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름버섯과81

독흰갈대버섯 Chlorophyllum neomastoidem 식용 버섯인 큰갓버섯과 혼동할 위험성이 있는 대표적인 독버섯으로 꼽히는 독흰갈대버섯과 흰갈대버섯C. molybdites). 독흰갈대버섯은 상처시 붉은색으로 변색하는 특징이 있고, 흰갈대버섯은 주름이 녹색빛이 도는 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  가을 대나무밭이나 숲속에 무리지어 발생하며 가끔 균륜을 형성하기도 한다. 흰갈대버섯이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데 비해 독흰갈대버섯은 한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2024. 10. 02.  경기 구리              ● 독흰갈대버섯 Chlorophyllum neomastoidem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갈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8~10cm 정도로 구형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차차 편평하게 되고 중앙부가 돌출된다. 균모가 펴.. 2024. 10. 25.
주름버섯속(Agaricus sp.) 동심원상의 갓 무늬는 음란주름버섯, 자루 기부의 볼록한 구근상은 등색주름버섯, 자루의 노란색 변색은 광비늘주름버섯(노란대주름버섯)을 닮았다. 구미가 당기는 신선한 향기를 풍긴다. 이 버섯의 정체는 무엇일까?     2024. 09. 26.  서울      ● 주름버섯속 Agaricus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높이     ○     ※ 참고 자료 :   •  ☞ 붉은갓주름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63495 https://kheenn.tistory.com/15861363 https://kheenn.tistory.com/15863495 ☞ 실비듬주름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61364 https://kheenn... 2024. 10. 21.
붉은갓주름버섯 Agaricus subrufescens 비단 같은 섬유질 인편으로 덮인 커다란 갓은 실비듬주름버섯(Agaricus augustus)과 닮았다. 커다란 턱받이는 디스크 모양인데 가장자리가 아래로 굽어진 모습이다. 주름버섯속의 대형 버섯으로 많은 사랑을 받는 식용 버섯이다.  아몬드 향기가 나는 맛 좋은 버섯으로 영어권에서는 almond mushroom(아몬드 버섯), almond agaricus(아몬드주름버섯), mushroom of the sun(태양의 버섯), God's mushroom(신의 버섯), mushroom of life(생명의 버섯), royal sun agaricus(로얄 태양 주름버섯) 등 찬사의 뜻이 담긴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재배되기도 한 버섯이다.  여름~가을에 숲속 부엽토가 많은 비옥한 땅에서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2024. 10. 17.
밤색갓버섯 Lepiota castanea 홀로 발생해서 노균이 되어가는 밤색갓버섯을 만난다. 신선한 황갈색 빛을 잃고 퇴색하여 갓은 메마른 갈색이 되었다.  갓 표면이 째져서 작은 비늘껍질이 생기고, 자루에도 갓과 같은 비늘껍질이 존재한다. 자루 속은 비어있고 턱받이는 백색이고 거미줄~섬유질상이며 일찍 탈락한다.  여름~가을에 산림 내 낙엽이 많은 곳에 소수가 무리짓거나 흩어져 난다. 한국, 일본, 유럽, 북미, 남미, 호주 등에 분포한다. 좋지 않은 냄새가 나는 맹독 버섯이다.      2024. 09. 23.  서울      ● 밤색갓버섯 Lepiota castanea | chestnut dapperling, petite parasol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갓버섯속 갓의 직경은 1.5~3cm이고 반구형에서 중앙볼록편평형으로 된다. 표.. 2024. 10. 17.
주름찻잔버섯 Cyathus striatus 아쉽게 소피자가 거의 달아나 버린 주름찻잔버섯을 만난다. 주름버섯과의 버섯으로 새둥지버섯 등과 함께 새둥지속의 알이 놓여 있는 형상의 버섯이다.  위에서 보면 찻잔처럼 생겼다. 높이 1cm 안팎의 원뿔형으로 겉껍질에는 갈색 털이 촘촘히 나 있다. 흰 막으로 덮여 있는 입이 터지고 세로 주름이 있는 속이 보이고 내부에는 지름 1.5∼2mm의 바둑돌과 같은 여러 개의 소피자(小皮子)가 있고 그 밑에 가는 실로 찻잔 밑바닥과 연결되어 있다. 소피자는 잿빛 검은색에서 검은 갈색이 변하며 단단한 각질 속에 자실층이 발달하여 포자를 만든다. 빗물이 세로 주름을 타고 소피자에 부딪히면 포자가 방출하게 되는데 최대 1m 이상 튕겨준다고 한다. 빗물뿐만 아니라 동물들이 건드려도 포자를 퍼뜨리게 된다.  여름~가을에 유기.. 2024. 10. 15.
