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름버섯과81

침투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sapineus = 밤빛벗은갓버섯 Gymnopilus penetrans 미치광이버섯속의 독버섯이다. 자료에 따라 주름버섯과, 끈적버섯과, 포도버섯과로 다르게 분류하고 있고 학명도 각각 다르다. Phaeolepiota penetrans 주름버섯목 > 주름버섯과 > 미치광이버섯속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Gymnopilus sapineus 주름버섯목 > 포도버섯과 > 미치광이버섯속 : 국가 생물다양성 공유체계 Gymnopilus penetrans 끈적버섯과 > 미치광이버섯속 : 한국산 버섯DB 버섯사전 여름부터 가을까지 침엽수 썩은 곳과 땅에 무리로 나거나 묶음 모양으로 난다. 2018. 09. 14. 서울 대모산 균모는 지름 2-4.5㎝로 종형에서 볼록한 형이다가 거의 편평하게 되며 가장자리는 물결 형이다. 밝은 적오랜지색 또는 황금색, 황색, 황갈색이다가 오래되면 퇴.. 2018. 9. 22.
흰주름버섯(큰들버섯) Agaricus arvensis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으로 식용 버섯이다. 크림 백색의 갓 표면은 매끄럽고 건조하며 가장자리에는 턱받이의 파편이 붙는다. 마르거나 상처 시에는 노란색, 밤색으로 노란색을 띤다. 주름은 빽빽하고 처음에는 흰색이나 서서히 검은 밤색으로 변한다. 서울 대모산 균모의 지름은 8-20cm로 둥근 산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매끄럽고 크림백색 또는 연한 황백색이며, 가장자리에는 턱받이의 파편이 부착한다. 살은 백색에서 황색으로 된다. 떨어진 주름살이고 밀생하며 백색에서 회홍색을 거쳐 흑갈색으로 된다. 자루의 길이는 5-20cm이고 굵기는 1-3cm로 속은 비었다. 자루의 근부는 부풀어 있으며 표면은 크림 백색이나 만지면 황색으로 변한다. 턱받이는 백색의 막질이고 하면에 쪼개진 부속물이 있다. 식용한다. 발.. 2018. 9. 21.
숲주름버섯(숲들버섯) Agaricus silvaticus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의 버섯으로, 북한명은 '숲들버섯'이다. 가운데에서 가장자리까지 동심원에 가까운 방사상 비늘이 퍼져 있는 갓의 모양이 특징적이다. 침엽수림 낙엽층 땅에 무리지어 자란다. 2018. 09. 14. 서울 대모산 ● 숲주름버섯 Agaricus silvaticus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4-8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해지며 갈색의 중앙에서 청백색의 가장자리로 방사상 비늘이 분포한다. 표면은 연한 적갈색의 얼룩을 이루고, 살은 백색이나 자르면 적색으로 변한다. 주름살은 분홍색에서 흑갈색으로 되고 끝 붙은 주름살이다. 자루의 길이는 6-10cm이고 굵기는 8-15mm로 백색이며 하부는 굵은 비늘로 덮여 있고 속은 비어 있다. 상부에 있는 턱받이는 위에는 선이 .. 2018. 9. 19.
갈색고리갓버섯(애기우산버섯) Lepiota cristata 갓의 지름이 2~4cm에 불과한 작은 버섯으로 '애기우산버섯'이라 불리기도 한다. 흰색에 가까운 갓은 가운데는 진한 갈색인데 갓 주변으로 갈라진 비늘조각으로 연갈색의 점이 점점이 퍼져 있는 듯한 모습이 이채롭다. 2018. 09. 11. 서울 대모산 ● 갈색고리갓버섯 Lepiota cristata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갓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4cm이고 종 모양 또는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나 가운데는 볼록하다. 표피는 연한 갈색 또는 적갈색이다. 성장하면 가운데 이외에는 쪼개져서 인편으로 되어 백색 섬유상 바탕 위에 산재하는데 가운데는 적갈색을 나타낸다. 살은 백색 또는 적갈색이다. 주름살은 백색이거나 또는 크림색이며 끝붙은주름살이다. 자루의 길이는 3-5cm이고 굵기는 2-5mm로 비.. 2018. 9. 14.
공갈빵 같은 말징버섯 Calvatia craniiformis 대모산 입구 그늘진 풀섶에 공갈빵을 연상시키는 큼직한 버섯 몇 개가 자라고 있다. 갓과 자루 사이에는 구분 없이 자연스레 이어져 있다. 만져보니 살짝 탄력은 느껴지지만 속은 비어 있는 듯 말랑한데, 찢어보니 예상외로 비어 있는 게 아니라 잘 발효된 빵의 속살이나 스펀지와 같은 모습이다. 주름버섯과 말징버섯속의 버섯으로 식용한다고 한다. 가을에 숲속의 썩은 낙엽이 많은 땅이나 맨땅에 하나, 또는 무리지어 발생한다. 2018. 08. 31 ● 말징버섯 Calvatia craniiformis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말징버섯속 자실체의 지름은 10㎝이고 높이는 10㎝로 머리 부분과 자루로 되고 머리 부분은 사람의 머리 모양을 닮았다. 내부의 기본체는 백색이나 다량의 액체를 내며 가볍게 되고, 마르면 표피는 낡.. 2018. 9. 13.
