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과252 나비나물(Vicia unijuga), 나비 모양의 잎에 나비 모양의 보랏빛 꽃 나비나물은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자루가 아주 짧은 타원형의 잎이 두 개씩 짝을 지어 줄기 마디에 달린 모습이 나비를 닮아서 나비나물이라 부른다. 영어 이름은 짝을 이룬 잎의 특징을 딴 Pair Vetch이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 사이에서 2~4cm의 긴 꽃대가 자라나 그 끝에 .. 2010. 10. 17. 눈을 밝게 한다는 결명자(Senna tora)의 꽃 결명자(決明子)는 눈을 밝게 해주는 씨앗이란 뜻이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한해살이 콩과 식물로 '강남차'라 부르는 석결명에 대하여 '긴강남차'라고도 한다. ● 결명자 Senna tora | Sicklepod, Fotid cassia ↘ 콩목 콩과 결명자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가지를 치면서 1m 안팎의 높이로 자란다. 잎은 어줄기에 긋나게 달리며 짝수 1회 깃꼴 겹잎으로 2∼4쌍의 작은잎이 달린다. 작은잎은 거꾸로 세운 달걀 모양이고 끝은 무디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길이는 3∼4cm이다. 노란색 꽃이 6∼8월에 잎겨드랑이의 잛은 꽃대에서 두 송이의 꽃이 핀다. 둥근 5장의 꽃잎으로 이루어져 있는 꽃의 지름은 1.5cm쯤이며 선명한 노란빛을 띠고 있다. 꽃받침은 5개이고 긴 달걀 모양이며 꽃잎은 5개로 거.. 2010. 10. 13. <중국의 꽃> 자주황기 Astragalus dahuricus 국내에서 한번도 만나보지 못한 자주황기를 중국 산동 태산에서 만난다. 두만강 가에서 처음 만나고 또 중국 땅에서 만난다. 자주황기(紫朱黃芪)는 고산지대에서 자라며 약초로 재배한다. 자주개황기(A. adsurgens)에 비해서 곧게 자라며 전체에 흰 털이 있고 꽃이 자주색이며 열매는 선형이고 다소 굽어지며 길이 2-2.5cm로 보다 길다. 남한 내에는 강화, 화천 등 소수 자생지가 있을 뿐이고 개체수가 많지 않아 취약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 2010. 07. 26. 중국 산동 태산 ● 자주황기 Astragalus dahuricus ↘ 장미목 콩과 황기속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잔털이 있고 비스듬히 옆으로 자라며 길이 50-100cm이고 가지는 많이 갈라진다. 뿌리는 길고 크며, 땅.. 2010. 9. 26. <중국의 꽃> 수양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var. pendula 꽃 회화나무라고 하면 창덕궁과 도산서원의 회화나무가 떠오른다. 성리학의 이념이 지배했던 조선시대 가지를 자유자재로 뻗는 회화나무는 선비의 기개를 상징하는 나무로 반가의 정원에는 한 두그루가 그늘을 만들며 자랐다. 그래서 회화나무는 예로부터 '학자수(學者樹)'라 불려왔다는데, 양인들에게도 알려진 것인지 영어 이름도 'scholar tree'라고 한다. 우리 나라에서 자라는 회화나무는 대개 가지가 위로 뻗는 아름드리 나무로 자라지만 중국에서 만나는 회화나무는 정원에 키높이로 아담하게 자라고 가지는 능수버들처럼 둥글게 아래로 쳐지는 모습을 하고 있다. 그래서 이름을 '수양회화나무', 또는 '능수회화나무'라고 한다. 회화나무는 콩과 고삼속(Sophora)의 나무이다. 회화나무를 '괴수(槐樹)'라 하고 그 꽃을 .. 2010. 9. 26. 실거리나무 Caesalpinia decapetala, 줄기와 잎 노랗게 피는 꽃이 아름다운 실거리나무는 콩과의 낙엽관목으로 '띠거리나무', '살거리나무'라고도 한다. 