을 밀어올린다 하여 'pavement mushroom'(포장길주름버섯)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양송이는 'common button mushroom'(단추버섯)이라 불린다.  길가나 정원에서 홀로 또는 작은 무리로 자란다. 오염된 지역에서 잘 자라 독성 중.. 2024. 8. 2.
다형콩꼬투리버섯 Xylaria polymorpha, 노균 아파트 화단 썩어가는 그루터기에서 자란 다형콩꼬투리버섯, 흙에서 자란 개체는 자실체 윗부분이 망가지고 시간ㅇ 지나면서 소멸해 버린다. 그루터기 밑동에서 자란 것 일부만 자실체 머리 부분이 더 둥글고 통통하게 성장하고 있다.  영명 'dead man's fingers'이 뜻하는 '시체 손가락' 모양의 자실체가 까만 숟갈처럼 보기도 좋아졌다. 표면은 갈색~검은색 목탄질로 평활하며 속살은 흰색이다.     2024. 07. 21-23.  서울      2024. 10. 17.  서울.  검은 포자가 방출되고 난 뒤의 모습   2024. 05. 09.  서울   2024. 05. 31.  서울     ● 다형콩꼬투리버섯 Xylaria polymorpha | dead man's fingers  ↘  동충하초강 콩.. 2024. 8. 2.
큰밀구멍버섯 Ceriporiopsis subvermispora 소나무 가지에 발생한 배착 버섯이다. 흰색∼크림색으로 조직은 부드러우며 관공은 얇은 격막이 있는 각형으로 소나무 줄기나 가지에 난다.  여름~가을 죽은 소나무에 난다. 유럽, 북미에 분포하고 있다.     2024. 07. 17.  서울      ● 큰밀구멍버섯 Ceriporiopsis subvermispora  ↘  구멍장이버섯목 유색고약버섯과 밀구멍버섯속  자실체는 배착생. 부드러우며 신선할 때는 기질에서 떨어지기 쉽고 건조할 때는 부서지기 쉽다. 두께 1mm 정도. 구멍은 각형이고 얇은 격막이 있다. 3∼5개/mm. 허연색∼크림색. 살 층은 얇고 흰색, 가장자리는 미세하게 섬유상이며 좁고 흰색이다. 포자는 소시지형. 평활, 4.5∼5.5×1∼1.5㎛.  http://ydy.kr/xe/mushroom.. 2024. 8. 1.
꼬마무당버섯(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갓 지름은 1~2cm의 소형 버섯으로 갓은 깔때기 모양으로 갓의 중심은 오목하고 붉은 색깔이 진하고 가장자리는 색깔이 연하다. '팥무당버섯'이라고도 한다.  여름~가을 주로 참나무류 숲속의 땅 낙엽이 쌓인 땅에 난다. 한국, 일본 타이완에 분포하는 종으로 종명 kansaiensis는 일본 간사이 지방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2024. 07. 17-29.  서울        ● 꼬마무당버섯(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는 지름 1~2cm, 둥근 산 모양이다가 차차 편평해지며 중앙부가 약간 오목해지고 결국은 얕은 깔때기형이 된다.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끈적임이 있으며 붉은색을 띤 포도주색이고 흔히 중앙부가 진하다. 오래된 것은 퇴색하여 유백.. 2024. 8. 1.
마른가지선녀버섯 Marasmiellus ramealis(Collybiopsis ramealis) 버섯 갓은 크림색 또는 살색으로 지름 4~18㎜로 반구 모양이다 편평해지고 가장자리가 위로 뒤집힌다. 주름살은 바른주름살이며 버섯대 표면은 위는 흰색이고 이래쪽은 적갈색으로 흰 털이 나 있으며 섬유질이다.  솔밭버섯과(조덕현은 '배꼽버섯과') 선녀버섯속의 버섯으로 여름~가을 혼효림 내의 썩은 가지나 줄기, 그루터기 등에 무리지어 난다.     2024. 07. 17-21.  서울       ● 마른가지선녀버섯 Marasmiellus ramealis | twig parachute  ↘  주름버섯목 솔밭버섯과 선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0.3~1.5cm로 어릴 때는 반구형이다가 후에 둥근 산 모양-편평한 모양이 되며 중앙이 다소 오목해진다. 표면에 미세한 털이 있고 방사형으로 줄무늬가 있으며 담갈색-크림색을 .. 2024.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