노란대주름버섯(광비늘주름버섯) Agaricus praeclaresquamosus (Agaricus moelleri)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의 독버섯이다. '광비늘주름버섯'이라고도 한다. 속이 빈 대는 상처를 받으면 황갈색으로 변색되는 것도 있다. 턱받이는 크고 아래쪽에 부착한다. 흰 갓에 커피색의 무늬와 잔점들이 보이고, 분홍빛이 감도는 촘촘한 주름살이 짙은 흑갈색으로 변색되는 특징을 보여 준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혼합림 부식질이 많은 곳에서 발생한다. 2017. 08. 12. 금대봉-대덕산 능선 ● 노란대주름버섯 Agaricus praeclaresquamosus (Agaricus moelleri)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갓은 백색이고 얇다. 반구형이나 점차 평평해지고 갈라지며 중앙이 약간 봉긋하다. 갓 표면은 초코렛갈색에서 유백색 바탕에 회흑갈색의 가는인편이 형성된다. 떨어진 주름살은 빽빽하며 흰색에서 분.. 2017. 8. 23.
노란대주름버섯(광비늘주름버섯) Agaricus praeclaresquamosus 함백산에서 만난 노란대주름버섯, 주름버섯과의 독버섯이다. '광비늘주름버섯'이라고도 한다. 흰 갓에 커피색의 무늬와 잔점들이 보이고, 분홍빛이 감도는 촘촘한 주름살이 짙은 흑갈색으로 변색되는 특징을 보여 준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혼합림 부식질이 많은 곳에서 발생한다. 1 - 성숙한 개체인 듯... 2 - 노균인 듯... ● 노란대주름버섯 Agaricus praeclaresquamosus(Agaricus moelleri)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갓은 백색이고 얇다. 반구형이나 점차 평평해지고 갈라지며 중앙이 약간 봉긋하다. 갓 표면은 초코렛갈색에서 유백색 바탕에 회흑갈색의 가는인편이 형성된다. 떨어진 주름살은 빽빽하며 흰색에서 분홍색으로 변하여 마지막에 흑갈색이 된다. 자루는 흰색이거나 황색이 .. 2016. 10. 6.
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이름처럼 말 불알처럼 생긴 버섯이지만 그리 크지 않다. 낙엽 부식층이나 유기물이 많은 토양에서 발생하는데, 비슷한 모양의 좀말불버섯은 나무에서 발생한다. 어린 버섯은 식용한다. 말불버섯목 말불버섯과로 분류되어 왔으나 지금은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말불버섯속으로 분류되고.. 2016. 9. 22.
진갈색주름버섯 Agaricus subrutilescens 진갈색주름버섯, 산행 중 딱 한 개체만 만난다. 향기가 하도 좋아서 식용버섯일까 했는데 독버섯으로 설명되고 있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숲 속 땅 위에 무리를 지어 자라기도 하고 하나씩 자라기도 한다. 갓 표면에 진한 갈색을 띤 털 모양의 비늘조각이 무늬를 이룬 것이 독특하다. 무릉계곡 ● 진갈색주름버섯 Agaricus subrutilescens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7~20㎝이고 호빵 모양이다가 나중에 편평해진다. 갓 표면은 자갈색 또는 연한 홍백색의 섬유로 덮여 있다가 비늘조각이 남고 연한 홍백색의 바탕이 나타나며 가운뎃부분은 어두운 갈색이다. 살은 처음에 흰색이지만 나중에 자줏빛 갈색으로 변한다. 주름살은 떨어진주름살이고 홍색이다가 검은 갈색으로 변한다. 대의 길이는 5~1.. 2015. 9. 28.
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이름처럼 말 불알처럼 생긴 버섯이지만 그리 크지 않다. 낙엽부식층이나 유기물이 많은 토양에서 발생하는데, 비슷한 모양의 좀말불버섯은 나무에서 발생한다. 어린버섯은 식용한다. 무릉계곡 ● 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말불버섯속 자실체 전체가 서양배 모양이고 상반부는 커져서 공 모양이 되며 높이 3∼7cm, 지름 2∼5cm이다. 어렸을 때는 흰색이나 점차 회갈색으로 되고 표면에는 끝이 황갈색인 사마귀 돌기로 뒤덮이며, 나중에는 떨어지기 쉽고 그물 모양의 자국이 남는다. 속살은 처음에는 흰색이며 탄력성 있는 스펀지처럼 생겼고 그 내벽면에 홀씨가 생긴다. 자라면서 살이 노란색에서 회갈색으로 변하고 수분을 잃어 헌 솜뭉치 모양이 되며 나중에는 머리 끝부분에 작은 구멍이 생.. 2015. 9. 28.