얼핏 잎이 아까시나무나 조각자나무 또는 주엽나무를 떠올리게 한다. 작은잎은 5∼10쌍씩인데 짝수로 달린 점이 다르다. 줄기의 가시는 장미나 찔레 가시를 연상시킨다. 난대성 식물로 전북 어청도와 충남 외연도 이남의 섬과 바닷가 계곡이나 산록에서 자라고, 제주도에서는 표고 700m까지 분포한다. ↓ 청산도 ● 실거리나무 Caesalpinia decapetala | Mysore thorn ↘ 장미목 콩과 실거리나무속 덩굴성 관목 길이 약 4m이다. 전체에 밑으로 굽은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2회 깃꼴겹잎이며 잎겨드랑이에 중생부아(重生副芽)가 있다. 작은잎은 5∼10쌍씩이고 타원형이며 길이 1∼2cm이다... 2010. 8. 27. 여우콩( Rhynchosia volubilis) 덩굴과 잎 여우콩은 콩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큰여우콩과 함께 주로 남부 지방에 자란다. 꽃은 8∼9월에 황색으로 나비모양이며 피는데 10~20개씩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큰여우콩은 잎끝이 세모꼴로 뾰족한 데 비하여, 여우콩은 마름잎처럼 비교적 둥글다. ↓ 청산도 권덕리 여우콩 Rhynchosia volubilis 장미.. 2010. 8. 26. 남해안에 사는 해변싸리, 서해안에 사는 눈해변싸리 해변싸리는 조록싸리와 참싸리의 잡종으로 남부지방의 해안 지역에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다. ↓ 청산도 홍릉수목원에 해변싸리라는 이름표를 달고 있는 나무는 잎에 윤채가 없고 두꺼운 혁질이 느껴지지 않아 조록싸리에 가까워 보인다. 바닷가와 멀어진 생태환경 탓일까... ↓ 홍릉수목.. 2010. 8. 26. 갯완두 Lathyrus japonicus 자월도 ● 갯완두 Lathyrus japonicus /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바닷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높이는 60cm 정도이다. 땅속줄기가 발달하고 땅위줄기는 모가 나며 비스듬히 눕는 성질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깃 모양이며 끝에 덩굴손이 있다. 작은잎은 3∼6쌍이고 넓은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으로 .. 2010. 8. 3. 조각자나무(Gleditsia sinensis), 주엽나무속의 나무들 조각자나무는 중국 원산의 콩과 낙엽교목으로 이 땅에 자생하는 주엽나무와 비슷하여 중국주엽나무라고도 한다. 자월도 조각자나무 열매 조각자나무의 열매가 비틀림이 없는 데 비하여 주엽나무의 꼬투리는 비틀린다. ● 조각자나무 Gleditsia sinensis / 콩과의 낙엽교목 가시는 큰 것은 길.. 2010. 8. 3. 그대 향한 그리움으로 피어나는 붉은 꽃구름, 자운영 지리산 둘레길을 걷다가 자운영꽃을 만납니다. 모내기를 위해 물을 잡은 논가에 숯불처럼 피어 있는 자운영의 아름다운 자태에 넋을 잃고 바라봅니다. 가느다란 꽃대 끝에 붉은빛이 선연한 보랏빛 꽃잎이 동심원을 이루며 파란 봄하늘을 향해 불꽃으로 피어오르는 모습은 가히 환상적입니다. 자운영(紫雲英), 꿈결처럼 아련한 그리움을 자아내게 하는 꽃 이름이 또 있을까요? 이름 그대로 '붉은 보랏빛 꽃구름'이 들판 가득 덮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 꽃입니다. 자운영 흐드러지게 핀 논에서 소년은 소녀의 손가락에 자운영 꽃반지를 매어주고 자운영 꽃목걸이를 걸어줍니다. 소년과 소녀의 풋풋한 사랑도 어느새 자운영 꽃빛으로 물이 듭니다. 