애기찹쌀떡버섯 Bovista pusilla 이름처럼 흰 찹쌀떡처럼 생긴 아주 작은 흰 버섯이다. 흰 속살 윗부분은 녹황색으로 포자가 성숙하고 있는 모습이다. 찹쌀떡버섯에 비해 대체로 소형이고 표면에 흰 인편이 있는 점이 다르다.  여름~가을 숲속 땅이나 풀밭, 길가 등에 무리지어 난다. 조덕현은 '애기빵말불버섯'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어린 버섯은 식용 가능하나 작아서 효용성이 적다.    2024. 09. 22.  경기 구리      ● 애기찹쌀떡버섯 Bovista pusilla | least puffball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찹쌀떡버섯속 말불버섯과 달리 자루가 없거나 극히 짧다. 자실체는 구형-아구형이며 무성 기부는 없으나 짧은 자루가 있는 경우도 있다. 기부에는 뿌리 모양의 균사속이 있다. 어릴 때.. 2024. 10. 15.
갈색고리갓버섯 Lepiota cristata 활엽수 아래 낙엽이 쌓인 땅에 홀로 발생한 갓 지름 2cm쯤의 작은 버섯이다. 갓 중앙은 맑은갈색~붉은갈색의 표피가 있는데 둘레에는 비늘 조각으로 남아 흰 살이 보인다. 주름살은 희거나 크림색인데 자루 둘레에서 떨어져 있고, 자루는 대롱형으로 속이 비어 있고 흰 막질의 턱받이가 위쪽에 있지만 쉽게 떨어져 나간다.  북한명은 '애기우산버섯'이다. 여름~가을 숲속, 정원의 빈터, 풀밭 등의 습한 땅에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24. 09. 22.  경기 구리      ● 갈색고리갓버섯 Lepiota cristata | stinking dapperling, stinking parasol, brown-eyed parasol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갓버섯속 균모의 지.. 2024. 10. 14.
흰주름버섯 Agaricus arvensis 비에 흠뻑 젖은 흰주름버섯, 자갈색 포자가 비쳐 갓 주변이 붉게 물들었다. 자실체와 자루는 흰색 또는 크림흰색으로 손에 닿으면 황변하며, 주름살은 떨어진형으로 아주 빽빽하고 백색~회홍색~흑갈색으로 변한다.  숲속 혼합림 또는 대밭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나는데 균환을 만들기도 한다. 한국, 일본, 유럽, 라시아, 북미, 칠레, 오세아니아 등에 분포한다. 식용, 약용하며 항암 성분이 있다.     2024. 09. 21.  평창        ● 흰주름버섯 Agaricus arvensis | horse mushroom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8~20cm로 처음에는 둥근 산 모양이며 백색이다. 가장자리에 턱받이의 인편이 붙어 있다. 살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떨어진 주름살로 처음에는.. 2024. 10. 9.
여우꽃각시버섯 Leucocoprinus fragilissimus 비가 내린 이틀 후에 오른 산에서 만난 여우꽃각시버섯, 활짝 핀 아름다운 버섯은 없고 시들어 누운 버섯들과 이제 갓 발생한 어린 버섯들만 만난다.  북한에서는 '꽃우산버섯'이라고 부른다고 하는데 이름에 묘한 맛은 가시고 밝은 느낌이 든다. 예쁜 우산을 든 청순하고 예쁜 처녀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주름버섯목 각시버섯속의 버섯. 섬세한 갓 주름으로 주름버섯과임을 짐작케 한다. 종소명이 'fragilissimus'로 워낙 가녀리고 연약해서 '부서지기 쉬운(fragile)' 버섯의 특징을 반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전국 혼합림이나 정원, 또는 온실 등에서 홀로 난다. 전 세계적으로 열대 및 온대지역에 분포한다.     2024. 09. 16.  남한산성       ● 여우꽃각시버섯 Leucocoprinus .. 2024. 10. 7.
애기찹쌀떡버섯 Bovista pusilla 흰색으로 비교적 싱싱해 보이는 애기찹쌀떡버섯 몇 개체가 흩어져 났다. 갈라서 보니 속살 윗부분이 녹황색으로 포자가 성숙하고 있는 모습이다. 찹쌀떡버섯에 비해 대체로 소형이고 표면에 흰 인편이 있는 점이 다르다.  여름~가을 숲속 땅이나 풀밭, 길가 등에 무리지어 난다. 조덕현은 '애기빵말불버섯'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어린 버섯은 식용 가능하나 작아서 효용성이 적다.     2024. 09. 15.  서울      ● 애기찹쌀떡버섯 Bovista pusilla | least puffball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찹쌀떡버섯속 말불버섯과 달리 자루가 없거나 극히 짧다. 자실체는 구형-아구형이며 무성 기부는 없으나 짧은 자루가 있는 경우도 있다. 기부에는 뿌리 모양의 균.. 2024. 10. 5.