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주름버섯과 말불버섯속의 버섯이다. 자실체가 공 모양으로 포자를 완전히 둘러싸고 있으며 표면은 백색이나 후에 회갈색으로 되며 뾰족한 알맹이 모양의 돌기가 많이 있다.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산야·길가 또는 공원 같은 곳에서 흔히 발생한다. 어릴 때는 식용한다. ↓ 괴산 화양구곡 ● 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말불버섯속 자실체의 높이는 4-6㎝로 머리 부분은 둥글게 부풀었고 그 속에 포자가 생긴다. 표면은 백색이나 후에 회갈색으로 되며 뾰족한 알맹이 모양의 돌기가 많이 있다. 내부의 살은 백색인데 포자가 성숙하면 회갈색의 낡은 솜 모양으로 되어, 머리 부분의 끝에 열린 작은 구멍에서 포자를 연기와 같이 내뿜는다. 자실체의 아래쪽은 원주상으로 자란 자루로 되고 내부는 .. 2012. 10. 29.
노랑먹물버섯(노랑쥐눈물버섯) Corprinus radians 노랑먹물버섯은 먹물버섯과 먹물버섯속으로 '노랑쥐눈물버섯'으로도 불리며, 북한에서는 '작은반들먹물버섯'이라 부른다. 자루 밑에는 황갈색의 균사 덩어리가 있어 갈색먹물버섯과는 쉽게 구별된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나무의 이끼류, 활엽수의 썩은 나무에 무리지거나 뭉쳐서 나며 부생생활을 한다. 식용할 수 있고 항암성분도 가지고 있다. 괴산 ● 노랑먹물버섯(노랑쥐눈물버섯) Corprinus radians ↘ 주름버섯목 먹물버섯과 먹물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3cm이고, 난형에서 종 모양 또는 원추형을 거쳐 편평하게 되며 가장자리는 위로 말린다. 표면은 황갈색이고 솜털 모양 또는 껍질 모양의 인편으로 덮여 있고 가장자리는 방사상의 줄무늬 홈선을 나타낸다. 주름살은 백색에서 흑자색으로 된다. 자루의 길이는 2~5cm, .. 2012. 10. 27.
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말 불알처럼 생긴 버섯인 데서 유래한 이름으로 보인다. 말불버섯목 말불버섯과로 분류되어 왔으나 지금은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말불버섯속으로 분류되고 있다. 어린 버섯은 식용한다. 비슷한 모양의 좀말불버섯은 나무에서 발생한다. 괴산 ● 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말불버섯속 자실체 전체가 서양배 모양이고 상반부는 커져서 공 모양이 되며 높이 3∼7cm, 지름 2∼5cm이다. 어렸을 때는 흰색이나 점차 회갈색으로 되고 표면에는 끝이 황갈색인 사마귀 돌기로 뒤덮이며, 나중에는 떨어지기 쉽고 그물 모양의 자국이 남는다. 속살은 처음에는 흰색이며 탄력성 있는 스펀지처럼 생겼고 그 내벽면에 홀씨가 생긴다. 자라면서 살이 노란색에서 회갈색으로 변하고 수분을 잃어 헌 솜뭉치 모양.. 2012. 10. 27.
흰꾀꼬리버섯 => 흰털깔때기버섯(Clitocybe sp.) 대암산 오른 길 낙엽 위에서 자라는 꽃 모양의 버섯을 만난다. 갓이 단정한 원형이 아니라 물결치듯 나풀거리는 모습이고 느타리버섯처럼 자루와 갓이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이어진 모습이다. 흰꾀꼬리버섯으로 추정된다.(미기록종인 깔때기버섯류로 보는 견해도 있다. 자루 끝에 균사의 존재와 촘촘한 주름 등이 꾀꼬리버섯의 특징 아니라는 점으로...) 흰꾀꼬리버섯은 꾀꼬리버섯과에 속하며 활엽수림의 낙엽 위에 발생하는 식용버섯이다. 활엽수림 내의 낙엽 위에서 자생한다. 영명도 '흰꾀꼬리버섯'이란 뜻의 white oriole mushroom (oriole은 꾀꼬리) ↓ 대암산 ● 흰꾀꼬리버섯 Cantharellus pallidus / 꾀꼬리버섯과 무리지어 자라며, 갓은 육질이고 두꺼운 살을 가지고 있다. 길이는 4-9cm.. 2012. 10. 15.
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북한산 ● 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말불버섯속 자실체의 높이는 4~6cm로 머리 부분은 둥글게 부풀었고 그 속에 포자가 생긴다. 표면은 백색에서 회갈색으로 되며 뾰족한 알맹이모양의 돌기가 많이 있다. 기본체는 백색인데 포자가 성숙하면 회갈색의 낡은 솜모양.. 2011. 10.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