누이는 동생에게 자운영 꽃시계를 손목에 매어 주었지요. 또래들은 모여서 너럭바위 .. 2010. 5. 17. 큰여우콩 Rhynchosia acuminatifolia 열매 ↓ 대이작도 ● 큰여우콩 Rhynchosia acuminatifolia / 장미목 콩과(Leguminosae)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덩굴식물로 줄기에는 갈색 털이 있다. 세잎나기인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다. 가운데작은잎이 달걀형 또는 긴 달걀형으로 길이 4~8cm, 나비 3~5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둔하거나 둥글며 뒷.. 2009. 11. 16. 도둑놈의갈고리 Desmodium podocarpum var. oxyphyllum, 열매 작은잎 위쪽이 넓고 둥글며 털이 많은 기본종 개도둑놈의갈고리의 변종으로, 작은잎이 아래쪽이 넓고 둥글다. 열매가 안경처럼 독특한 모양으로 콩꼬투리처럼 익으면 갈라지고 격막으로 나뉘어진 공간에 종자가 들어 있는 협과이다. 절 사이는 보통 2개이고 반달모양이며 갈고리모양의 털이 있다. ↓ 남한산 ● 도둑놈의갈고리 Desmodium podocarpum var. oxyphyllum | Big-leaf tick clover ↘ 콩목 콩과 도둑놈의갈고리속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능선이 있고 자흑색이 돈다. 뿌리는 딱딱한 목질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3출복엽이고 장란형 또는 난상 능형으로 길이 4~8cm, 나비 2.5~4cm이며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탁엽은 침상 피침.. 2009. 10. 25. 싸리(Lespedeza bicolor | Shurb Lespedeza) 열매 콩과 식물의 열매는 속이 몇 칸으로 나뉘어 있고, 칸마다 씨앗이 들어 있으며, 익은 뒤에 마르면 껍질이 2줄로 갈라지면서 씨앗이 드러나는데 이를 협과(莢果)라고 한다. 싸리 열매도 협과로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부리처럼 길고 길이 7-8㎜, 넓이 5㎜로 누운털이 약간 있으며 10-11월에 익는다. 종자는 신.. 2009. 10. 21. 일상의 행복과 그 속에 숨은 행운, 토끼풀(clover) 이야기 생각난다 그 오솔길,그대가 만들어준 꽃반지 끼고 다정히 손잡고 거닐던 오솔길이 이제는 가버린 아름답던 추억 생각난다 그 바닷가,그대와 단둘이서 쌓던 모래성 파도가 밀리던 그 바닷가도 이제는 가버린 아름답던 추억 그대가 만들어 준 이 꽃반지,외로운 밤이면 품에 안고서 그대를 그리네 옛일이 생각나 그대는 머나먼 하늘에 저별 음~~ 음음음~ 저별~ 풀꽃처럼 풋풋한 사랑, 그 아련한 추억에 잠겨들게 하는 '꽃반지 끼고'라는 노래가 있습니다. 상실의 시대, 70년대를 살았던 청춘들이라면 애잔하면서도 맑은 목소리로 부르는 가수 은희의 노래를 들으며 이루지 못하는 사랑의 아픔을 맑은 감성으로 승화시켰던 촉촉한 추억이 있을 것입니다.토끼풀 하얀 꽃 두 송이를 긴 꽃줄기와 함께 뽑아 마주 걸고 사랑하는 이의 손가락에 다.. 2009. 10. 19. 나비나물 Vicia unijuga 나비나물은 두 개의 잎이 나비모양으로 달려 있어서 생긴 이름으로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네모지고 딱딱한데 여럿이 뭉쳐나 곧추서지만 가을이 되면 비스듬히 눕는다. 줄기는 50~100㎝ 정도이며 잎은 마주보는 1쌍의 잔잎으로 달려 있다. 꽃은 연한 보라색으로 6~8월에 잎겨드.. 2009. 10. 19. 이전 1 ··· 3 4 5 6 7 8 9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