꼬마주름버섯 Agaricus diminutivus 활엽수 낙엽이 두껍게 쌓인 부엽토에서 발생한 주름버섯속의 작은 버섯이다. 갓 지름 2cm 내외로 작아서 얼핏 갓버섯속처럼 보이나 주름살이 회갈색으로 변하는 등 주름버섯속의 특징을 갖는다. 겉 모습은 광양주름버섯(단맛주름버섯)의 왜성형처럼 보인다.  북미에 널리 발생하며, 서아시아와 인도 북부에도 분포한다. 식용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나 작아서 가치가 없다.     2024. 09. 15.  서울      ● 꼬마주름버섯 Agaricus diminutivus | diminutive agaricus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속 주름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1~4cm로 둥근 산 모양 또는 원추형의 둥근 산 모양에서 평평하게 되며 중앙은 약간 돌출하거나 편평하다. 표면은 건조하고 백색이며 압착된 적갈색-흑갈색의 비단.. 2024. 10. 4.
백조각시버섯 Leucocoprinus cygneus 쌈지공원 소나무 아래 이끼로 덮인 땅에서 발생한 갓 지름 1.5cm 정도의 극소형 흰 버섯이다. 갓 윗면은 희고 평평하며 가장자리에 방사상의 홈선이 나타나고, 주름살은 떨어진 형으로 조금 촘촘한 편이다. 자루는 희고 매끈하며 중간 윗부분에 가락지 모양의 턱받이가 있다. 종소명 'cygneus'는 '백조(swan)'를 뜻하는 라틴어 'cygnus'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혼효림 내 습한 부식토에서 홀로 난다. 일본, 타이완, 유럽에 분포한다.    2024. 09. 15.  서울      ● 백조각시버섯 Leucocoprinus cygneus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각시버섯속 갓은 지름 1.5-2.5cm로, 평반구형에서 볼록편평형이된다. 갓 표면은 흰색이며 비단 같은 광택이 있다. 가장자리에는 방사상.. 2024. 10. 4.
붉은갓주름버섯 Agaricus subrufescens 비단 같은 섬유질 인편으로 덮인 커다란 갓은 실비듬주름버섯(Agaricus augustus)과 닮았다. 커다란 턱받이는 디스크 모양인데 가장자리가 아래로 굽어진 모습이다. 주름버섯속의 대형 버섯으로 많은 사랑을 받는 식용 버섯이다.  아몬드 향기가 나는 맛 좋은 버섯으로 영어권에서는 almond mushroom(아몬드 버섯), almond agaricus(아몬드주름버섯), mushroom of the sun(태양의 버섯), God's mushroom(신의 버섯), mushroom of life(생명의 버섯), royal sun agaricus(로얄 태양 주름버섯) 등 찬사의 뜻이 담긴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재배되기도 한 버섯이다.  여름~가을에 숲속 부엽토가 많은 비옥한 땅에서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2024. 10. 1.
성게가시갓버섯 Echinoderma echinaceum 스트로브잣나무 아래 이끼 밭에서 만난 성게가시갓버섯. 갓이 일그러진 모습인데다 이끼에 묻혀 자루가 거의 보이지 않은 상태여서 처음에는 알아보지도 못한다. 홀로 발생하였다. 뽑아서 살펴보니 침상 돌기가 발달한 갓과 갈색 솜털이 덮고 있는 자루, 아주 촘촘한 흰 주름살 등의 형태에서 성게가시갓버섯임이 확인된다.  여름~가을 혼합림 삭회질 땅에 홀로 또는 몇 개씩 발생한다. 독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갓버섯속(Lepiota echinacea)에서 가시갓버섯속으로 분리되었다.    2024. 09. 09.  서울      ● 성게가시갓버섯 Echinoderma echinaceum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가시갓버섯속균모의 지름은 2~5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나 중앙은 둔하게 볼록하며 오.. 2024. 9. 28.
애기찹쌀떡버섯 Bovista pusilla 예초기가 지나간 자리에 구슬보다 작은 솜털 인편 투성이 작은 구형의 균 하나가 눈에 띈다. 이런 모양의 버섯이라면 애기찹쌀떡버섯이다 싶은데, 주변을 쭉 스캔하니 퇴색한 노균들만 여럿 보인다. 흰색의 유균은 종내 찾지 못한다. 처음 발견한 균도 갈라보니 스폰지보다도 더 성긴 녹황색 포자 조직이 만들어져 있다.  조덕현은 '애기빵말불버섯'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찹쌀떡버섯에 비해 대체로 소형이고 표면에 흰 인편이 있는 점이 다르다. 여름~가을 숲속 땅이나 풀밭, 길가 등에 무리지어 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어린 버섯은 식용 가능하나 작아서 효용성이 적다.    2024. 08. 29.  경기 구리      ● 애기찹쌀떡버섯 Bovista pusilla | least puffball  ↘  주름.. 2024. 9. 16.